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ate zone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19초

Warming Trend of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Recent 60 Years (1936-1995)

  • Kang Yong Q.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3권3_4호
    • /
    • pp.173-179
    • /
    • 2000
  • Recent changes in the coastal sea surface temperatures (SST) in Korea are studied by time series analysis of daily SST data during the last 60 years (1936-1995) at 18 coastal observation stations of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The climate of coastal SST in Korea are rapidly changing in recent years. General trends of coast SST changes in Korea are as follows. The annual averages of SST are increasing. The annual ranges of SST variation are decreasing. The winter SST are increasing while the summer SST have a decreasing tendency. Climatic changes in coastal SST in recent 30 years (1965-1995) are more pronounced than those in the last 60 years (1936-1995). The observed trend of coast SST implies that the climate in Korea shows a tendency to shift from temperate zone to subtropical zone.

  • PDF

Components of phytoncide from a pine forest in the southern temperate zone

  • Lee, Jeong Do;Park, Choong Hee;Joung, Da Wou;Koo, Seung Mo;Park, Bum J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33-44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phytoncide from a pine forest in the southern temperate zone.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a large amount of phytoncide is released not only from cypress trees but also from pine trees. Because the amount released is the highest during summer, we selected a warm climate region in the southern temperate zone and measured the concentration in the month of August. To capture the phytoncide from the forest atmosphere, we used the adsorption tube method with a mini pump and successfully gathered 9 L of forest air at a flow rate of 150 mL/min. We performed duplicate sampling from two different tubes installed at the same location and derived the mean value.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detector with thermal desorption spectroscopy was utilized to perfor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captured materi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hytoncide particle of the pine forest in the southern temperate zone contained a number of components as follows in descending order: ${\alpha}$-Pinene (39%, $0.28ng/m^3$), followed by ${\beta}$-Pinene (16%, $0.11ng/m^3$), D-Limonene (8%, $0.06ng/m^3$), camphor (6%, $0.04ng/m^3$), camphene (6%, $0.04ng/m^3$), and p-Cymene (5%, $0.04ng/m^3$). There were also 13 additional phytoncide components in trace amou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dataset for building a "Healing-forest".

한국에서 동아시아 난대 목본식물의 잠재분포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Potential Distribution Possibility of the Warm-Temperate Woody Plants of East Asia in Korea)

  • 이철호;김휘래;조강현;최병기;이보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69-281
    • /
    • 2022
  • 기후변화에 따라서 식생과 식물종의 분포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생태계 관리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난대 목본식물종의 한반도 분포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과 일본에서는 분포하지만 한국에는 분포하지 않은 난대 목본식물종의 목록을 수집하고 그들의 전지구적 분포와 생물기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한국의 난대식생대를 한랭지수를 이용하여 구분하고 이 지역의 기후 정보를 수집하였다. 기후 변수들 사이의 상관분석으로 다중공선성을 배제하고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수로서 최한사분기 평균기온, 평균온도일교차 및 연강수량이 선택되었다. 동아시아 난대 목본식물종의 분포지와 한국 난대식생대의 3가지 기후 변수 사이의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다변량 환경 유사도 표면 (MESS)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단계적 변수선택 회귀로 MESS 유사도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후변수로서 최한사분기 평균기온과 연강수량을 선별하였다. 선택된 2 변수로 구성된 다변량 일차회귀에서 최한사분기 평균기온이 전체 변이의 88%를 차지하였다. 총 319 동아시아 난대 목본식물종에 대하여 MESS 유사도 지수를 산출하는 구축된 다변량 회귀식을 적용하여 이들이 한국에 잠재분포 할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아까시나무 임분의 시계열적 생장 모니터링 및 벌기령 도출 (Periodic Growth Monitoring and Final Age at Maturity in a Robinia pseudoacacia Stand)

  • 김재엽;김소라;송정은;성상민;임종수;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613-621
    • /
    • 2022
  • 본 연구는 5차, 6차, 7차 국가산림조사 자료 중 아까시나무가 우점종인 표본점을 수집하여, 산림조사 차수별, 기후대별(온대 북부, 온대중부, 온대남부, 난대지역), 해발고별(100 m 단위) 흉고직경, 입목본수, ha당 재적 및 지위지수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용재로서 사용을 위한 기준인 벌기령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변화 구명은 통계처리 기법 중 분산분석과 Duncan 검정으로서 이행하였다. 흉고직경의 변화를 보면, 당연히 산림조사 차수에 따라 증가하였고, 기후대별로는 온대남부 지역에서 가장 생장이 좋지 않았으며, 해발고별로는 301-400 m 지점에서 가장 생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a당 입목밀도는 산림조사 차수별, 해발고에 따라서 서로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온대중부 지역에서 밀도가 가장 높고, 온대남부 지역이 가장 낮은 밀도를 보였다. ha당 임분재적은 산림조사 차수에 따라 증가하였고, 온대북부·온대중부 지역과 온대남부·난대 지역으로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되며, 해발고 201-300 m에서 재적생장량이 가장 높았다. 지위지수는 ha당 임분재적 변화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아까시나무의 ha당 재적변화를 알 수 있는 생장량 곡선은 Weibull 함수식으로 추정하였으며, 임분재적은 임령 50-60년에 이를 때 약 200 m3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아까시나무를 밀원 자원이 아닌 용재로 이용하기 위한 기준인 재적수확최대벌기령을 계산한 결과 34년으로 나타났다.

온대와 열대에서 생태형이 다른 수고품종의 수량 및 생육형질의 변이 I. 온대와 열대지방간의 품종별 출수기 및 생육형질의 변이 (Variations of Yields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Shown by Different Ecotype of Rice Varieties in the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I. Variation of Heading Time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Shown by Varieties in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 노건길;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7-285
    • /
    • 1986
  • 인도네시아의 8개품종과 한국의 8개품종을 선정하여 계 16개품종을 인도네시아 발리(115$^{\circ}$ 14'E, 8$^{\circ}$42'S, 해발 l0m지점)와 한국 수원(126$^{\circ}$19'E, 37$^{\circ}$16'N, 해발 37m)에서 반복시험한 결과 공시품종의 출수기 및 생육형질의 변리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16개 공시품종중 Japonica 4개품종 (레이메이, 삼남. 수원 313, 섬진)은 발리지역에서 이앙후 14~15일에 모두 출수하였으며 품종간에 조만성을 구분할 수 없었다. 2. Indica/Japonica품종(태백, 만석, 한강찰, 금강)은 수원에서 보다 발리에서 26~31일 출수가 촉진되었으며 품종간의 조차성은 양지역에서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3. Indica의 4개품종중 3개품종(IR 36, IR 50, Semeru)은 수원에서 발리보다 출수가 26~29일정도 늦게 출수하였으며 품종간의 조만성도 양지역에서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만생종인 Cisadane 품종은 수원에서 47일 이나 늦게 출수하여 (수원지방출수일 : 9.27일) 성숙치 못하였다. 4. Bulu 4개품종중 3개품종(Putih Gangsar, Kesambi, Putih, Jamu)은 수원에서는 출수치 않았으며 조생종인 Untup 품종은 Cisadane와 비슷한 시기에 수원에서 출수하였으나 역시 성숙치 못하였다. 5. 발리지성에서 Japonica 품종은 출수이후 수확까지 계속하여 초장이 자라났으며 수원에서 출수하지 못한 Bulu 3개 공시품종의 초장은 수원에서 예취시까지 계속하여 자랐다. Indies 공시품종은 수원과 발리에서 초장의 차리가 없었으나 Indica/Japonica및 Bulu 품종은 수원보다 발리에서 초장이 크게 나타났으며 Japonica는 수원에서 초장이 크게 자랐다. 6. 건물중은 발리지성에서 품종군간에 차리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수원지방에서는 그 차이가 적었다.

  • PDF

무제치늪의 화분분석 연구 (Palynological Study of Moojechi Bog)

  • 최기룡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20
    • /
    • 2001
  • 한반도 남동부 산지대의 식생과 자연환경변천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무제치늪(해발 52Om)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화분분석과 $^{14}C$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화분군은 냉온대 북부/고산지형 침엽.낙엽활엽혼합림 시대(MI), 냉온대 중부/산지형 낙엽활엽수림 시대(MIIa), 냉온대 남부/저산지형 침엽.낙엽활엽혼합림 시대(MIIb)로 변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현재 한반도 남동부 산지대에 분포하는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은 약 8,000yr B.P.부터 분포역을 확대하기 시작하였고. 약 6,700yr B.P.부터 지역적으로 분화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북해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고찰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Hokkaido Vegetation, Japan)

  • Kim,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2호
    • /
    • pp.109-122
    • /
    • 1989
  • The vegetation and landscape of Hokkaido were phytosociologically referred. The region of F a g e t e a c r e n a t a e on Hokkaido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he oak (Quercus mongolica var. grosseserrata) forests mixed with conifers (mainly Abies sachalinensis) and the beech (Fagus crenata) forests of northernmost distribution in far-east Asia. The oak forests, which i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var. grosseserrata in Japanse islands, seem to be developed from different climatic and edaphic conditions, especially in the amount and sharing pattern of precipitation in a year, and weak acid brown forest soil, volcanic ash soil and sandy soil. On the all-inclusive phytogeographical view-point, Hokkaido is situated at northernmost region of F a g e t e a c r e n a t a e (cool-temperate zone)neighboring with subarctic and subalpine vegetation, vegetation, but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 a m e l l i e t e a j a p o n i c a e, warm-temperate zone) is abscent.

  • PDF

기상인자(氣象因子)에 의한 우리 나라 산림(山林)의 산지구분(産地區分) (Delineation of Provenance Regions of Forests Based on Climate Factors in Korea)

  • 최완용;탁우식;임경빈;장석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79-388
    • /
    • 1999
  • 우리 나라에 적용할 산림용 종자 산지구분(塵地區分)의 첫 단계로 임목집단의 유전생태적 분화에 영향이 큰 연평균 온도, 극한 최저온도, 생육기간중 상대습도, 일조량, 건조지수 등 기상인자를 척도로 수평적 산지를 구분하였다. 적용한 산지구분의 개념은 전형적인 산지구분 형태인 수종별 구분법보다는 전 수종을 포함한 생태지역 개념의 산지구분법에 따랐다. 산림대를 대구분 단위로 하여 산림대별(난대, 온대남부, 온대중부, 온대북부)로 기본구역을 설정하여 유집분석을 근거로 난대 3, 온대남부 6, 온대중부 8, 온대북부 2로 총 19개의 수평적 산지로 구분하였다. 적용한 6개의 척도중 연평균 온도, 극한 최저온도, 생장일수는 산림대별로 난대에서 온대북부 방향으로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습도, 일조량 및 건조지수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산지간에는 많은 차이를 보여 이들 인자는 미세 환경인자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해 구분된 산지는 구획 초기단계로 잠정적인 산지로 활용하면서 금후 생물기후도, 산지시험, 유전생태 자료 등이 축적되면 보완해 나갈 것이다.

  • PDF

주도와 까막섬의 식생 (On the Vegetations of Judo and Gamagseum)

  • 임양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9권2호
    • /
    • pp.49-61
    • /
    • 1976
  •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vegetation of Judo and Gamagseum in warm temperate zone of Southern Korea. They are covered with natural vegetation, evergreen forest dominated with Castanopsis cuspiadata in Judo and Machilus thunbergii in Gamagseum. Judo is a small island, ca. 1.75 ha, located within the Wando port. Since the flora of Wando including the Judo was reported in 1924, some investigator have reported evergreen trees of Judo. But the list of plant species of Judo is still unavailable. Gamagseum, located at the 15km morth of Judo, is a small island, ca. 1.45 ha, cosisting of two islands, Dae-o-do and So-o-do in low tide, and the report of its flora and any other survery on its is almost none. The vegetatons of Judo and Gamagseum are an example of natural forest vegetation occured rarely in warm temperate zone because of human disturbance in the southern coast zone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ecological study of those vegetation has not ever been made, and the ecological or plant geographical situations of their vegetation is not clear. To determine the vegetation type, listing of plant species in the islands, calculation of basal area of trees over DBH=4.5cm, Raunkiaer's life form, leaf size class, Pte.-Q and etc., were studied. Total plant species of Judo was 110 species and that of Gamagseum was 99 species. In Judo, Castanopsis cuspidata was 1384 individuals among 2359 individuals over DBH=4.5cm, and in Gamagseum, Machilus thunbergii was remarkably abundant and Castanopsis cuspidata could not be found.

  • PDF

Seasonal fluctuations and changing characteristics of a temperate zone wetland bird community

  • Lee, Soo-Dong;Kang, Hyun-Kyu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104-116
    • /
    • 2019
  • Background: The composition of wild bird populations in temperate zones greatly varies depending on phenological changes rather than other environmental factors. Particularly, wild birds appearing in wetlands fluctuate greatly due to the crossover of species arriving for breeding during the summer and for wintering. Therefore, to understand the changes to species composition related to phenology, we conducted this basic analysis of populations to further the cause of the protection of wetland-dependent wild birds. Methods: It is wrong to simply divide a wild bird population investigation into seasons. This study identifies species composition and indicator species that change along with seasons. Wetlands to be surveyed are protected by natural monuments and wetland inventory and are in a state close to nature. In order to identify as many species as possible in wetlands, a survey was conducted in both shallow and deep wetlands. The water depth varied in these areas, ranging from 0.2 to 2.0 m, allowing for both dabbling and diving ducks to inhabit the area.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line-transect and distance sampling methods and were conducted at intervals of 2 weeks. The survey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the eco-tone and emergent zone, the submergent zone, and the water surface. The survey was conducted along a wetland boundary by observing wild birds. A PC-ord program was used for clustering, and the SA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The data strongly indicates that day length is the main factor for seasonal migration periods, despite the fact that climate change and increasing temperatures are often discussed. Results and conclusions: The indicator species for determining seasons include migrant birds such as Ardea cinerea, Alcedo atthis, Anas penelope, and Poiceps ruficollis, as well as resident birds such as Streptopelia orientalis and Emberiza elegans. Importantly, increases in local individual counts of these species may also serve as indicators. The survey results of seasonal fluctuations in temperate zones shows that spring (April to June), summer (July to September), autumn (October), and winter (November to March) are clearly distinguishable, even though spring and summer seasons tend to overlap,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additional research could more clearly identify fluctuation patter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in the stud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