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itorial Comprehensive Planni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북한지역 개발협력을 위한 국토종합구상 연구 (A Study on Comprehensive Planning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North Korean Region)

  • 김두환;최대식;정연우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2호
    • /
    • pp.89-99
    • /
    • 2015
  • 남북협력과 통일과정에서 국토 도시계획 분야의 연구는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남북협력과 통일과정에서 북한 국토개발의 기본 관점은 어떠해야 하는가. 남북협력이 본격화 하지 않은 시점에서 북한지역 국토종합구상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그 내용은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이 연구는 남북협력과 통일에 대한 국토 도시계획 분야의 연구가 본격화 하는 시점에서, 이 같은 기본적 물음에 대한 고찰과 시론적 북한 국토구상 제시를 통해 향후 관련 학술적 실천적 논의와 연구에 기여하고자 했다. 먼저 남북관계가 한국의 공식 통일방안에 근거하여 '화해 협력', '남북연합' 단계를 거쳐 '통일국가'로 나아가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북한 개발구상의 기본 관점으로 협력과 공진의 관점, 미래지향적 지속가능발전 관점 그리고 산업 SOC 병행 발전 관점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토현황 분석에서 좁게는 북한지역, 넓게는 한반도 전체와 필요한 경우 동북아지역까지 일부 포함한 지역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부문과 권역별 분석을 통해 북한 개발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한 SWOT 분석을 통해 북한 개발의 기본방향을 도출하였다. 국토구상에서는 여건분석을 통해 확인한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국토비전과 목표, 전략과 함께 국토공간구조 구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산업, 도시, 교통, 환경 부문의 발전방향과 지역별 개발방향을 구상하였다.

단위제 고등학교의 애착장소 인식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총합학과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 (Research on the Space Recognition of Attachment Places of Credit-based High Schools - Focused on Japanese Comprehensive High Schools -)

  • 손석의;김승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61-68
    • /
    • 2019
  • As high schools implement credit completion system these days, concerns about the dissolution of classes, which are the original stable groups of studying and living, and the instability of the basal space, is growing due to the extended operation of moving optional clas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 that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basal space within the school and the operation method have on the students' space use and formation of attachment place within the school. For this, the main activity places, attachment place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others were investigated at 2 Japanese credit-based comprehensive high schools, which are different in the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s of school buildings. Based on this, a quantitative analysis about the distribution of activity places and attachment places was implemented. The space use features for each student attribute were compared,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each type of attachment place form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change of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about the class spa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moving optional classes could be understoo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space using behavior and place evalu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 of the class space and common space, and that this i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Symbiotic Framework for Campus Core and Modern Expansion A Case Study of Princeton University Campus, Princeton USA

  • Han, Gwang Ya;Kim, Hong Ill;Lee, Hee Won;Kim, Hwa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25-36
    • /
    • 2006
  • Campus co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a university's physical environment for symbolic importance of high educational philosophy as well as hierarchical significance of campus structure. Yet, as modern expansion develops into and out of campus core, a challenging design and planning problem for a growing university is how to integrate a new development into the existing core structure and how to expand the fast-growing development beyond the core while maintaining a symbiotic harmony between the campus core and the modern expansion. Such challenge addresses four design frameworks for symbiotic development of the campus core and the modern expansion: (1) building grouping with territorial proximity; (2) building design rules for form and texture; (3) open space network with pedestrian walkway; (4) use-programming for on-campus student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se issues with in-depth case study of the Princeton University campus in Princeton, New Jersey in the United State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Princeton campus is a result from successful synthesis of all the complex design elements, especially in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the new; and adds further that the development of a modern university campus requires a comprehensive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older buildings when conceiving the new in symbiotic relationship along with open space network as well as functional program distribution.

인도의 해상 안보 전략: 구실, 맥락 및 숨은 의미 (India's Maritime-Security Strategy: Pretext, Context and Subtext)

  • 쿠푸릿 쿠루나
    • 해양안보
    • /
    • 제4권1호
    • /
    • pp.1-56
    • /
    • 2022
  • 왜 인도는 해양으로 환경 설정된 인도태평양 지역의 핵심 행위자가 되었는가? 몇 가지 외부적 요인이 있지만, 인도의 경우 점점 더 험난해지는 지정학 및 안보 환경 속에서 인도의 지정학 및 해양 이권을 망라하는 전략지정학적 경계가 인도양 및 태평양에 걸친 자신의 영토를 넘어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는 해양 군사력을 포함한 국력의 모든 면을 활용하여 이러한 전략적 무대 내의 사건에 영향을 미칠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최근에 해상 안보 전략을 검토하는 데 많은 지적자본을 투자했다. 인도의 새로운 전략은 해상안보의 더 '소프트 (soft)'한 측면을 수반한 전체론적인 안보의 개념 및 전통적으로 '해양 전략에 대해 무지한 (sea-blindness)' 국가인 인도의 해양 인식을 되살리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새로운 전략은 '안전한 바다 보장하기: 인도의 해상안보 전략'이라는 제목에서 분명히 보이듯이, 지금까지보다 더 지역 전체적, 포용적, 적극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이 전략은 인도 연안 지역의 새로운 비전통적인 위협에 대한 커져가는 우려 및 군사적 억제력과 대비의 필요성을 다루는 한편, 전략적 자주성이라는 지속되는 원칙에 이끌린 다중 매개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것을 포함해 인도의 근접한 그리고 확장된 해양 주변부에서 호의적이고 규범에 기반한 온화한 환경을 추구하기 위한 인도의 필수적인 과제를 다룬다. 인도의 해상안보 전략에 대한 더욱 심오하고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본 논문은 이 전략을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무언의 암시된 요소를 살펴본다. 이는 인도의 국가로서의 역사적, 문화적 진화; 전략적 지형; 지정학 및 안보에 대한 인식; 그리고 방위군에 대한 정치적 방향을 포함한다.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자연재해, 범죄 및 국가가 지원하는 테러에서부터 파키스탄과 중국이 가하는 위협에 이르는 해상위협에 대한 인도의 대응, 그리고 말라카 해협(Malacca Straits)의 동부에서 인도 해군이 구상 중인 역할을 다룬다. 또한, 인도의 해상안보 세력에 대한 조직개편 및 부대 기획의 측면도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