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omandibular Disorders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34초

Evaluation of Korean teenager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 Lee, Ji-Young;Kim, Young-Kyun;Kim, Su-Gwan;Yun, Pi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5호
    • /
    • pp.231-237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verity and pattern of symptoms exhibited by teenage Korean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ith an association of TMDs, teenage patients (11-19 year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on the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MD (RDC/TMD) were recruited. Results: The ratio of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with a chief complaint of clicking sound (34.5%) or temporomandibular pain (36.6%) at the initial diagnosis (examination) was the highest. In the evaluation of the depression index, 75.8% of the subjects were normal, 12.9% were moderate, and 11.3% were severe. With regard to non-specific physical symptoms (including pain), 66.5% of the subjects were normal, 17.0% were moderate, and 16.5% were severe. Concerning non-specific physical symptoms (excluding pain), 70.6% of the subjects were normal, 14.4% were moderate, and 15.0% were severe. In terms of the graded chronic pain score, high disability (grade III, IV) was found in 9.3% of the subjects. Conclusion: Among teenage TMD patients, a portion have clinical symptoms and experience severe psychological pressure; hence requiring attention and treatment,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pressure and appropriate treatments for dysfunction.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low level laser, and placebo treatment o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Kim, Hyunjoo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9권4호
    • /
    • pp.244-251
    • /
    • 2020
  • Objective: Physical therapy techniques are required for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but the effects of treatment have not been compared. Therefor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nd low level laser (LLL),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interventions, were compared.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rty-six participants with pai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were enrolled, and 12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TENS group, LLL group, or placebo group. Each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6 sessions for 2 weeks. For the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the mouth opening (MO), pressure pain threshold (PPT), and stress were measured at three time periods: baseline, post-test, and follow-up at 2 weeks. Result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each evaluation point was found only in PPT-masseter (p<0.05). The evaluation time point at which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was at the post-test and follow-up at 2 weeks time periods.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 LL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TENS group (p<0.05), and at 2 weeks follow-up, the TENS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p<0.05). Conclusions: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reatment effects when TENS, LLL, and placebo were given to patients with TMD. In addition, by quantitatively presenting the effect size of each treatment, this study suggests clinical use of TENS and LLL treatment for TMD.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Oral habits and Stres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High school students)

  • 이가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93-200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울산지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33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턱관절 장애지수는 구강 악습관 지수, 학교생활 스트레스 지수, 가정생활 스트레스 지수, 대인관계 스트레스 지수, 자아 영역 스트레스 지수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구강 악습관 및 각종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계선택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 악습관 지수가 턱관절 장애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아 영역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학생일수록 턱관절 장애지수가 높았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즉, 구강 악습관이 지속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학생일수록 성인이 되었을 때 턱관절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는 Y(턱관절 장애지수)=2.563+.550X1(구강악습관지수)+.134X2(자아영역 스트레스지수) 의 회귀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성인으로 이어지는 턱관절 장애의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구강 악습관을 개선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외측 익돌근의 수평적 형태와 측두하악관절장애 간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Horizontal Morphology of Lateral Pterygoid Muscle)

  • 정재광;권춘익;변진석;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49-15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관절장애와 외측 익돌근의 수평적 형태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대에서 50대까지 연령군별로 각 남녀 15명씩 임의로 선정한 총 150명의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수평면 및 시상면상에서 나타난 외측 익돌근 및 측두하악관절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해부학적 특성은 외측 익돌근의 최대폭경, 수평 부착각도, 관절원판의 위치, 과두의 변형여부, 관절 삼출액 여부 등이며, 또한 전이부의 통증여부, 과두 주변의 압통 유무와 같은 임상적 소견이 포함되었다. 이들 해부학적 특성 및 임상적 소견의 상호 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를 가진 경우 외측 익돌근의 부착각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전이부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최대 폭경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연령이 낮을수록 부착각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에서 최대 폭경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외측 익돌근 수평 부착각도가 관절원판 변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으며 전이부의 통증이 최대 폭경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외측 익돌근의 높은 수평 부착각도가 관절원판 변위 발생의 중요한 해부학적 기여요인이 될 수 있으며, 측두하악관절의 통증은 외측 익돌근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에서의 삶의 질의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정진숙;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27-139
    • /
    • 2006
  • 측두하악관절 장애를 가진 환자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두 그룹사이의 동통의 정도나 기간의 차이, 그리고 수면질의 차이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총 61명의 환자는 관절강 내 통증을 가진 환자 24명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37명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환자들은 첫 내원 시 맥길 통증설문지(McGill Pain Questionnaire),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F-36 (Medical Outcome Study 36 Item Short Form Health Survey)을 작성하고 치과적 병력과 의과적 병력을 기록한 후, 전반적인 측두하악관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두 그룹 사이에는 동통의 강도나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6개월 이상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지는 환자 중에서는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보다 SF-36의 평균과 정신적인 부분에서의 점수에서 낮은 수치를 보인다(p<0.05).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에서는 평사시의 수면 효율면에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1.9459{\pm}0.8481$)가 관절강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 ($1.375{\pm}0.9237$)에 비해 낮은 효율을 보인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군에서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의 총점이 5이상인 나쁜 수면질을 가지는 군은 맥길 통증 설문지, SF-36에서 높은 동통 정도와 낮은 삶의 질을 가지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는 전체적인 삶의 질을 나타내는 SF-36에서는 감정적인 문제로 인한 역할의 제한, 생활력, 신체적 동통에서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삶의 질이 특히 정신적인 면에서 손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의 하악과두와 하악지 비대칭에 관한 연구 (Condylar and Ramal Vertical Asymmetr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Panoramic)

  • 정지웅;김병국;김재형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239-246
    • /
    • 2005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환자와 정상인 간 그리고 측두하악장애환자의 분류에 따른 하악과두와 하악지 비대칭지수를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비교하여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측두하악장애환자 120명과 정상인 30명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촬영후, 투사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계측항목 계측치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측두하악장애환자와 정상인으로 구분하여 산출한 다음 비대칭지수식을 이용하여 비대칭지수를 산출하여 양군 간의 비교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군과 대조군 간 하악과두 수직비대칭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하악지 수직비대칭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관절장애군과 근육장애군의 하악과두 수직비대칭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지만, 관절장애군과 근육장애군 간의 하악과두 수직비대칭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관절장애군, 근육장애군, 그리고 대조군 간의 하악지 수직비대칭지수 비교에서는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관절원판변위군, 정복성관절원판전위군, 그리고 비정복성관절원판전위군 간의 하악과두 그리고 하악지 수직비대칭지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하악과두와 하악지 수직비대칭지수 모두 연령증가와 관련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측두하악장애군이 정상인에 비해 하악과두 수직비대칭지수가 높게 나타나, 이러한 차이가 측두하악장애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하악과두 수직비대칭지수 측정은 측두하악장애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부분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arthrocentesis on the clinical outcome of various treatment method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 Kim, Chang-Woo;Lee, Sung-Jae;Kim, Euy-Hyun;Lee, Dong-Keon;Kang, Mong-Hun;Song, In-Seok;Jun, Sang-Ho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44.1-44.7
    • /
    • 2019
  • Background: We evaluated the improvement of pain and the increase in mouth opening after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centesis and the possible association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previous splint treatment, medication, and diagnosis. Results: We studied 57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centesis at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These patients (24 males and 33 females, aged between 15 and 76 years) underwent arthrocentesis that was performed by one surgeon. The degree of mouth opening (assessed using the maximum mouth opening: MMO) and pain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were assessed pre- and post-arthrocentesi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treatment modalities other than arthrocentesis (medication and appliance therapy) wer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uth opening and pain after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centesis. Preoperative appliance therapy affected the results of arthrocentesi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pain relief, preoperative diagnosi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ith regard to maximum mouth opening, patients with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with limited mouth opening (closed lock) showed the highest recovery (11.13 mm). Conclusion: The average of MMO increase after arthrocentesis was 9.10 mm, and patients with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with locking (closed lock) showed most recovery in maximum mouth opening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pain relief of patients after arthrocentesis was 3.03 in the VAS scale, and patients using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ARS) preoperatively showed the most pain relief.

Polytome-U 촬영법을 이용한 측두하악관절증의 하악과두 골변화 관찰 (Evaluation of Mandibular Condylar Bony Chang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Polytome-U Images)

  • 나경수
    • 치과방사선
    • /
    • 제28권2호
    • /
    • pp.321-327
    • /
    • 1998
  • The author examined bone changes from 1274 poly tomographic images of 182 temporomandibular joints which showe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number of temporomandibular joints which showed bone changes were 64 (35.2%) among 182 joints. 2. The age and sex distribution of 64 joints which had bone changes showed the prevalence of female (90.6%) and third decade (25.0%) followed by fourth (21.2%) and second decade (17.2%). 3. The 252 images which showed bone changes consisted of 56 images from lateral side (22.2%). 118 images from center (46.8%) and 78 images from medial side (30.9%). 4.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bone changes were flattening (22.7%) followed by sclerosis (19.3%) and cortical unsharpness (19.3%)

  • PDF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 건조감, 턱관절 증상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n dry mou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al symptoms on workers)

  • 홍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6-145
    • /
    • 2013
  • Objectives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occupational stress affect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dry mouth and oral symptoms. Methods : For this study, workers from 5 areas were selected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ne 1st to 30th, 2012. A total of 41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shows that occupational stress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dry mouth symptoms, but does affect other oral symptom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dry mouth symptom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both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al symptoms. Conclusions : Oral symptoms and job stress appeared to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f job stress. A systemic investigation on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 in workers is urgently required.

Associ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Masticatory Muscle Weakness: A Case report

  • Kim, Ji Hoo;Park, Hyun-Jeong;Ryu, Ji-W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6권4호
    • /
    • pp.155-160
    • /
    • 2021
  • The masticatory muscle disorder is the most common problem that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often complain. For such complaints, treatment is directed towards reducing hyperactivity of muscles or effect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However, if nonspecific occlusal change or pain persis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muscle weakness might be the cause of the persist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Stabilization of occlusion and improvement of the pain symptoms were achieved in both cases through the chewing gum exercise. This exercise may enable masticatory movements done in normal function by using muscle engram and achieve reinforcement of the masticatory muscles with balanced, simultaneous contacts of the teeth. In addition, it may be a viable method for treat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at do not respond well to conventional mandibular stabilization therap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