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ical Innovation

검색결과 1,316건 처리시간 0.03초

시장 거래의 요인으로서 게임엔진의 기술체제와 기술혁신 (Technological regime, innovation of game engine as market transaction factors)

  • 장용호;정원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9-68
    • /
    • 2009
  • 본 연구는 게임엔진 공급자의 기술체제와 기술혁신에 따른 Licensing 전략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게임엔진 공급자의 기술체제가 이질적으로 분화되고, 게임엔진의 기술체제가 이용자 친화적일수록 게임 개발기업(user)의 거래가 증가하였다. 게임엔진 공급자의 Licensing 전략을 결정하는 기술지식 변수로는 엔진 공급자의 기술체제의 이용자 친화성(User Friendliness)이 가장 설명력이 높다. 공급자의 엔진 구조의 모듈화, 게임엔진의 범용성, 암묵적(tacit) 기술지식의 명시화(cordifiablity), 게임엔진의 혁신정도가 클수록 엔진기술지식의 지원역량이 증가되고, 동시에 엔진기술의 거래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불완전한 게임기술시장에서 효율적인 시장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 PDF

경영자의 개인창의성이 기업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조직의 기업가지향성과 기술혁신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reativity of Executives on Innovative Performance of Firm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of Research Organization)

  • 신주훈;조근태;박상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1호
    • /
    • pp.73-87
    • /
    • 2018
  • 창의성, 기업가정신, 기술혁신 지향성향 등은 기술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인이다. 기업의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주체는 경영자이다. 햄브릭 교수의 고위층 이론(Upper Echelons Theory)에 따라 경영자 개인수준의 창의성이 조직의 기술혁신체계 내에 다양한 양상으로 투입될 것이고, 조직의 기술혁신체계가 경영자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기업가지향성과 기술혁신지향성을 발현함으로써 혁신성과를 높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반도체분야 기업 중 연구조직을 보유한 132개 기업의 경영자의 개인창의성이 연구조직의 기업가지향성, 기술혁신지향성을 매개로 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문헌에서 확인한 개인창의성, 기업가지향성, 기술혁신지향성 등을 측정 요소로 적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경영자의 개인 창의성이 연구조직의 기업가지향성과 기술혁신지향성을 매개로 할 때 기업의 혁신성과에 매우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보였고, 경영자 창의성의 혁신성과와 직접적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경영자의 개인창의성과 연구조직의 기업가 지향성과 기술혁신지향성은 기업의 성공적 혁신성과 창출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말해주고 있다.

전자업종 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기술사업화역량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R&D지원 유용성의 조절역할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New Product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in Electronics Industry an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Useful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 전종일;임헌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7-6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new product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in electronics industry an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useful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For this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the sample of 346 employees in 17 electronics companies of metropolitan area. The 305 sample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also found out perceived useful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had the moderate roles between only technical innovation system our of thre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factors and new product performance, and also between only manufacturing capability our of three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factors and new product performance. With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electronics company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우리나라 기업의 산업표준 획득과 기술개발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Standards Acquisition an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Enterprises)

  • 이달환;허현회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4-8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 two asp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ation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t the firm level. The first aspect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Korean industrial standards system and the firm's technological development vis-a-vis quality standards. The analysis reveals that even if Korean firm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andards, the level of product quality of the KS mark is still lower compared to the average world level. The survey also reveals that the reasons for acquiring ISO and KS marks are mainly aimed at enforcing company image and increasing quality management mind, rather than to foster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second aspect explores how much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marks) affect the firm's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standards acquisition activitie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standardization activities have a less positive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than on the maintenance of consistent production works.

  • PDF

기업의 혁신저항관리활동이 기술혁신활동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Innovation Resistance Management on Technological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 반재인;김성홍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27-6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혁신저항관리활동 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혁신저항관리활동이 기술혁신활동 및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혁신저항관리활동으로는 구성원의 참여, 체계적 제도, 원활한 의사소통, 경영관리 등 총 4가지 요소가 있음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측정항목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300개 제조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분석자료를 확보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결과 혁신저항관리활동의 하위변수인 구성원의 참여, 체계적 제도, 경영관리는 기술혁신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원활한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저항관리활동(구성원의 참여, 체계적인 제도, 원활한 의사소통, 경영관리)은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술혁신활동은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높은 혁신성과를 위해서는 혁신저항 관리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 PDF

사회로부터의 기술혁신에 관한 연구: 재난영상전송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Society: A Case Study on the Real-tim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 윤진효;박상문
    • 기술혁신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3-122
    • /
    • 2007
  •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development pro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on how technological innovations are developed and deployed within social context. This paper investigates innovation processes within social contexts and the role of innovation actors such as citizens,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The the Real-time Disaster Management System (RDMS) is an innovation for citizens to transmit digital images and video clips on disaster toward professional organizations to respond to disasters. This case shows how an innovation in disaster management was developed by social interactions, how open innovation mechanism was deployed, and how end-users involved in innovation processes for disaster management. Finally this paper suggests implications to accelerate innovations for social welfare and social change.

  • PDF

기술혁신 보상확보 메커니즘 효과성의 산업별 차이와 유형 (Difference Across Indutries of Innovation Appropriability Mechanism's Effectiveness and Classification)

  • 박성택;김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135-144
    • /
    • 2014
  • 기술혁신 전략을 구성하고 기술혁신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기술혁신에 대한 보호 여부의 결정과 보호 방법의 선택일 것이다. 전통적으로 경제학적인 면과 전략적인 측면에서 혁신에 대한 보상을 최대한 많이 얻기 위해 기술혁신을 보호하는 것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보호 여부와 그 수준을 결정하는 일은 매우 복잡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기술혁신에 대한 보상을 확보하는 메커니즘으로는 특허, 비밀유지, 시장 선점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술혁신에 대한 수익 확보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어떠한 전략을 세우느냐에 따라 기업의 흥망성쇠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의 국외 연구에서 드러난 결과로는 특별히 특허가 기술혁신에 대한 보상확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기술혁신의 보상확보를 위해서는 산업별로 여러 가지의 보상확보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와 설문조사를 통해 산업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기술혁신 보상확보 메커니즘의 효과성과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우수한 판매 및 서비스 활동, 리드타임, 보완적 제조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혁신시스템 협력 네트워크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operation Network in National Innovation System on Technological Innovation)

  • 주성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07-116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부가 창조경제 및 산업개혁 정책을 추진하면서 창의적이고 선도적인 경제 체질로의 탈바꿈을 시도함에 따라 이에 맞는 혁신시스템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대표적인 지식 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 혁신시스템의 협력 네트워크 요인이 기술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기업혁신조사(KIS)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OECD NESTI-WPIA 방법론을 준용하여 프로빗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분석을 통해 다음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보통신업에서 혁신 주체 간 협력은 대체적으로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민간기관과의 협력이 기술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미친다. 셋째, 다양한 협력은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창의성 수준이 낮은 활용적 혁신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이 결과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기술혁신 정책이 협력촉진, 민간중심의 기술혁신, 다양한 의견을 수립할 수 있는 조합주의형 시스템 구축 등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 정보통신 산업혁신체제의 역동성 분석

  • 김진용;정재용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2호
    • /
    • pp.283-314
    • /
    • 2003
  • The transformation of sector system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a prominent character in sector system,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in innovation theory with rapid change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In this context, we explore how Sectoral Innovation System (SIS) in ICT has been transformed since 1970 by employing US patent data and Proxy variables which measures the basic elements for SIS and its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patent data, it is demonstrated that technological regimes, key links and Schumpeterian patterns of innovation in overall ICT sector have drastically transformed over the last three decades. We also reviewed how changes of knowledge bases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driving forces of dynamics in ICT help heterogeneous agents interact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dustrial structure and institutions), leading to industrial or economic growth and its dynamics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 over ICT sector (Telecommunication, Computer and Semiconductor). Consequently, our research shows clearly that Schumpeterian patterns of innovation have shifted from Mark I to Mark II in ICT. Our study also provides a glimpse picture of dynamics patent data.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 Jo, Dong Hyuk;Kim, Jong Young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3-12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network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n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with the aim of determining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by defining the succes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s the innovative performance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as a survival strategy of technology-based start-ups, verified the dimensions, relationship and role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network capabil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thereby proving the theoretical expansion. This study has determined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thereby suggested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based start-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