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nal Care Stres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mong Pediatric Nurses)

  • 박은영;방경숙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55-6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pediatric nurs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154 pediatric nurses who experienced terminal care at least once were surveyed. This study used three scales, including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Data analyses using SPSS 22.0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ann-Whitney U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erminal care stress experienced by the pediatric nurse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the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enhanced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Conclusion: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pediatric nurses to improve pediatric hospice-palliative care.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is required because the present results are inconsistent with previous and current researche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Attitude)

  • 양승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73-88
    • /
    • 2015
  •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90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임종 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32.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 of Locu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Stress and Fatigus on the Geriaic Hospital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 임희영;윤미진;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29-33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수준을 알아보고 임종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42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는 SPSS Win 22.0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 경로분석은 Amos 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피로, 내적통제신념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내적통제신념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덜 받고 또한 임종간호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피로를 감소시킬수 있는 전략적 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질적인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교육이나 업무환경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임귀연;최소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75-28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for explaining and predict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model was based on the stress integration model of Ivancevich and Matteson(1980)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Method: Data was obtain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22 from 267 nurses in 13 long-term care hospitals in G-do. Results: Results of model verification for this study, revealed that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were nursing work environment(β=0.43, p<0.001), death anxiety(β=-0.29, p<0.001), and terminal care stress(β=0.22, p=0.003). However, the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dying(β=0.07, p=0.287) had no effect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an individual's perceived nursing work environment, continuous education related to terminal care to reduce death anxiety, and an interventional approach for enhanc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eath Perception, Spiritual Well Being and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 양진희;신성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10-52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연구 대상은 노인요양병원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1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2015년 7월 16일부터 2015년 8월 1일 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은 평균 4.30점, 영적 안녕은 평균 3.40점,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평균 3.84점이었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종교, 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적 안녕은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47), 영적 안녕이 평균 평점 1단위 증가할 때마다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상'그룹에 속할 확률이 Odds비 1.702로 나타났다. 노인요양병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되며,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임종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Effects of Aroma Foot Baths on Stress and Sleep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Kim, Bok Soon;Chae, Sun Hwa;Hwang, In Cheol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2호
    • /
    • pp.109-11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 foot baths on stress and sleep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thods: We performed a non-randomized intervention-control study with 30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 palliative care unit. Participa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stress and sleep before and after a 5-day interval.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 daily aroma foot bath for 5 days. We performe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hanges in outcomes on stress and sleep for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excluding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general weaknes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physical stress and psychological stress levels, but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observed in quality of slee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hysical stress (P=0.068) and psychological stress (P=0.021). Conclusion: Aroma foot baths are effective for reducing stress in patients hospitalized with terminal cancer.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정영희;전경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3호
    • /
    • pp.125-133
    • /
    • 2019
  • 목적: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요양병원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충청남도 A시, C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6개월이상 경력의 임종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는 2018년 1월 17일부터 3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SPSS WIN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 One way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d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5점 척도의 평균 $3.54{\pm}0.46$점이며 임종간호스트레스는 평균 $3.77{\pm}0.50$점으로 보통 수준 이상이었다. 연령, 총임상경력, 죽음교육 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직계가족의 임종경험 여부에 따라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점평균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임종간호 스트레스 중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60, P=0.002).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으며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낮아지므로 간호사의 특성에 맞춘 생애말 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due to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 하신영;송준아
    • 노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7-22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I) of terminal care stress (TCS) on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LCH). Methods: Participants were 182 nurses from 6 Seoul LCH.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17.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TCS, and TI. Results: Subjective satisfaction on the job (r=.52, p<.001), number of monthly terminal care elders (r=.16, p=.043), TCS (r=.16, p=.027), and sub-categories of TCS, 'difficulty for assigning timetable to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s' (r=.17, p=.025), 'feeling a burden of car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r=.23, p=.002), and 'conflict with terminally patients' (r=.16, p=.034)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I.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f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job (${\beta}=.52$, p<.001) and TCS (${\beta}=.23$, p=.001) with a 30.3% explanatory power. When sub-categories of TCS were entered,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the job (${\beta}=.50$, p<.001) and 'feeling burden of terminally ill patients' (${\beta}=.28$, p<.001) wer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I with explanatory power of 32.8%.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standardized practice guideline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erminal care in LCH as well as stress healing programs for nurses.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에 미치는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Performance for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 김희영;남금희;권수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4호
    • /
    • pp.253-263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증진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의 관계를 규명하고,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7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B 광역시 소재 D대학교병원 간호사 218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IBM SPSS/WIN 21.0 software를 사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공감역량(r=-0.345, P<0.001), 극복력(r=-0.223, P=0.001), 임종간호수행(r=-0.260, P<0.001)과 음의 상관관계였으나 공감역량(r=0.467, P<0.001)과 극복력(r=0.358, P<0.001)은 임종간호수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은 완전매개 효과(${\beta}=0.409$, P<0.001), 극복력은 부분매개효과(${\beta}=0.294$, P<0.001)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극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임종간호 수행 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Delirium-Related Knowledge, Caregiving Performance, Stress Levels, and Mental Health of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Delirium in a Hospice Care Unit

  • Jung, Mi Hyun;Park, Myung-Hee;Kim, Su-Jeong;Ra, Jeong R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2호
    • /
    • pp.116-129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nowledge, caregiving performance, stress levels, and mental health of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delirium, insofar as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evant for delirium. Methods: Between May 1, 2019, and June 1, 2020, 96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delirium completed a structured survey, the results of which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correct answer rate for delirium-related knowledge was 53.2% across all subcategories, which included knowledge of causes (41.5%), symptoms (65.4%), and caregiving (51.7%). The average score for family caregivers' performance of caregiving for delirium was 2.60±0.5, with subcategories including caregiving for patients without delirium (2.16±0.95), caregiv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 (2.84±1.01), and stress related to caregiving for delirium (39.88±16.55), as well as categories such as patient-related caregiving (44.32±28.98), duty-related caregiving (44.21±30.15),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related caregiving (22.35±25.03). For mental health, the average score among family caregivers was 1.96±0.70, with the highest score being for the category of additional items (2.28±0.84).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hyperactive delirium as the delirium subtype had higher scores for caregiving performance tha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mixed delirium. Conclusion: Scores for the delirium-related knowledge and caregiving performance of family caregivers were low, while their caregiving stress levels were high due to their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delirium-related education for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delirium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help manage stress and promote mental health among family careg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