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nal Care Attitud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Influence of Perceptions of Death, End-of-Life Care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among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Park, Ju-Young;Oh, Jina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38-4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ptions of death, end-of-life (EOL) care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attitudes toward EOL care among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1 nurses working in a NICU who had experienced EOL care at least o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for Windows. Results: The mean score for perceptions of death was 3.16 out of 5, the mean score for EOL care stress was 3.61 out of 5, the mean emotional intelligence score was 4.66 out of 7, and the average score for EOL care attitudes was 2.77 out of 4.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s EOL care were academic degree, anxiety regarding death, negativity towards death, experiences of patient death,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attitudes towards EOL care was 24.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c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s and EOL care protocols to improve attitudes toward EOL care among NICU nurses.

임종 다빈도 부서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대처정도와 생애 말기환자 간호와의 관계 - 응급실, 중환자실, 종양내과 병동 간호사를 중심으로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Focus on Nurses at ED, ICU and Oncology Department)

  • 서민정;김정연;김상희;이태화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2호
    • /
    • pp.108-117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 및 간호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2) 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3)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방법: 3개 대학병원의 임종 다빈도 부서인 종양내과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 근무하는 18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다차원 죽음에 대한 태도 척도', '죽음에 대한 대처정도 척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인식 척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수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기술 통계,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은 결혼 유무, 종교, 근무 부서,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은 죽음에 대한 태도(P=0.014), 죽음에 대한 대처(P=0.003),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이 근무부서(P<0.001),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P<0.001)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이 근무 부서,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에 영향을 받으므로, 근무 부서에 따라 차별화된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말기환자 돌봄 교육 후 의과대학생의 인식과 태도 변화 (Awareness and Attitude Change after End-of-Life Care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 김현경;남은미;이경은;이순남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1호
    • /
    • pp.30-35
    • /
    • 2012
  •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에서 말기환자 돌봄에 대한 교육이 충분치 못하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에서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학생들의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4학년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설문조사를 교육 전과 후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시기에 관한 질문에 교육 전에는 '임종이 가까운 말기'가 33.6%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나 교육 후에는 '건강할 때'가 58.7%로 가장 많았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유보나 중지에 관하여는 수업 전과 후에 심폐소생술은 48.1% 대 92.5%, 기관삽관이나 인공호흡기 38.3% 대 92.5%, 혈압상승제 39.1% 대 85.8%, 혈액투석 60.9% 대 94.8%, 총정맥영양공급 27.8% 대 56.0%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안락사에 대한 반대 의사는 46.6%에서 82.1%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모든 학생이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필요하다고 동의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의과대학생은 임종환자관리 교육과정을 통해 죽음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컸다. 향후 이러한 교육과정이 모든 의과대학에서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The Effects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Death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mong Nurses in Convalescent Hospitals

  • Chu, Eun-yeong;Jang, Sun-h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3호
    • /
    • pp.154-16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working in convalescent hospitals on death anxiety, death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Among 53 participants, 26 were assigned to the non-equivalent experimental group and 27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performed in the formats of lectures, video-watching, group discussions, and sharing, and consisted of 10 sessions held twice a week, for 5 weeks (90 minutes per se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d the chisquare test in SPSS version 21.0.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observed in death anxiety (t=7.62, P<0.001), death attitudes (t=-7.58, P<0.001), and attitudes to end-of-life care (t=-10.30, P<0.001).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reduced death anxiety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death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pecialized and systematic education that can increase the implementation and stability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nursing,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hospice patients and members of society more broadly.

안락사에 대한 간호사의 의식 (A Study on Attitude of Nurses toward Euthanasia)

  • 홍명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46-46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cent attitude of nurses toward euthanasia. and to provide necessary basic information for on-the-job-training and student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521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attached to university in Seoul. to whom I distributed questionnaires which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instrument of Tordella & Neutens. from 21. July. 2000 to 27. July. 200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examined through SPSS program and were analysed through Frequency. Means.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are in age of average 26.9. in education of junior college graduate $83.7\%$. in both parent alive $85.2\%$. in marital status of single $77.5\%$. in religion of christianity $34.8\%$ against non-religion 38.3%. The term of employment is average 52.7 months and are in various post. The experience of family dying $46.3\%$ and of terminal care $56.8\%\;and\;82.5\%$ are information oriented to euthanasia. 2. The attitude toward euthanasia reveals 3.40 score in average. and is significant in relation to religio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p<.000). 3. Passive euthanasia reveals 2.48 score in average with significance in religion(p<.000), and duty post (p<.046). Natural euthanasia is 4.09 score which is in most characteristics positive direction with significance in information oriented group. Indirect euthanasia reveals 2.98 score and are significant in various group of age (p<.004). both parents alive (p<.005), marital status (p<.000). term of employment (p<.022), duty post (p<.005), and family dying(p<.028). Family commitment is 3.51 score with significance in both parents alive (p<.023) and term of employment (p<.020). Clear definition of euthanasia and analysis of its effects need to be studied in order to improve proper courses of nursing patients with terminal illness.

  • PDF

The Relationships of End-of-life Care Stress with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mong Pediatric Nurses

  • Park, Ki Young;Jeong, Jeong H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4호
    • /
    • pp.235-24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relieve the end-of-life care stress experienced by pediatric nurs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of end-of-life care stress with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via a survey that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0 to September 30, 2018 and administered to 113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in a pediatric unit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5.0. Results: End-of-life care stress among pediatric nurses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r=0.216, P<0.05) with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mong the sub-factors of end-of-life care stress, psychological difficulties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sensitivity (r=0.309, P<0.01) and communication (r=0.230, P<0.05), which are aspects of compassionate competence. Lack of knowledge about end-of-life care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r=0.209, P<0.05) as an aspect of compassionate competence.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provided by pediatric nur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reduce their end-of-life care stress by developing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s.

The Effects of Nurses' Knowledge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ath Anxiety, Perceptions of Hospice on Their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Lee, Young Eun;Jung, Yu Jin;Jang, Yoo Na;Jeong, Hyo E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3호
    • /
    • pp.114-125
    • /
    • 2020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urses' knowledge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ath anxiety, and perceptions of hospice care on their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nurses at tertiar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or primary hospitals in Busan, Korea,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the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articipants' scores were 3.68±0.45 (out of 5) for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0.65±0.15 (out of 1) for knowledge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2.61±0.26 (out of 4) for death anxiety, and 4.06±0.43 (out of 5) for perceptions of hospice care. Furthermore, knowledge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perceptions of hospice ca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hile death anxie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perceptions of hospice care, followed by having experienced caring for patients who withdrew life-sustaining treatment, death anxiety, having a spouse, and ethical values, an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43.0%.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erceptions of hospice were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nurses'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validat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perceptions of hospice care.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및 지식 그리고 죽음에 대한 태도: 일개 지역에서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Perception and Knowledge of Hospice Care and Attitude toward Death Held by Medical Professionals from the Same Region in Korea)

  • 이영은;최은정;박정숙;신성훈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4호
    • /
    • pp.242-252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및 지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하는 의사 84명, 간호사 172명으로 총 2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4월 5일부터 동년 4월 30말까지 실시되었다. 결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목적에 대한 인식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호스피스가 질병으로 더해오는 통증을 완화시켜주고 편안을 도모한다'는 항목에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말기 환자는 감정의 변화를 많이 겪는다' 라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은 두 군 다 낮게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는 '통증과 증상관리'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가 간호사보다 지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의사: $6.97{\pm}1.82$, 간호사: $5.68{\pm}1.93$, P<0.001). 죽음에 대한 태도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및 지식의 향상과 죽음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정립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마련될 것을 제안한다.

중년 남성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Men's Attitude towards Death)

  • 정영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3호
    • /
    • pp.166-174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년 남성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올바른 자아성찰이 포함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40~59세 중년 남성을 편의 표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 문항에는 일반적 특성,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우울, 대처행동,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을 포함시켰다. 자료는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년 남성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교육 정도, 종교, 자원봉사활동, 인지된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는 생활스트레스, 우울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대처행동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죽음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은 생활만족도, 생활스트레스, 종교, 대처행동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죽음에 대한 태도 설명력은 25.7%였다. 결론: 중년 남성이 죽음을 올바로 이해하고 긍정적이면서 수용적인 태도를 지니기 위해서는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교육수준이나 경제수준과 같이 당장 변경이 어려운 요인보다는 보다 접근이 용이한 심리적인 요인에 초점을 두고 개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런 중재는 일반 중년 남성뿐만 아니라 말기 암이나 호스피스 치료를 받고 있는 중년 남성, 더 나아가 중년 여성이나 다른 연령층에게 본 연구결과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말기암환자에서 심폐소생술금지 (Do-not-resuscita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

  • 권정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3호
    • /
    • pp.179-187
    • /
    • 2015
  • 환자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 환자, 보호자, 의사 사이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논의는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말기의 암환자인 경우에는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을 고려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음(Do-not-resuscitate, DNR)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DNR에 대한 선택은 환자와 보호자의 심폐소생술과 DNR의 의미 및 그 결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DNR에 대하여 환자, 보호자, 의료진이 상담을 할 때는 환자의 질환이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며, 심폐소생술이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죽음의 과정을 연장시키는 것이며, 심폐소생술 이후에 삶의 질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는 상황이라는 합의가 필요하다. 충분한 이해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한 DNR을 선택하도록 한다. 국내에서는 DNR 자체 보다는 이미 생명유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의 생명유지장치의 제거에 대한 법적인 문제가 2차례 발생하면서 사회적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이전보다 증가하였다. 환자와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DNR에 대한 인식과 의지가 80년대에 비해 2000년대 초반에 이르러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DNR의 결정에 있어 환자가 직접 관여를 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DNR 작성 시점과 사망 시점과의 시간 간격이 1주 이내로 환자가 관여를 하거나 임종시기의 의료를 결정하기에는 너무 짧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조기 완화의료의 확산을 통하여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에서는 DNR이라는 용어보다는 자연적인 죽음을 허용함(Allow-Natural-Death)이라는 용어로 바꾸어서 설명하는 것이 이해를 돕고 선택의 갈등을 줄인다는 보고를 하여 DNR 논의와 결정에 있어서 적절한 시기 이외에도 환자와 보호자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DNR은 말기암환자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며, 임상에서 DNR이 잘 시행되도록 임상적,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