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nally ill patient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Opioids Use and Adrenal Insufficiency)

  • 정지훈;최윤선;김정은;김이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3호
    • /
    • pp.113-121
    • /
    • 2014
  • 치료 불가능한 암환자들은 전신적 쇠약 이외에 피로와 에너지 상실, 무력감, 식욕부진 및 통증 등이 주요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들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들은 가벼운 증상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신기능부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난다. 완화의료병동에 입원 중인 말기암환자들 중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 조절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은 부신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 및 비암성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대상으로 여러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마약성 진통제로 인해 부신기능의 저하가 나타났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아직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마약성 진통제로 인한 부신기능의 저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드물다.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 조절을 받고 있는 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들의 부신기능을 측정함으로써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 사용기간 및 용량과 부신기능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증치료 및 호르몬 보충 요법은 환자들의 예후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스피스 전개에 있어서 과제와 방향에 대한 모색 -호스피스 전개를 위한 교육적 측면에서- (Review on the Approaches and Issues of the Hospice Care Program)

  • 조유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6-159
    • /
    • 1994
  • The conecpt of hospice care for the terminally ill is a development of relatively modern times, although it has its origins in antiquity. The hospice will be able to handle progressively more and more patient, to the limit of its resour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of demand and issues of the hospice care programes and to recommand the hospice care approaches in south Korea that using the book-review method. At this point, although at present there is a general unawareness of hospice throughout Korean society, the public will become gradually aware of hospice. This will thus aid the development of hospices. Awareness will come about because of the educational efforts of medical schools, nursing schools, allied health training programs, practicing hospice care giver, universities, and others interested in hospice education. At present, there are many issues of the hospice care program that are hospice resources problems of manpower, facilities, finances, and cost of hospice services, quality of care, and ethics.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most efficacious organizational hospice models for varying conditions. They will insist upon reasonable regulatory agency regulations that will promote the hospice idea and. permit adequate remuneration for services provided. More research is needed on health professionals', patients', and others' attitudes towards death.

  • PDF

Factors Associated with Person-Centered Care among Hospice Nurses

  • Kwon, Sinyoung;Kim, Kyoung H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2호
    • /
    • pp.66-75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son-centered care, nursing professionalism,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empathy capacity among hospice ward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erson-centered car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120 nurses at 30 inpatient hospice institutions in South Korea from August 24, 2020 to September 8, 2020.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6.0. Results: The scores were 3.76±0.45 for person-centered care, 3.58±0.47 for nursing professionalism, 3.24±0.57 for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4.00±0.46 for empathy capacit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erson-centered care of hospice nurses were being a manager (β=0.20, P=0.002), high nursing professionalism (β=0.20, P=0.012), a better nursing work environment (β=0.15, P=0.033), and high empathy capacity (β=0.51, P<0.001). The explanatory power was 65.3%. Conclusion: To reinforce the person-centered care competency of hospice nur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nursing professionalism,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empathy competency. Opportunities for nurses to practice independently must be expanded for nurses to develop nursing professionalism. Sufficient nursing personnel and material resources must be provided to nurses to cultivate a positive work environment. Empathy should be improved by implementing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that include nursing practice situations.

Clinical Experience of Nurses in a Consultative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 Sinyoung Kwon;Jinyee By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7권1호
    • /
    • pp.31-44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mploy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elucidate and understand the essence of practical experiences among consultative hospice palliative care nurses working in hospice institu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5 consultative hospice palliative care nurses with over 1 year of work experience in institutions located in S City, I City, and K Province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3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Results: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consultative hospice palliative nurs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categories, 10 theme clusters, and 25 themes. The five categories included "being aware of patients' situations at the time of transition to hospice palliative care," "empathizing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by putting oneself in the other's shoes," "providing patient and family-centered end-of-life c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ractical tasks," and "striving to improve hospice service quality."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consultative hospice palliative care nurses car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This could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care solutions that effectively tackle the challenges consultative hospice palliative care nurses encounter while fulfilling their roles.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The Development of Hospice and Spac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Hospice Facilities Established Between 1980-2009)

  • 정미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3-12
    • /
    • 2018
  • Hospice is the wholistic caring service for terminally ill patient and his family so that he can live in dignity and maintain the quality of life until he passes away peace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hospice movement in UK, USA, Japan and Korea, to analyze spac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built between 1980-2009 through case stud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odern hospice started in England and it has spread around the world rapidly. In Korea, hospice service was introduced even prior to US and Japan and developed in spite of poor medical environment. The application of health insurance subsidies were lat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but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ystem was quickly set on the basis of precedent cases. Second, the number of hospital beds per facility is decreasing, and it has been divided into smaller clusters for the residential atmosphere. The controversy between private rooms and multi-patient room is still ongoing, and increasing facilities without in-patient service. Rather than establishing uniform and absolute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flexible space which can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such as patients' needs, service changes, and manpower status. Third, the spaces for family members and friends to stay in both private rooms and communal spaces are increasing. Forth, Facilities for patients with different needs, such as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IDS patients, have been developed in UK and USA. Further research on of patients' diverse needs and customized environmental support is necessary.

Problems Related to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 Heo, Dae Seog;Yoo, Shin Hye;Keam, Bhumsuk;Yoo, Sang Ho;Koh, Younsuc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1호
    • /
    • pp.1-11
    • /
    • 2022
  •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has been in effect since 2018 for end-of-life patients. However, only 20~25% of deaths of terminally ill patients comply with the law, while the remaining 75~80% do not. There is significant confusion in how the law distinguishes between those in the terminal stage and those in the dying process. These 2 stages can be hard to distinguish, and they should be understood as a single unified "terminal stage."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eligible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should be legally expanded to properly reflect patients' wishes. To prevent unnecessary suffering resulting from futile life-sustaining treatment,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for terminal patients without the needed familial relationships should be permitted and made by hospital ethics committees. Adult patients should be permitted to assign a legal representative appointed in advance to represent them. Medical records can be substituted for a patient's judgment letter (No. 9) and an implementation letter (No. 13) for the decision to suspend life-sustaining treatment. Forms 1, 10, 11, and 12 should be combined into a single form. The purpose of the Life-sustaining Medical Decisions Act is to respect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protect their best interests. Issues related to the act that have emerged in the 3 years since its implementation must be analyzed, and a plan should be devised to improve upon its shortcomings.

보건소 재가암환자관리사업 대상자의 서비스 요구도 분석 (Needs Assessment for the Beneficiarie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Project)

  • 이주형;박정임;강지훈;염정호;고대하;권근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4호
    • /
    • pp.238-250
    • /
    • 2011
  • 지속적인 암환자 및 암 관련 의료비용 급증은 환자 개인의 고통 및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할 뿐만아니라 사회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재가암 환자에 대한 통증관리 등의 서비스 제공은 의료 비용을 절감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재가암환자에 대한 적절한 의료 및 복지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재가암환자관리사업 수혜자의 서비스 요구도에 대하여 각 보건소의 재가암환자관리사업 담당자가 재가암환자관리사업 수혜자 방문시 면접조사방법으로 조사하였고, 불충분응답자 15명을 제외한 661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재가암환자의 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5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요인별 신뢰도는 0.593~0.890이었다. 요구도의 순위는 사회적 지지, 정보 및 교육제공, 심리적 문제해결, 신체증상해결, 가사도움 순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를 암 치료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말기암 환자, 치료중인 암환자, 암 완치자로 분류하였을 때, 말기암환자의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심리적 문제 해결, 정보 및 교육 순서로 요구도가 높았다. 나머지 그룹에서는 사회적지지, 정보 및 교육, 심리적 문제 해결 순으로 말기 암환자와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연령별, 거주 지역별, 종교 유무에 따른 서비스 요구도에 차이가 관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재가암환자관리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대상자 분류, 연령별 및 거주 지역별 특성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Social Implication of Living Wills, Advance Directives and Natural Death Act in Korea)

  • 이인영
    • 의료법학
    • /
    • 제9권1호
    • /
    • pp.413-459
    • /
    • 2008
  • The Law has intervened to define rare circumstances in which a person should choose continuing life in United States. On the one hand, the law has traditionally acted to preservelife and to respect the sanct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one's control over one's own body, and the right to determine what kind of medical care one will receive, is equally well respected and historically grounded. The competent patients have the right to forgo life-sustaining treatment, courts in United States have left many unanswered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that right. The right to choose to forgo life-sustaining treatment is a manifestation of a patient's autonomy interest. In United States, The Karen Quilan case gave rise to legislative activity in the host of state capitals, and several states had adopted statutes that formally recognized some forms of written directives describing some circumstances in which certain kinds of medical care could be terminated. These statues were sometimes dominated 'living will' acts, sometimes 'right to die' acts and ocasionally 'natural death' acts. Today virtually every state has produced a living will statue. In Korea, courts do not permit a terminally ill person to withhold or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Living wills apply in case of terminal illness owing to a defect in legislation. Now In Korea, these lively dispute of legal policy on the preconditions and concrete procedure of living will act and natural death act. Through the legislation of living will act and natural death act, we should prepare some circumstances to respect patient's autonomy on the right to die. We should frame the cultural standard to make a decision of forgoing life-sustainin1g treatment under the discreet procedure.

  • PDF

말기 환자의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관한 의료인의 인식 유형 (Types of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 조계화;김균무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78-288
    • /
    • 2014
  • 목적: 의료가 복잡하고 전문화된 최근에는 의료학문간 소통과 융합이 강조되고 있다. 병원업무는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분야의 협동 체계를 통한 의사결정의 효율성이 요구된다. 이 논문은 말기 환자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의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Q 방법론을 적용하여 35개의 Q 진술문을 9점 척도의 정규분포로 39명에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PC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결정형, 의사결정형, 의료인 공유결정형, 환자 가족 결정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동의한 항목은 충분한 설명과 치료과정의 공유, 교육 등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으로 생각한 항목은 치료에 법적 측면을 고려에 대한 내용이었다. 제1유형은 환자의 요구와 가치관을 존중하는 환자중심의 의사결정 방식을, 제2유형은 의사가 결정을 내리고 환자가 이를 따르는 방식을, 제3유형은 의료인 상호간의 협력적인 의사 공유를, 제4유형은 의료인뿐 아니라 가족 참여의 의사결정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결론: 의료인 간의 생각이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일반인과도 의견의 차이를 보여준다. 의사결정에 대한 의견의 공유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말기질환 아동을 위한 환경적 지지모델(The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에 근거한 음악치료사례연구 (A single case study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bas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a terminal pediatric patient)

  • 전미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권2호
    • /
    • pp.15-31
    • /
    • 2005
  •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지지 모델 음악치료는 음악 환경의 구조적인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그리고 참여(involve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음악 환경은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도와준다. 이 세 가지 치료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말기질환 아동과의 음악치료사례를 분석하여 말기 질환 아동의 행동이 환경적 지지 역할을 하는 음악 안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0살의 급성 림프성 백혈병 여아로 총 9회의 세션을 통한 음악 치료 활동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환경적 지지모델의 세 가지 치료적 요소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행동들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환아와의 주 음악 치료 활동은 악기 연주하며 노래부르기, CD플레이어로 노래 들으면서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가사 탐색하기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측면에서는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과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해줌으로써 아동이 성공적으로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측면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Involvement)의 측면에서는 치료사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이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공유된 활동 안에서 치료사와 상호 협력적으로 음악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는 환경적으로 지지 역할을 하며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아동에게 자발성과 독립성을 개발시켜주고 병원 환경이라는 제약된 환경 안에서 자율성을 촉진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음악 치료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입원 환경에 있는 아동들을 위한 더 다양한 접근 방법의 음악치료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