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le

검색결과 1,227건 처리시간 0.028초

신라감은사건축의 계획이념과 설계기술 고찰 (Study on the Design Ideas and Planning Method of the Gameunsa Temple Architecture in Silla)

  • 이정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1호
    • /
    • pp.238-259
    • /
    • 2021
  • 감은사는 문무왕대에 시창하여 신문왕 2년(682)에 완공된 신라중대의 불교사원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감은사지 발굴조사 성과를 기초로 하고, 역사학 분야 등에서의 문헌연구 성과를 참고로 하여, 신라감은사건축의 조영계획 양상 및 특질, 그리고 그것과 당시의 정치·사회적, 종교적 환경 간의 관계에 대한 구명을 시도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은사 중심곽 내 당탑 및 회랑, 중문과 강당 등 모든 건축물은, 기단부를 기준하여, 방(方)216척(尺)(고구려척, 추정단 위치수 353.30mm)의 윤곽에 남거나 부족함 없이 정확하게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사실은, '만파식적설화'와 유교예악사상과의 관계, '이견대'의 명칭과 『주역』과의 관계, '감은사지출토 태극무늬장대석'과 『주역』과의 관계 등으로부터 확인되는, 동해구 유적(대왕암·이견대·감은사)에 서린 신라중대왕실의 '유교정치이념의 표방' 의지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되며, 감은사가람의 설계초기단계에 있어서, 잠재하는 규모계획의 기준으로부터 이차적 조정으로서, 『주역』 계사상의 '건지책 216'으로부터 수를 취해 가람중심곽규모의 결정기준으로 삼은 결과로 추정된다. 감은사 당탑 등의 배치계획은, 방(方)216척(尺)의 윤곽 내,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즉 가람중축선상 중문·강당의 배치 및 금당 남북위치의 결정, (중문·강당·금당 측면에 각각) 남회랑·강당동서편건물·익랑 배치, 동서회랑의 배치, 동서 석탑 중심위치 결정의 순으로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찰된다. (2) 감은사건축에 있어서의 유불공존적 양상은, 『금광명경(金光明經)』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왕의 화신인 용이 용혈(龍穴)을 통해 금당기단 내에 들어 선요(旋繞) 즉, 공경·숭봉(崇奉)을 행함으로써 "음양조화시부월서(陰陽調和時不越序) 일월성숙부실상도(日月星宿不失常度) 풍우수시무제재횡(風雨隨時無諸災横)" 등의 무량공덕이 얻어지기를, 그리고 일월에 비유되는 부처의 광명이, 새로이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아 운영해 나갈 국가, 신라의 사방 천하(천(天)=건(乾), 건지책 216척(尺) 규모의 가람중심곽)에 길이 두루 비춰지기를 염원한 문무왕의 뜻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찰된다. 그리고 그 구상 및 실현에 있어서는 유불습합적 사상 경향을 가졌던, 그리고 문무왕이 유언으로서 국사로 삼기를 당부했고 신문왕 즉위 후 국로로 임명되었던, 경흥(憬興)이 깊이 관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서산(瑞山) 보원사(普願寺) 철조여래좌상(鐵造如來坐像) 고찰(考察) (A Study on the Iron Seated Buddha at Bowonsa Temple in Seosan)

  • 강건우
    • 미술자료
    • /
    • 제100권
    • /
    • pp.22-49
    • /
    • 2021
  • 보원사(普願寺)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북쪽에 위치한 사찰로, 경내에는 나말여초에 조성된 문화재가 남아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충청남도의 고적 조사를 계획했고, 1916년(대정 5) 보원사지에 가서 현지 조사를 진행했다. 현지 조사 과정에서 소옥(小屋)에 안치된 철조여래좌상(무릎너비 7척, 두께 5척 5촌)을 확인했고, 이듬해에 경복궁으로 해당 철조여래좌상을 이운했다. 이는 일제강점기 보원사지에 2m가 넘는 대형 철조여래좌상 1구만이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철조여래좌상은 법인국사(法印國師) 탄문(坦文)(900~975)이 955년에 조성하였을 것이다. 탄문은 광주 고봉의 유력가문 출신으로 태조의 보살핌 속에 화엄종의 중심인물로 성장했고, 연이어 혜종(惠宗)(재위기간 943~945)과 정종(定宗)(재위 945~949)대에도 왕실의 불교행사를 주관했다. 이후 탄문은 대목왕후(大穆王后) 황보씨(皇甫氏)(?~?)의 후원을 받은 균여(均如)(923~973)의 등장으로 개경에서 떨어진 보원사로 이주하게 되었지만, 그곳에서 충주 유씨의 후원을 받아 지지 세력의 결속을 다지고 한편으로는 광종(光宗)(재위 949~975)의 만수무강을 기원하기 위해 대형의 철조여래좌상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탄문의 비문에 나오는 '주금상지삼존(鑄金像之三尊)'도 보원사에서 철조여래좌상이 주조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이다. 철조여래좌상의 원(原) 봉안처는 보원사지 내 '건물지3'으로 추정된다. 발굴조사 결과 현재의 금당지는 조선시대에 세워진 건물지로 드러났기 때문에, 철조여래좌상은 조성 당시 다른 장소에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건물지3은 다른 건물지에 비해 고려시대 기와와 자기의 출토 빈도가 높고, 무엇보다도 정방형에 가까운 불단 유구가 남아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추정이 가능하다. 철조여래좌상은 조성 당시 고려시대 전각인 건물지3에 봉안되었다가 조선시대 중창불사를 통해 지금의 금당지로 이운되었을 것이다.

김천 대휴사(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과 일제강점기 대구 편조원(遍照院) (Japanese Buddhist Sculptures of Daehyusa Temple(大休寺) in Gimcheon(金泉) Enshrined in the Henjoin Temple(遍照院) in Daegu(大邱)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배재호
    • 미술자료
    • /
    • 제101권
    • /
    • pp.48-65
    • /
    • 2022
  • 경상북도 김천 대휴사(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은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1910년경에 일본 신의진언종지산파(新義眞言宗智山派)가 대구에 설치한 별원(別院), 즉 대구 편조원(遍照院) 본당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이들 존상 중 목조홍법대사좌상(木造弘法大師坐像)은 일본 진언종을 개창한 고보다이시 쿠카이(弘法大師 空海, 774-835)의 모습이며, 목조대일여래좌상(木造大日如來坐像)과 목조부동명왕좌상(木造不動明王坐像)은 진언종의 불교 사상과 신앙을 대표하는 존상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대일여래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은 대부분 마애상이나 석조상으로, 대휴사의 존상들은 당시 일본 사찰에 봉안된 나무로 만든 일본 불교 존상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된다. 이들 불교 존상은 조형적으로는 근대적인 미감을 갖추고 있지만, 그 도상적인 연원은 헤이안(平安)시대(794-1185)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즉 대일여래상은 신의진언종을 개창한 고교다이시 가쿠반(興敎大師 覺鑁, 1095-1143)이 만든 대일여래상의 신앙적인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홍법대사상은 고보다이시 쿠카이의 제자였던 신뇨신노(眞如親王)가 그린 신뇨신노 스타일[樣]을 따르고 있고, 부동명왕상은 겐죠(玄祖) 스타일의 십구관(十九觀) 부동명왕상을 답습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대구 편조원에 봉안되었던 당시의 모습은 구체적으로 알 수가 없지만, 이들 존상은 신의진언종의 삼륜신상(三輪身像)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대일여래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이 각각 자성륜신(自性輪身), 정법륜신(正法輪身), 교령륜신(敎令輪身)의 성격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950년대 전반의 실달사(悉達寺)(대구 편조원의 후신)의 상황이긴 하지만, 그 전신인 일제강점기의 대구 편조원에서 고보다이시 신앙의 전통이 계승되고 있었음을 추측하게 하는 본당 내부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달사 본당에 놓여 있던 유골들은 11세기 이후 고보다이시 신앙과 함께 유행했던 고야산(高野山)의 납골(納骨) 신앙의 전통을 보여 준다.

불국사 석가 다보 두 탑의 "내용과 형식"에 관한 연구 (On "Matter and Form" of two pagodas -in the Temple Bulguksa-)

  • 정기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7
    • /
    • 1992
  •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image of historic objects in matters of the artistic impulse. Two Pagodas in the Temple Bulguksa, those have a concrete character of the "matter & form" in the structure and buddhistic background, are chosen for this study. With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 form and structure, those must be handled by overlaping, lifting and comparing in plan, elevation and mass, the structural pattern of them can be theoretically explained and aesthetically interpreted. Conclusively,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make some references to the historic scene of the Temple Bulguksa.

  • PDF

황룡사 서금당 전축기단 연구 (A Study on the Brick-constructed Platform of the West hall in Hwangnyongsa temple site)

  • 김숙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4호
    • /
    • pp.55-64
    • /
    • 2015
  •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architectural historical meaning of the brick-constructed platform of the west hall in Hwangnyoungsa buddhist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and comparing with other platforms of Silla remains. Mass and height of the building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in a buddhist temple site, this is applicable in Hwangnyongsa. So in case of a rank equal to or lower buildings than the west hall, those of platforms were built of brick-constructed. As stone relics, jidaeseoks are very narrow, I think that wooden pagoda and main hall's platform were built of brick in first construction period. West hall's platform was built at the late 6th~the mid of 7th century, these brick-remains were considered as a quite earlier construction period relics. Because in west hall there is no jidaeseok under bricks, and all bricks relics have a rectangular shape.

바로크적 특성으로 본 한국 사찰건축 -공주 마곡사를 대상으로- (A Study oA study on the Baroquely characteristics in Korean Temple Architecture)

  • 고인룡;동재욱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39-44
    • /
    • 2002
  •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Baroquely characteristics in Korean Temple Architecture.(MA KOK-SA) We coul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visual freedom and floating in the arrangement of the temple buildings through segmenting the axis. Second, tension of variations in size, distance, and frame. Third, diverse sceneries provided by Sequential(dynamic) view points. Fourth, visual process and sharp contrast between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and unexpected scenery, etc.

  • PDF

통도사(通度寺) 자장암(慈藏庵)의 건축에 내재된 조영의도(造營意圖)와 미의식(美意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al Intention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Architecture of Tongdosa Jajang-temple)

  • 이권영;서치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4호
    • /
    • pp.117-128
    • /
    • 2002
  •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constructional intention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architecture of Jajang-temple, which was originally built by the great monk, Jajang in 7c.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layout and form of buildings in Jajang-temple were remarkably followed the situations and shapes of natural rocks related to Gumwa legend about the original establishment of the temple. 2) As natural rocks were penetrated into both the inner and outer space of buildings and so artificial skills were more or less restrained, it seems to be short of geometrical regularity, symmetry and formal integrity. 3)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se architectural treatments were based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so called In-Cha and Jol-Bak, which were conceived by intellectual elites in Chosun dynasty.

  • PDF

우리나라 사찰건축에서 봉불(奉佛)과 강설(講說)공간의 변화과정 (The Transition Process of Ritual(Worship)(奉佛) and Lecture(講說) Space in a Korean Buddhist Temple)

  • 홍병화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4호
    • /
    • pp.109-123
    • /
    • 2010
  • The main functions of a Buddhist temples are as a place for Buddhist services and a place for sermons and each ancient Buddhist temple was equipped with a main and separate building. After Zen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there was a tendency to change the terms to Buddhist sanctuary and altar, as set forth in the Zen Buddhism code of conduct called 'Cheonggyu(淸規)'. As such, it was thought that the division between Buddhist service space and preaching space were relatively firm until the Goryeo Dynasty. However in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Goryeo to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n increasing tendency of integration of the two buildings. It can be seen that, in cases where both buildings remained, statues of Buddha were enshrined in these buildings without any distinction. Eventually it is led to the tradition of duo-Buddhist sanctums.

순천 송광사 요사채의 환기지붕 설치 시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allation Period of Ventilation Roofs in the Suncheon Songgwangsa Temple)

  • 김희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4호
    • /
    • pp.7-17
    • /
    • 2017
  • Suncheon Songgwangsa has unique ventilation roofs. In the meantime, these roofs have been known as a characteristic element of Songgwangsa architecture and a unique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 would like to review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ventilation roof and check the installation time through Songgwangsa's records and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ventilation roofs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including the temple of Songgwangsa were installed between the 1920s and 1930s. This can be summarized by comparing the history of Songgwangsa and the history of each building of Songgwangsa by comparing the paintings of Songgwangsa in 1886 and 1915 with the photographs of 1920s and Songgwangsa in the 1930s. It is a matter of further study whether the installation of the ventilation roof of Songgwangsa Temple is influenced by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부여 정림사지 도용 복원을 위한 농관 복식 연구 (A Study on Long-guan Costume to restore Clay Figures in Bu-yeo Jeong-lim Buddist Temple Foundation)

  • 박현정
    • 복식
    • /
    • 제51권6호
    • /
    • pp.25-3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and costume of the long-guan clay figures that were excavated in Bu-yeo Jeong-lim Buddist temple foundation. For this, we first examine the Chinese official uniforms with long-guan, classify the types of long-guan, and then investigate the costume that is worn with long-guan. There are three types of long-guan in China, and that of the clay figures in Jeong-lim Buddist temple foundation is of type 1. Therefore, the characters of the clay figures are woman servants, and their costume is either blouse-and-trousers or blouse-and-ski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