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estial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지상파 3D HDTV 방송을 위한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한 연구 (A frame structure of modified ATSC system for terrestial 3D HDTV broadcasting)

  • 오종규;김준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7-25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3D H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정된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전송 시스템 [2]을 위한 시변다중경로채널에 강인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고 성능을 측정하였다.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 [2]은 기존 ATSC 전송 시스템[1]의 채널 부호화부를 수정하고, 변조 성상도를 증가 시키면서 적정한 수준의 TOV (Threshold of Visibility)에서의 전송 용량 증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증가된 전송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순수 데이터 전송률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시변다중경로채널에서 효율적으로 채널을 추정하고 복구하기 위해, ISI (Inter Symbol Interference)를 방지하기 위한 프레임 헤더의 보호구간에 알려진 PN (Pseudorandom Noise) 심벌을 삽입하였다. PN 심벌을 보호 구간에 이용할 경우 시간 영역에서 채널 임펄스 응답 (CIR: Channel Impulse Response)을 추정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보상을 가능케 하여 정확한 채널 추정 및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의 속도에 따른 다양한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존재하는 채널에 강인한 프레임 구조들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에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TU (Typical Urban)-6 채널에서의 SER (Symbol Error Rate) 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디지털 지상파 및 다중 표준 수신을 위한 RF 모듈 설계 (A RF Module for digital terrestrial and multi-standard reception)

  • 고민호;;신현식;박효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8-19
    • /
    • 2006
  • 디지털 지상파 및 다중 표준(DVB-C, ISDB-T, DVB-H) 수신에 응용할 수 있는 RF 모듈을 개발하였다. 단일변환 방식을 적용하였고 광대역(45MHz~860MHz) 방송 채널을 세 개(UHF, VHF_HIGH, VHF_LOW)의 대역으로 분할하여 영상신호 응답 및 위상잡음 특성, IF 평탄도와 같은 전기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또한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함께 서비스되는 환경에서 아날로그 신호 및 디지털 신호의 인접채널 간섭 및 동일채널 간섭 특성과 같은 디지털 수신 성능 규격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 PDF

지상파 3D HDTV 전송을 위한 ATSC 전송 시스템의 확장 및 수정에 관한 연구 (A Modification of ATSC Transmission System for Terrestial 3D HDTV Broadcasting)

  • 오종규;김준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81-6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D H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증가된 데이터를 단일 지상파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기 위해서, 기존 ATSC 전송 시스템[1]을 확장하고 수정하여 전송 용량 증대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ATSC 8-VSB 전송 시스템의 성능을 살펴보고 이를 지표로 삼은 뒤 기존의 RS + TCM 채널 부호화 대신 BCH + LDPC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율을 변화시키고 변조 성상도를 증가시키면서 적정한 수준의 TOV(Threshold of Visibility)에서의 전송 용량 증대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최대한 기존 전송 표준의 요소기술을 유지하고자 하나 최대한의 전송 용량 증대를 위하여 완벽한 역호환성은 유럽의 DVB-T2 시스템처럼 고려하지 않았다.

멀티 플랫폼 시대 지상파 방송 콘텐츠 유통 전략 방안 (Terrestrial Broadcasting Content Distribution Strategy in the Multi Platform Environment)

  • 정동훈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7-130
    • /
    • 2012
  • Due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 and device, it is called mobile age that boosts various distribution routes of multi-media content and it constructs a new digital content consumption trend. N-screen is one of the new-introduced examples in the digital age and broadcasting industry believes it as a crisis and challenge as well. It becomes a ubiquitous multi-media environment that people watch multi-media content everywhere and any time they want to and competition happens beyond the boundaries such as network industry, terminal industry, pay TV market, traditional terrestrial TV, etc. And then how should the broadcasting service prepare for the N-screen business? The present research proposes a few terrestial broadcasting content strategies in the multi platform environment. First, instead of N-screen, it proposes multi platform, especially One Source Multi Platform(OSMP). Second, so-called 'Integrated Terrestrial Broadcasting OSMP Alliance(IBPA)' must be founded. Third, IBPA should support multi-tasking UX for viewers to have rich experience. Last, it becomes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to support local terrestrial broadcasting service for public service in the multi platform age.

지상사진과 항공사진 해석에 의한 시설물 공간정보 추출 (Extraction of Spatial Information of Facility Using Terrestrial and Aerial Photogrammetric Analysis)

  • 손덕재;이승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5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형도나 준공도면 자료에서 상세정보가 누락되거나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설물관리체계에 필요한 수치지도의 체계적인 구축이 요구되는 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상사진, 항공사진 등 영상자료에 다양한 사진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수치지도를 생성하고 공간 및 속성정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사진 촬영에 의하여 대상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촬영된 사진영상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형태와 특징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3차원 사진영상모델을 생성하였다. 또한, 소축척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벡터라이징을 실행한 결과, 각 건물과 도로시설물의 위치와 형태 등 공간정보의 추출이 가능하였다.

  • PDF

디지털 지상파 및 다중 표준 수신을 위한 RF 모듈 설계 (A RF Module for Digital Terrestrial and Multi-standard Reception)

  • 고민호;박욱기;신현식;박효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3A호
    • /
    • pp.345-355
    • /
    • 2006
  • 디지털 지상파 및 다중 표준(DVB-C, ISDB-T, DVB-H) 수신에 응용할 수 있는 RF 모듈을 개발하였다. 단일변환 방식을 적용하였고 광대역($45MHz{\sim}860MHz$) 방송 채별을 세 개(UHF, VHF_HIGH, VHF_LOW)의 대역으로 분할하여 영상신호 응답 및 위상잡음 특성, IF 평탄도와 같은 전기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또한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함께 서비스되는 환경에서 아날로그 신호 및 디지털 신호의 인접채널 간섭 및 동일채널 간섭 특성과 같은 디지털 수신 성능 규격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TV뉴스 여성 앵커의 빨강색 의상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 News Anchor Women's Red Clothing Image)

  • 정지연;이은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5-30
    • /
    • 2010
  • This study was motivated from the point that TV anchor women wore red clothing the most when they appeared at the broadcasting. For the analysis of clothing color, the main news programs of three local terrestial broadcasting systems were adopted, and the screen sources having been obtained for a year on the anchor women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were classified by S/S, F/W. As the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e imag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herent symbolic meaning of red color, and red color was frequently adopted for the happy-passionate image. It is judged that the reason is red color clothing spotlights passionate, challenging and imposing image which anchor women have. It revealed that whil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coloration between red upper clothing and other clothing, the inner-wear white color of the red jacket, or of the black inner-wear was matched the most, regardless of season. It is judged that this is because the coloration of red and white, and of red and black give not only brilliant but also clear image.

위성 통신을 이용한 고속 인터넷 기반의 원격 PACS 개발 (Development of Fast Internet based TelePAGS using Satellite Channel)

  • 최인귀;김상진;이준영;황선철;이명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3249-3252
    • /
    • 1999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Tele-PACS of radiology, which uses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asymetric satellite data communication system. The asymetric satellite data communication system uses receive-only satellite links for data delivery and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modem or N-ISDN(Integrate Services Digital Network) for communication. The satellite communication linking shows the very high-speed performance than terrestial linking such as 28.8 kbps modem linking and 56Kbps linking. The satellite linking is 5 - 10 times faster than the 56Kbps linking. We conclude that 1) Satellite networking is currently the cheapest and fastest solution for internet access. 2) Web-based Image-Viewer enables small size hospitals in rural area to connect to central PACS easily and to retrieve the image data reliably. 3) The suggested teleradiology system using satellite networking could be adequate to fast telemedicine and telecare for rural hospitals especially located in geographically isolated areas such as islands.

  • PDF

CLM-FATES 모델을 이용한 습지 모의 (Wetlands Simulation using CLM-FATES)

  • 오현영;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1-191
    • /
    • 2023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 중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생태계의 가장 큰 메탄 저장소로서 지구의 탄소 순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습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전지구 지면 모델인 Community Land Model(CLM)에 Functionally Assembled Terrestial Ecosystem Simulator(FATES) 외부 모듈을 함께 구동한 지면 생태계 모델 CLM-FATES는 지면 heterogeneity와 다양한 식생 종류를 고려하여 에너지 플럭스, 토양 수문, 생화학적 과정 등을 모의함으로써 탄소 동태 변화를 포함한 장기적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CLM-FATES 모델을 미국 캘리포니아주 Mayberry Wetland (US-Myb)와 Twitchell East End Wetland (US-Tw4)에 적용하였다. 모델의 대기 입력 자료로는 FLUXNET-CH4에서 제공하는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관측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 CLM-FATES 모델은 토양이 장기간 포화 혹은 침수되어 지표 위 혹은 지표면 가까이 발달한 지하수면을 가지고 있는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해 정밀한 습지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M-FATES를 통한 보다 정확한 습지 생태계 모의를 위해 모델 내 토양 수문 관련 모듈을 수정하여 모델이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델 구동 결과 도출한 잠열,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과 순생태계생산량(Net Ecosystem Production, NEP) 플럭스, 메탄 플럭스,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와 지표수 높이에 대해 관측값 대비 RMSE 및 R2 값을 계산하여 모의 결과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모델 개선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우리나라 습지 사이트에 모델을 적용하여 습지 탄소 동태 예측에 활용할 계획이다.

  • PDF

강원도 자연환경연구공원의 육상 포유류 종다양성 (Species Diversity of Terrestial Mammalia in the Nature Environment Research Park in Gangwon Province)

  • 이기영;김의경;조중현;박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5-155
    • /
    • 2011
  •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8년에 걸쳐 강원도 자연환경연구공원 내 산림 및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조사구역 I: 호수 및 주변 수변생태계, 조사구역II: 인가 및 주변 산림생태계, 조사구역Ⅲ: 산림생태계)으로 육상 포유동물의 종다양성과 분포현황 및 변화양상을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 동안 멸종위기종인 하늘다람쥐, 수달, 삵 등이 연구지역 내에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유동물의 종다양성은 인가 접경 산림인 조사구역II보다는 수변지역인 조사구역I과 산림지역인 조사구역III에서 다양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다양성의 변화는 2006년에 다소 증가했으나 2007년부터 미세하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종수의 미세한 감소와는 달리 개체수는 2007년부터 매우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연구지역 내 산림에서 포유류의 종다양성과 개체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