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l moment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1초

강우의 시간분포를 고려한 CN값 산정 (SCS Curve Number and temporal Variation of Rainfall)

  • 조홍제;이태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183-193
    • /
    • 2003
  • 강우의 지속시간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AMC조건과 강우의 시간분포인(1차, 2차, 3차, 4차 모멘트)가 유출에 미치는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강우를 10분위로 고려하는 경우, CN은 AMCIII조건에서 1차 및 2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으나 그 외의 조건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또한 첨두유출비(QP/Q)는 AMC I조건에서 3차 및 4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으며, AMCIII조건에서는 1차 및 2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다. 강우의 전체 지속시간을 고려하는 경우, CN은 AMC I조건에서 모든 시간분포인자와 상관성을 보였으나 AMCIII조건에서는 1차 및 2차 시간분포인자와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첨두유출비(QP/Q)는 AMC I조건에서 3차 및 4차 시간분포인자와 상관성을 보였으나 그 외의 조건에서는 거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CN 산정을 위해 강우의 시간분포와 제시된 시간분포인자를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불포화 토양에서 유동하는 가스상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출현곡선에 대한 고차 Temporal Moment의 분석 (Analysis of Higher Temporal Moments for Breakthrough Curv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Unsaturated Soil)

  • 김헌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6호
    • /
    • pp.60-69
    • /
    • 2007
  • 토양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의 유동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오염물질의 확산을 예측하고 오염의 정도를 평가하며 대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토양과 같은 다공성매질에서 유동하는 물질의 출현곡선에 대한 모멘트의 분석을 통하여 화학물질의 유동속도, 플룸의 폭 및 비대칭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토양 컬럼실험을 사용하여 VOC의 가스상 유동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모두 네 가지의 VOC에 대하여 포화도(water saturation)범위 0.04-0.46에서 출현곡선을 측정하였다. 또한 포화도 0.21에서 열한가지의 VOC에 대하여 출현곡선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출현곡선의 중심 2차(central second)및 중심 3차(central third)모멘트는 포화도와 1차 모멘트(또는 지체상수)와 비교 분석되었다. VOC 출현곡선의 모멘트분석 결과 2차 및 3차 모멘트는 1차 모멘트의 2.23제곱 및 3.16제곱 함수로서 증가하였으며, 3차 모멘트가 2차 모멘트에 대하여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는 VOC가 토양가스상에서 이동할 때, 지체상수에 비례하여 가스 플룸의 폭과 비대칭성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시간 모멘트식을 이용한 상분할추적자의 해석 (Partitioning Tracer Analysis with Temporal Moments Equations)

  • 조종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3호
    • /
    • pp.3-9
    • /
    • 2011
  • Partitioning tracers have been used with non-partitioning, inert tracer such Br, for detection, estimation, and monitoring of remediation performance of the subsurface contaminated with nonaqueous phase liquids (NAPLs). Various partitioning tracers with different partition coefficients between aqueous and nonaqueous phase liquid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hydraulic conductivity, dispersivity, and residual mass of NAPLs in the subsurface soil matrices. Temporal moment-generating equat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field pilot-scale test results. The pilot-scale tests included conservative tracer tests and partitioning tracer tests. Analyses of nonaqueous phase liquid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bearing soil media were performed.

Possible Causes for the Temporal Variations of 3-micron Hydrocarbon Emissions in the Auroral Regions of Jupiter

  • Kim, Sang Joon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55.1-55.1
    • /
    • 2019
  • Recently, temporal variations of the 3-micron emissions of methane and ethane have been detected in the auroral regions of Jupiter observed from Gemini North (Kim et al. 2019, in preparation). These temporal variations of 3-micron hydrocarbon emissions in the auroral regions can be caused by the following phenomena: temporal variations of temperatures, mixing ratios, auroral particle bombardments and Joule heatings, and the combinations of these. Although we are not able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cause of the temporal variations at this moment, we will present the following quantitative discussions: thermal influences on the 3-micron emissions, global mixing ratio distributions of the hydrocarbon molecules, and energy distributions of auroral particles penetrating the hydrocarbon layers. We will also present a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oral variations of the 3-micron emissions and solar wind activities.

  • PDF

아킬레스 건염 환자의 보행 시 고관절, 슬관절 및 족관절 모멘트의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Gait Temporal Parameter and Ankle Joint Moment in Patients with Achilles Tendinitis)

  • 유재호;이규창;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66-5772
    • /
    • 2011
  • 본 연구는 아킬레스 건염 환자들과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보행 선형지표와 고관절, 슬관절, 그리고 족관절의 모멘트 변화를 조사하여 아킬레스 건염에 의한 보행의 역학적 변화를 구명하고 아킬레스 건염을 예방하기 위한 예측인자들을 찾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아킬레스 건염 환자 20명과 비슷한 신체조건을 가진 건강한 정상인 20명이며, 대상자가 맨발 상태에서 힘판의 중앙 부분을 밟고 지나가도록 13 m의 거리를 편안한 속도로 5회 왕복하도록 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보행하는 동안 3차원 동작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고관절, 슬관절, 그리고 족관절 모멘트를 산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SPSS 12.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아킬레스 건염 환자들의 고관절은 입각기 초기에 신전 모멘트가 감소하였고, 중후반에는 굴곡 모멘트가 감소하였다. 또한 슬관절에서는 입각기 초기부터 지속적인 굴곡 모멘트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신전 모멘트의 감소를 보였다. 그리고 족관절은 입각기 중반에 저측굴곡 모멘트가 감소하였으며 말기에는 배측 굴곡 모멘트가 감소하였다. 정상인과 비교해 아킬레스 건염 환자들에게서 보행의 역학적인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임상에서는 아킬레스 건염 환자의 보행에 대한 변화를 세밀하게 파악하여 치료적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아킬레스 건염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역학적인 변화에 대한 조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순간의 시간적 부분과 시간여행 (Instantaneous Temporal Parts and Time Travel)

  • 김세화;타케시 사콘
    • 논리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3-141
    • /
    • 2017
  • 순간의 시간적 부분에 대한 표준적 정의는 시간여행의 경우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데이빗 루이스의 외적 시간과 개인적 시간의 구분을 이용하여 순간의 시간적 부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한다. 우리가 새롭게 제시하는 이 정의는 표준적인 정의와 같은 문제를 갖지 않는데, 우리의 정의에 의하면, 한 대상은 각각의 그 개인적 시간 각각의 순간에 두 개 이상의 순간의 시간적 부분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 새로운 정의는 역시 우리가 새롭게 제시하는 perdurantist 의미론과 결합하여 시간여행의 경우를 성공적으로 다룬다.

  • PDF

실시간 추천을 위한 분할셋 기반 Up-to-Moment 선호모델 탐색 (Mining the Up-to-Moment Preference Model based on Partitioned Datasets for Real Time Recommendation)

  • 한정혜;변루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05-115
    • /
    • 2007
  • 최근 들어 유비퀴터스 컴퓨팅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시작되고 있는데, 특히 모바일을 활용한 실시간 추천 모델에 대한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간 추천을 위하여 Up-To-Moment 연관규칙 탐색 알고리즘이 있는데, 보다 더 정교하게 과거의 거래 세부정보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UP-To-Moment 데이터 셋의 과거 데이터 셋 부분을 (k-1)개로 분할-조합규칙을 적용하는 연관규칙 선호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전자상점 뿐만 아니라 유비퀴터스 컴퓨팅에 적용 가능한 레스토랑 음식 추천 데이터에 대하여, 전통적인 Up-To-Moment 연관규칙 탐색모델 $EM_{past'}$ 데이터 셋 크기값을 가중 조합한 $EM^w_{past'}$ 그리고 시간에 따른 지수평활법 분할-조합규칙을 적용한 $EM^{ES}_{past}$을 비교하여 보았다. 특히 $EM^{ES}_{past}$의 지수평활 상수 a 값의 변화에 따른 세 알고리즘의 연관규칙 계산에 대한 민감도도 비교함으로써, 실제 데이터 적용 시에 보수적 또는 진보적 실시간 추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세 알고리즘의 비교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데이터 셋 크기 값을 가중 조합한 $EM^w_{past}$이 가장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된 과거 데이터 셋의 크기가 클수록 $EM^{ES}_{past}$의 정확성이 높은 추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질량모멘트 개념을 이용한 시공간적 가뭄해석기법의 적용성 분석 (The Applicability of Analysis Scheme for Spatio-Temporal Droughts Using Mass Moment Concept)

  • 유지영;소병진;김태웅;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0호
    • /
    • pp.1069-10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공간적 가뭄해석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강우관측지점별 가뭄사상을 추출하여 가뭄사상의 시작 시점이 동일한 강우관측지점을 선정하여 CASE를 구분하였다. 그 결과 SPI3에서는 36개, SPI6에서는 38개, SPI9에서는 40개, SPI12에서는 39개의 CASE가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연구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과거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뭄사상으로 알려진 장기가뭄과 단기가뭄에 대한 시공간적 가뭄발생특성을 재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실제 과거가뭄사상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뭄의 이동경로 및 전이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안으로 질량모멘트 개념을 이용하여 가뭄의 중심 및 영향권을 결정하는 새로운 가뭄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뭄이 발생한 지역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공간적 가뭄패턴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 가뭄의 중심 및 영향권의 변화양상을 선행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치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시공간 평가 기법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 for Spatio-Temporal Changes in River Bed Using Numerical Models)

  • 김철문;이정주;최수원;안원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2호
    • /
    • pp.975-9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하상의 시공간적변동에 대한 평가기법을 개발하고자, 1차원HEC-RAS 모델과 2차원CCHE2D 모델을 이용해 하상변동을 평가하였다. 실제하천의 장기간 하상변동의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변동 특성을 일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고, 변화량을 직관적으로 알 수있는 평가방법을개발하고자유사단면누가곡선, 유사단면모멘트, 유사확률분포함수의 세 가지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유사단면 누가곡선법은 단면의 총량적 개념의 침식 또는 퇴적 여부를 판별하는데 효과적이며, 유사단면 모멘트법은 하천의 좌, 우안을 나누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좌, 우안의 퇴적 또는 침식 정도를 하나의 척도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하천의 곡률 등과 연계한 하상변동 예측에 있어서 하나의 영향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확률분포함수의 경우 하천 단면 구간에 대한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변동 모의 결과를 직관적으로 도시하고, 해당 구간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통계적 특성치인 평균과 신뢰 구간을 통해 정량화 할 수 있었다.

긍/부정 선택 순간의 뇌파 변화 연구: 두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의 상호관계 분석 (EEG Analysis at the Moment of Yes/No Decision: Study of Spatio-Temporal Relations)

  • 김민준;신승철;송윤선;류창수;문성실;손진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1
    • /
    • 2001
  • 긍/부정 선택 실험에서 나타나는 뇌파 변화를 연구하였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의 시공간적 상호관계를 정량화하는 변수로, 시간영역에서 계산하기 용이한 동기율(synchronization rate), 편향성(synchronization rate), 편향성(polarity), 상호상관(cross-correlation) 등의 변수를 도입하여, 긍/부정 선택 순간의 뇌파 변화를 살펴보았다. 좌우 전전두엽(Fp1, Fp2)에서 특정된 뇌파를 사용하여 계산한 동기율, 편향성의 평균과 요동폭, 상호상관 등은, 선택 순간 근처에서, 평상시에 뇌파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