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eth extraction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32초

계승치 결손을 동반한 다발성 저위교합 유착 유구치의 관리 (MANAGEMENT OF MULTIPLE INFRAOCCLUDED PRIMARY MOLARS WITHOUT PERMANENT SUCCESSORS: A CASE REPORT)

  • 박지현;송제선;김성오;손흥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1-398
    • /
    • 2011
  • 저위교합(infraocclusion)은 혼합치열기에 유구치에서 호발하며, 이것은 대부분 이환된 치아의 유착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유착된 저위교합 유구치의 치료 방법은 크게 치아의 보존 및 관찰, 수복, 발거로 나눌 수 있다. 계승치가 존재하고 경도의 저위교합을 가진 유구치의 경우 자연탈락을 기대할 수 있으나, 계승치가 결손되어 있고 저위교합도 점차 진행될 경우 이환된 치아의 발거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유착으로 인한 수직적인 치조골 소실이 염려될 경우, 추후 보철치료를 위해 환아의 최대성장기 이전에 유착치의 발거를 시행하여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만 6세의 다발성 유착 유구치 및 저위교합과 계승치 결손을 보이는 환자에서 인접부의 성장에 따른 치조골의 수직적 결손이 심화되는 것을 막고 정상적인 치조골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최대성장기 이전에 유착치를 발거 후, 장기간에 걸쳐 추적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매복지치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CI) 의식하 진정 (Target Controlled Conscious Sedation with Propofol and Remifentanil for the Extraction of Impacted Wisdom Teeth)

  • 방보영;신터전;서광석;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배경: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arget controlled infusion) 의식하 정주진정법의 적절한 주입농도를 제시하고 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가 예정된 미국마취학회 신체 등급 분류 1, 2에 속하는 15-65세, 142명(여 83명, 남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소급 연구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목표조절농도주입법을 이용한 의식하 진정법 사용에 관한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정맥내 삽관을 시행하고 수액을 공급을 시작하고, 4-5 L/min의 산소를 비관을 통해서 공급하였다. Propofol과 remifentanil의 초기 목표 혈중농도는 각각 $0.5\;{\mu}g/ml$와 1.0 ng/ml로 정하였다. 수술 중, 환자의 불안 통증 정도에 따라 목표농도를 조절하였으며 최저 농도와 최대 농도, 평균 농도, 주입된 총 용량을 기록하였다. 또한 수축기혈압과 맥박 수, 산소포화도, 호기 말 이산화탄소량을 수술 시작 전, 수술 중 5분 간격으로 확인하고 기록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평균 $\pm$ 표준편차나 환자의 수, 초기 측정치에서의 백분율 편차로 표시하였다. 결과: 수술 동안의 목표 혈중농도의 평균은 propofol은 $0.54{\pm}0.11\;{\mu}g/ml$이고, remifentanil은 $1.11{\pm}0.30\;ng/ml$였다. 수술 중 조절된 최대농도는 propofol은 $0.6{\pm}0.23\;{\mu}g/ml$이고, remifentanil은 $1.3{\pm}0.63\;ng/ml$였다. 이는 의식하 진정에 해당되는 범의의 농도라고 할 수 있겠다. 진정동안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은 유지 되었으며 산소 포화도는 4-5 L/min 의 산소 보충 하에 98%이상으로 유지되었다. 수축기 혈압과 맥박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정상변위범위(${\pm}20%$)내에서 유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목표조절 농도주입 의식하 진정에서 사용된 농도(propofol $0.5\;{\mu}g/ml$, remifentanil 1.0 ng/ml)는 안전하게 의식하 진정을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이는 치과 치료 시 목표조절농도 주입의식하 진정법에서 적절한 목표농도를 제시한다.

성견에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시 RBM 처리된 임플란트의 골융합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Osseointergration On Different Immediate Implants In Extraction Sockets Of Beagle Dogs)

  • 선기종;박재영;정은경;신미란;김윤상;피성희;신형식;유형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209-221
    • /
    • 2007
  • Recently, immediately after losing teeth. implant placement has been greatly attempted. Implant can help restoration of tooth functions within short time.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examine the extent of osseointergation when the implants will be placed immediately after teeth extraction using domestic implant systems. Implants were inserted in beagle dogs and evaluated the clinical, radiological, histological and histomorphometric assay at 6 weeks and 12 weeks. For experimental materals, $STAGE-1^{(R)}$($4.1{\times}8mm$, Lifecore, USA), $SS-III^{(R)}$($4.0{\times}8mm$, OSSTEM, Korea) and $IFI^{(R)}$($4.0{\times}8mm$, Dio, Korea) implants treated with RBM were placed. All the placed site showed normal results without fail and inflammation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As a result of measurement by periotest, it showed $-2\;{\sim}\;-5$ and stable status comprehens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mplants(p<0.05). Bone tissue adjacent to implant showed increased marrow tissue at 6 weeks. Nevertheless, osteogenic structure was not observed remarkably. In a 12 weeks opinion, bone tissue composed of osseointegration along implant interface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marrow tissue containing central vessels unlike a 6 weeks opinion and matured compact bone whose osteogenic structure is well formed. BIC were 42.4%, 32.0% and 34.9%, respectively in 6 week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p<0.05). In 12 weeks, BIC were 58.8%, 61.9% and 57.5%.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p<0.05). It is considered that all 3 implant systems are suitable for immediate implant placement.

고압-저온 보관에 따른 쥐 치아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 평가 (THE EVALU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OF RAT TEETH AFTER LOW-TEMPERATURE PRESERVATION UNDER HIGH PRESSURE)

  • 정진호;김진;최성호;김의성;박지용;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4호
    • /
    • pp.285-29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흰 쥐의 상악 대구치를 발거한 후 치주인대세포를 $0^{\circ}C$/2 MPa고압-저온하에 1주간 보관시켜 MTT, WST-1 검색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를 저속 냉동법(No Additional Pressure, 2, 3 MPa), 급속 냉동법(No Additional Pressure, 2 MPa), $-5^{\circ}C$/90 MPa초고압 저온보존법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생후 4주된 암컷 Sprague-Dawley계 흰쥐의 상악 좌우 제1, 2대구치를 발거하여 각 군 당 12개의 쥐 치아를 MTT, WST-1 검색에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9개군으로 대조군은 즉시 발치군이며, 각각 3 MPa, 2 MPa, No Additional Pressure (NAP)의 압력을 가한 후 $4^{\circ}C$에서 $-35^{\circ}C$까지 $-0.5^{\circ}C$/min 속도로 서서히 냉동시킨 뒤 $-196^{\circ}C$에 냉동한 저속 냉동군, 발치 후 동해방지제 처리과정을 거쳐 각각 2 MPa, NP의 압력을 가한 후, $-196^{\circ}C$의 액화질소에 넣어 냉동한 급속 냉동군, 발치 후 각각 2MPa,NP의 압력을 가한 후, $0^{\circ}C$에 보관한 저온 보존군, $-5^{\circ}C$/90 MPa의 초고압 저온 보존군으로 나누었다. 보존액은 F medium을 사용했으며 동해방지제로 10% dimethylsulfoxide (DMSO)를 사용하였다. 치근면을 단위면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MTT, WST-1 측정값을 Eosin 염색 후 53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으로 나누었다. 통계 분석을 위해 one way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사후 검정으로는 Tukey HSD 방법을 사용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TT 검색법 및 WST-1 검색법 결과 $0^{\circ}C$/2 MPa 고압 저온 보존군이 즉시 발치군보다 세포 활성도가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며, 저속 압력 냉동군(NP, 2 MPa, 3 MPa)과, 급속 압력 냉동군(NP, 2 MPa), 저온보존군($0^{\circ}C$/NP), 초고압 저온 보존군($-5^{\circ}C$/90 MP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차있게 높은 세포 활성도를 나타내었다(p < 0.05). 2. MTT검색법 및 WST-1 검색법 결과 $-5^{\circ}C$/90 MPa 초고압 저온 보존군이 가장 낮은 세포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MTT 검사 결과에서는 모든 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p < 0.05). 위의 결과를 통해, $0^{\circ}C$/2 MPa (20기압)의 고압-저온 보존법이 다른 급속 냉동 보관법(2 MPa, NAP)이나 저속냉동보관법(3, 2 MPa, NAP), $-5^{\circ}C$/90 MPa 초고압 저온 보존법에 비해 우수한 쥐 치아의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를 보여 차후 치아의 재이식시 치아보관을 위한 방법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유구치 치근분지부 병소의 치수절제술과 소파술에 의한 골재생 (THE INDUCTION OF BONE REGENERATION AT FURCATION LESIONS WITH PULPECTOMY AND FURCATION CURETTAGE IN PRIMARY MOLARS)

  • 이승현;우연선;김재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28-633
    • /
    • 2005
  • 유구치의 깊은 우식은 치수병소을 유발하고 이를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치수강저의 수많은 부근관을 통하여 치근분지부 병소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과서나 문헌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를 발치의 적응증으로 기술하여 왔고 임상에서도 상례적으로 발치를 흔히 시행하였다. 그러나 유구치의 조기 상실은 수많은 부작용을 낳는 것이 필연적이다. 어린이의 골재생 능력 이 우수하며, 치수강저와 치근분지부를 잇는 많은 부근관이 있음을 생각해 볼 때 유구치 치수 내의 감염원을 치수절제술로 제거하고, 이미 발생한 치근분지부 병소에 대해서는 소파술을 시행한다면 치근분지부 골조직의 신속한 재생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본 증례는 $3{\sim}6$세 어린이에서 유구치 치근분지부 방사선 투과상이 $2{\sim}4mm$ 정도의 깊이를 보이는 비교적 경미한 수준이면서, 연조직 누공을 보이는 10개 증례를 선별하여 치수절제술과 치근분지부 소파술을 시행한 결과, 모두에서 방사선적으로 골재생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하여 유구치 치근분지부 병소나 누공을 보이는 모든 경우가 발치의 적응증은 아니며, 이 방법이 치근분지부 병소를 가진 유구치를 잔존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이 객관적 인 타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병소의 크기와 진행정도, 계승 영구치의 성숙도, 환아의 연령 등 적응증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검토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정중 과잉치 발거 이후 정중 이개의 폐쇄 (MANAGEMENT OF DIASTEMA AFTER REMOVAL OF MESIODENS)

  • 조은주;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8-353
    • /
    • 2003
  • 정중 과잉치를 이른 시기에 발견하고 이를 신중하게 관리하는 것은 인접 영구 전치가 맹출하고 정상적인 위치로 자리 잡는데 미칠 수 있는 유해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초기 혼합치열기에 있어 정중 이개가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정중 과잉치의 존재를 이른 시기에 파악하고 이를 적절한 시기에 제거하는 것은 이어지는 영구 중절치의 자발적인 배열과 근접화를 가능하게 한다. 정중 이개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선택은 주기적인 관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 기간 동안에 정중 이개가 자발적으로 폐쇄되지 않을 때에는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정중 과잉치로 인한 정중 이개의 폐쇄에서 정중 과잉치의 제거 이후 자발적 즉 생리적으로 폐쇄되는 증례(증례 1-3)와 함께 교정적 처치로 정중 폐쇄를 시행한 증례(증례 4)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하악 제3대구치와 하치조신경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EVALUATION TO RELATIONSHIP BETWEEN THE INFERIOR ALVEOLAR NERVE AND THE MANDIBULAR THIRD MOLAR BY USING RADIOGRAPHIC IMAGE)

  • 김종협;구홍;안진석;국민석;박홍주;오희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5호
    • /
    • pp.464-473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and the findings of panoramic and tomographic images for preventing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after the 3rd molar extraction. Material and Method: From April, 2005 to June, 2005, The 190 patients who visited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panoramic radiographies were taken for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as selected. Among 215 mandibular third molars, Scanora tomographic imagings were taken in the 90 teeth which were overlaped to the mandibular canal in the panoramic imagies. In panoramic radiographies, the angulation, the level, the root morphology, and the superimposition sig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the mandibular canal were evaluated. In the tomographic radiographies,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from the canal were also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indings and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were examined. Results: In the panoramic findings,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ies were occurred in the darkened roots (5 molars, 7%), the uncontinuous radiopaque image (3 molars, 7%), and the depositioned mandibular canal (2 molars, 10%). In the tomographic findings of 90 molars, 20 molars also had the superimposition imagies. Five molars in those molars (25%) had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after extraction. There were 10 patients who had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The sensory was began to be recovered in 9 patients, except 1 patient, within 2 weeks, then fully recovered within 3 month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pth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superimposition sign may be related with the risk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after extraction.

Calcium Phosphate Graft Material이 적용된 발치와의 치유 양상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f Extraction Socket Grafted with Calcium Phosphate Materials: An Animal Study)

  • 양승민;윤현민;신승윤;계승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3호
    • /
    • pp.279-28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산칼슘제제인 $MBCP^{(R)}$, $Polybone^{(R)}$을 발치와에 이식 후 치유 양상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비글견의 소구치를 발치 후 발치와에 골이식재를 이식하였으며, 3개월간의 치유기간을 거친 후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현미경으로 치유 양상을 관찰하였다. $MBCP^{(R)}$, $Polybone^{(R)}$은 조직학적으로 비슷한 치유 양상을 보였으며 이물반응이나 염증 반응 없이 신생골 생성을 유도하여 정상적인 치유를 도모하였다. 치유된 조직의 조직 계측학적 평가에서 신생골 비율은 골이식재를 이식하지 않은 대조군이 34.5%, $MBCP^{(R)}$는 28.4%, $Polybone^{(R)}$은 23.8%였으며, 골이식재를 포함한 전체 mineralized tissue의 비율은 각각 34.5%, 42.9%, 37.3% 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MBCP^{(R)}$, $Polybone^{(R)}$은 발치와에 사용할 골이식재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후가 불량한 상악 중절치의 유지 (CONSERVATIVE TREATMENT OF A UPPER CENTRAL INCISOR WITH POOR PROGNOSIS)

  • 이두영;김승혜;최형준;최병재;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68-373
    • /
    • 2010
  • 상악 중절치는 저작시 음식물을 찢거나 자르는 기능 외에도 심미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며 상악 악궁의 형태 및 얼굴의 형태와도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발음을 하는데 있어서도 전치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후가 불량한 치아의 일반적인 치료는 발거 후 공간 유지장치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혼합치열기에 있어 상악 영구 중절치의 발거는 치조골의 흡수, 불량한 심미성, 발음과 저작의 문제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악 전치부의 치료는 보존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예후가 불량한 상악 전치부의 치료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환아의 나이, 성장 잠재력, 교합 관계, 구강 위생상태, 경제력 그리고 환아의 치료에 대한 협조도 등이 있다. 본 증례는 짧은 치근으로 인해 치아의 동요도가 있어 상악 좌측 중절치의 예후가 불안정함에도 불구하고 치아를 발거하지 않고 치료를 통해 상악 좌측 중절치를 정상 위치로 배열하고 보존하였다. 짧은 치근과 치아 회전으로 인한 추가적인 치근 흡수와 치아 동요도 증가 등 예후가 불안정하였지만 환아의 심리적 안정성, 나이,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보존적인 치료 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유견치 발치를 통해 변위 상악 견치 치료 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Management of Displaced Maxillary Canines by Extraction of the Primary Canine: Factors Affecting Treatment Outcome)

  • 김한별;김현태;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68-480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구개측 및 협측 변위를 보이는 상악 영구 견치에서 차단적 유견치 발치의 효과를 평가하고,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인자를 분석하는 것이다. 상악 영구 견치의 맹출 경로가 근심 및 교합면 방향을 향하면서 치관의 일부가 인접치 치근과 중첩된 것으로 진단된 환자 중 해당 부위의 상악 유견치를 발치한 86명의 환자의 97개의 상악 영구 견치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97개의 변위된 상악 영구 견치 중 64개(66.0%)가 유견치 발치만으로 인접 측절치 치근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상악 영구 견치의 협-구개측 변위 방향, 치관첨의 수평 및 수직적 위치, 치근단 폐쇄 여부, 유견치의 치근단 방사선투과상 여부, 인접 측절치의 쐐기모양 여부가 치료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