• 제목/요약/키워드: Test Scenario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26초

동시성을 포함한 액티비티 다이어그램 기반 테스트 시나리오 생성 기법 (A Test Scenario Generation Method from Activity Diagram with Concurrency)

  • 백승찬;최효린;이병정;이정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9호
    • /
    • pp.1015-1025
    • /
    • 2016
  •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대한 중요도는 오늘날의 산업 전반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효과적인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테스트 설계를 위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정형화하는 방법으로 모델 기반 테스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반복과 동시성 작업을 포함하는 복잡한 시스템의 경우 경로 폭발을 야기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특히 동시성 작업의 경우 Thread가 추가될수록 기하급수적인 수의 테스트 시나리오가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의 방법으로는 이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성 경로가 가지는 작업적 특성에 주안점을 두고, 이를 탐색하는 새로운 기법으로 경로 폭발 문제를 회피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례 연구에서는 동시성 작업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액티비티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고, 기존의 기법이 생성할 테스트 시나리오의 수와 비교하여 본 기법의 효과를 보인다. 본 방법은 적은 수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통해 반복과 동시성 작업의 결함을 효과적으로 발견할 것임을 기대한다.

KSR-III 비행시험 발사 시나리오 개발

  • 신명호;서진호;김광수;홍일희
    • 항공우주기술
    • /
    • 제2권1호
    • /
    • pp.140-152
    • /
    • 2003
  • 발사를 위해 로켓과 지상 장비를 작동시키고 제어하는 과정에서 시나리오는 운영 및 통제의 지침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은 로켓 발사 작업을 준비하는 첫 번째 작업으로서,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핵심적인 임무 중 하나이다. KSR-III 비행시험 시나리오는 발사를 준비하기 위해 로켓과 지상 장비를 작동시키는 순차적인 작업 명령의 시퀀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사 시나리오 개발에 UML 객체 모델링 방법을 적용한다. 먼저, 발사 시스템의 각 서브시스템을 객체로 모델링하고 각 두 서브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association link로 모델링한다. 이를 통해 얻어진 최종적인 KSR-III 발사 시스템 객체 다이어그램은 데이터와 명령의 흐름, 통제, 상호작용 등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전체 시나리오는 사전 시나리오, 본 시나리오, 비상시 조치사항 등으로 구성된다.

  • PDF

SSP 시나리오별 굴 양식 생산량 예측력 비교 (A Comparison of Predictive Power among SSP Scenarios of Oyster Aquaculture Production )

  • 정민경;남종오
    • 수산경영론집
    • /
    • 제54권1호
    • /
    • pp.37-49
    • /
    • 2023
  • Climate change is a major global problem. Oyster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armed fish in Korea, are attracting attention as candidates for blue carbon, an alternative to carbon neutrality. This study is analyzed by the SSP scenarios to determine the impact of oyster aquaculture produc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Based on the analysis, future productions of oysters are predicted by the SSP scenario.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SSP scenario are confirmed through predictive power tests among scenario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ater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quadratic term, salinity, salinity quadratic term, and month × water temperature cross term were estimated as significant variables. Oyster production which is predicted by the SSP scenario based on the significant variables from 2015 to 2022 was compared with actual production. The model with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was selected by RMSE and MAPE criteria. The predictive power was compared with the MDM test to determine which model was superior. As a result, based on RMSE and MAPE, the SSP1-2.6 scenario was selected as the best model and the SSP1-2.6, SSP2-4.5, and SSP3-7.0 scenarios all showed the same predictive power based on the MDM test. In conculusion, this study predicted oyster aquaculture production by 2030, not the distant future, due to the short duration of the analytical model. This study was found that oyster aquaculture production increased in all scenario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dictive power by the SSP scenario.

예비위험분석기술(PHA)과 품질기능전개(QFD) 기법을 이용한 철도사고 시나리오 분석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 Railway Accident Scenario Analysis Technique using a Preliminary Hazard Analysis(PHA) and a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 박찬우;곽상록;왕종배;홍선호;박주남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156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 accident scenario analysis method adept at creating accident scenarios at the Preliminary Hazard Analysis(PHA) step of a hazard analysis for railway system. This approach was inspired by the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method,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n quality management and was used at the systematic accident scenario analysis(SASA) for the design of safer products. In this study, the QFD provides a formal and systematic schema to devise accident scenarios while maintaining objective. The accident scenario analysis method first identifies the hazard factors that cause railway accidents and explains the situation characteristics surrounding the accident. This method includes a feasibility test, a clustering process and a pattering process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accident situation. Since this method enables an accident scenario analysis method to be performed systematically as well as objectively, this method is useful in building better accident prevention strategies. Therefore, this study can serve to reduce railway accident and be an effective tool for a hazard analysis.

  • PDF

무선 모바일 네트워크상에서 LBS 이동성 테스트를 위한 Auto_Test 관리 시스템 (Auto_Test Management System for LBS Mobility Test in Wireless Mobile Networks)

  • 이종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060-3069
    • /
    • 2010
  • LBS는 이동 중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로 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모바일 네트워크상에서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이동성 성능 테스트를 위한 Auto_Test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이동성 관리 기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LBS이동성 관리에 대한 연구는 시작 단계에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LBS 상에서의 서비스 이동성을 Auto-Test하기 위한 모듈형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개발모듈은 거리 기반 모니터링, 위치 기반 모니터링, 시나리오관리, 이동성관리, 그리고 통계관리 모듈로 구성되며, 각 모듈을 통해서 이동성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들에 비해서 성능이 보다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자전거 대상 자동비상제동장치의 성능평가 시나리오 개발 (Safety Assessment Scenarios for Cyclist AEB)

  • 김태우;이경수;이은덕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9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safety assessment scenarios for cyclist autonomous emergency braking(AEB) system. To assess the safety performance of AEB in real traffic situation with limited number of scenarios, scenario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eal traffic collision cases. For this, statistic data of real traffic car-to-cyclist collision in Korea are analyzed. Many types of accidents are listed and categorized based on the movement of vehicle and cycle just before the collision. Then, the characteristics, main issues and limitations of each scenarios are discussed. Not only the test scenario itself but also the cost and time for the test are very important issues for the test scenarios to actually repeat the test for various systems. Also, the performance of AEB can be effected by the algorithm of AEB and the technical limitation of the sensors and hardwares. Therefore, required number of tests, possibility of dummy destruction and other technical issues are discussed for each scenarios. Based on these information, typical scenarios are selected. Also, using this information, vehicle speed range, cyclist speed and collision point are established. Proposed scenarios are verified and modified based on the vehicle test results. vehicle test was evaluated 5 times for each scenarios. Based on this results, final test scenarios are modified and proposed.

5-레이어 포맷을 이용한 자율주행자동차 실험 시나리오 개발(커뮤니티부 도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afety Evaluation Scenarios for Autonomous Vehicle Tests Using 5-Layer Format(Case of the Community Road))

  • 박상민;소재현;고한검;정하림;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14-128
    • /
    • 2019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관심이 높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도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인 K-City 구축 등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시나리오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청 교통사고 데이터와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K-City 커뮤니티부 도로 자율주행자동차 실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개발 결과, K-City 커뮤니티부 도로에서 자율주행자동차 실험을 위한 총 24개의 시나리오가 개발되었다. 또한, 페가수스 5-레이어 모형을 적용한 Logical 및 Concrete 혼합 시나리오 양식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나리오 개발 및 효과: HPS (Development and Effect of Nursing Process Scenarios for Cerebral Infarction: HPS)

  • 장애리;오문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23-23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HPS를 활용한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전통적 강의방식과 그 효과를 비교·평가해 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2018년 11월 27일부터 12월 26일까지 간호대학의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8명, 대조군 39명으로 최종 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단계와 연구 설계단계를 거쳐 개발단계에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거쳤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 후의 자신감, 이론적 지식, 임상수행기술은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뇌경색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가 개발 되었으며, 이는 3가지 간호진단을 유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연구결과 두 그룹 모두 임상수행기술을 제외한 사전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간 사후점수 및 사전, 사후의 차이검증에서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뇌경색환자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개발된 시나리오가 실습 뿐 아니라 이론적 학습까지 통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u-TSN에서 차량 통신시스템 구성 및 성능평가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mplementation for u-TSN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s)

  • 전성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7호
    • /
    • pp.35-40
    • /
    • 2011
  • u-TSN 환경에서 차량 단말기와 도로변에 설치되는 노변장치와의 통신은 서비스의 신속한 지원과 도로 교통정보의 실시간 확보를 위하여 교통시스템 구성 시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 통신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한 V2I 혹은 I2V 통신 서비스 시나리오와 신속성과 정확성이 요구되는 긴급정보 전송을 위한 V2V 차량 간 통신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차량간 통신시스템을 구현한 후 제안된 통신 서비스 시나리오에 맞춰 차량통신 실험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최적의 전송 모드 설정 조건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u-TSN 차량 통신시스템 개발에 적용가능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손위생 시점에 대한 완전지식 수준 (Level of Complete Knowledge on Five Moments of Hand Hygiene among Nurses Working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 김은희;정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54-46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complete knowledge about hand hygiene indications among nurses working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Methods: A total of 127 nurses in eigh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completed structured sheets while observing a video based on six scenarios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Complete knowledge level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 of participants who responded correctly to all questions among participants. Complete knowledge levels according to the scenario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using the chi-squared test or Wilcoxon rank-sum test. Results: The complete knowledge level for each scenario ranged from 7.9% (scenario 6) to 42.5% (scenarios 4 and 5), and no one had complete knowledge of all scenarios. Only 3.1% of participants demonstrated complete knowledge in more than four scenarios, and 26.0% had complete knowledge of four or more hand hygiene moments. Complete knowledge level per scenario did not differ depending on work experience at hospitals and study wards, or prior hand hygiene training in the last year. Conclusion: As the complete knowledge level regarding hand hygiene moment is very low, it is suggested that regular hand hygien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nurses using video media that reflect real nursing tasks. Thus, they can acquire complete knowledge of when hand hygiene is needed or not during complex nursing work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