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rs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9초

애착의 갈망과 분리불안의 발현 - <하진양문록> 진세백의 경우 - (A Longing for Attachment and Revelation of Separation Anxiety)

  • 장시광
    • 동양고전연구
    • /
    • 제66호
    • /
    • pp.193-226
    • /
    • 2017
  • 이 글은 <하진양문록>의 남성주동인물 진세백의 행위와 심리를 주로 여성주동인물인 하옥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 진세백의 작품 내적 성격을 정립하고 그 소설사적 위상을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애착 이론의 관점에서 진세백을 분석하였다. 진세백은 자신의 감정을 여과 없이 표출하는 인물이다. 하옥주를 처음 본 순간 반하게 되는데 이는 주로 하옥주와의 스킨십으로 구현된다. 하옥주와 헤어지고 난 후에는 슬픔, 우울함, 분노를 표출하고 그리운 나머지 눈물을 흘리기까지 한다. 진세백은 하옥주와 이별과 만남을 반복하는데 일관적인 모습은 하옥주 곁을 떠나지 않으려 한다는 점이다. 하옥주에 대한 절(節)을 견지하며 그녀와 절대로 분리되지 않으려 한다. 감정을 진솔하게 표출하는 진세백의 행위는 당대 남성 유학자에게 요구하던 이념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서 경직되지 않은 발랄한 모습이다. 진세백은 애착 대상이던 부모를 여의고 하옥주를 새로운 애착 대상으로 삼지만, 그녀와의 반복된 이별로 극심한 분리불안 증세를 보인다. 결국 그러한 증세를 해소하는 것도 하옥주의 몫이다. 진세백은 남성영웅소설이나 여성영웅소설의 경직된 남성인물과는 거리가 있다. 대하소설에도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호방형 인물이 등장하지만 진세백처럼 지속적으로 여성인물과 분리되지 않으려 하는 인물은 드물다. 전기소설이나 애정소설에서도 마찬가지로 진세백과 같은 감정선을 지닌 인물은 흔치 않다. 이러한 점에서 진세백은 소설사에서 매우 독특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고 할 만하다.

우측 윗눈꺼풀 외측 피부에서 발견된 선천 눈물샘소관 샛길 1예 (A Case of Congenital Lacrimal Ductule Fistula on Lateral Skin to the Right Upper Eyelid)

  • 한가희;정인권;이도형;김진형;서지원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2호
    • /
    • pp.1181-1184
    • /
    • 2018
  • 목적: 선천 눈물샘소관 샛길은 드물게 보고되었으며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증례에서는 선천 눈물샘소관 샛길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우측 윗눈꺼풀 외측 피부에 위치한 구멍을 통해 투명한 액체 고임을 주소로 생후 3개월 여아가 내원하였다. 재태연령 35주 3일에 태어났으며, 그 외 특이 과거력은 없었고 다른 안과적인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내원 당시 우측 상안검 외측에서 무색의 투명한 액체가 고인 직경 약 2 mm 크기의 개구부가 보였으며, 개구부 주변으로 감염을 의심할 만한 소견은 없었다. 눈물고임 증상을 동반한 눈물소관 샛길 소견으로 전신마취하 눈물소관 샛길의 완전절제 및 병리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조직학적 소견상 눈물소관 샛길을 진단하였다. 수술 후 우측 윗눈꺼풀 외측 눈물흘림은 호전되었고, 재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적 없는 선천 눈물샘소관 샛길 및 이의 치료 과정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Dexamethasone Facilitates NF-κB Signal Pathway in TNF-α Stimulated Rotator Cuff Tenocytes

  • Ji, Jong-Hun;Kim, Young-Yul;Patel, Kaushal;Cho, Namjoon;Park, Sang-Eun;Ko, Myung-Sup;Park, Suk-Jae;Kim, Jong 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297-303
    • /
    • 2019
  • Corticosteroids are commonly used for pain control in rotator cuff tear. Deregulated $NF-{\kappa}B$ activation is a hallmark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and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pathogenesis of rotator cuff tear. The Dexamethasone(DEXA) is a synthetic corticosteroi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act effect of dexamethasone on $NF-{\kappa}B$ signaling in rotator cuff tear. We measured $NF-{\kappa}B$ expression in four groups: control, $TNF-{\alpha}$-treated, DEXA-treated, and combined treatment with $TNF-{\alpha}$ and DEXA. Tenocytes were isolated from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and pre-incubated with $TNF-{\alpha}$ (10 ng/ml), DEXA ($1{\mu}M$), or both of them for 10 min, 1 h, and 2 h. Expression of p65, p50, and p52 in the nuclei and cytosol was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and immunofluorescence imaging using confocal microscopy. We also evaluated nucleus/cytosol (N/C) ratios of p65, p50, and p52. In our study, the combined treatment with DEXA and $TNF-{\alpha}$ showed increased N/C ratios of p65, p50, and p52 compared with those in the $TNF-{\alpha}$ group at all time points. Additionally, in the DEXA group, N/C ratios of p65, p50, and p52 gradually increased from 10 min to 2 h. In conclusion, DEXA promoted the nuclear localization of p65, p50, and p52, but was not effective in inhibi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TNF-{\alpha}$-stimulated rotator cuff tear.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의 「만주기사(滿洲紀事)」 분석을 통해 본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하급교육기관 실태 - 유하(柳河)·통화현(通化縣)을 중심으로 - (Actual Condition on Preliminary Educational Organizations of Sinheung Military Academy Confirmed from Manjugisa by Yi Sang-nyon - Focused on Liuhexian·Tonghuaxian)

  • 박성순
    • 동양고전연구
    • /
    • 제67호
    • /
    • pp.173-201
    • /
    • 2017
  • 신흥무관학교는 신민회 인사들의 숙의에 따라서, 국망 직후 서간도에서 독립전쟁을 위한 배후기지로서 가장 먼저 설치된 곳이었다. 신흥무관학교는 1911년부터 1920년대까지 약 10년 간에 걸쳐서 무려 3,500명의 독립운동 간성들을 배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10년 세월 동안 많은 수의 학생들이 어떻게 충원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 필자는 신흥무관학교의 학생 충원문제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이상룡(李相龍)의 "만주기사(滿洲紀事)"를 주목하게 되었다. "만주기사"는 총 16편에 이르는 연작 시이다. 이상룡은 신흥강습소를 설치한 후부터 양성한 군사가 오륙백에 이른다고 회고하였으나,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이 부분을 단지 문학적 수사로 치부하여 간과한 측면이 있었다. 한편 제6편에서는 추가가에 정착한 후 8년 동안 건립한 소학교가 30개 소에 이른다고 회고하였다. 필자는 이를 바탕으로 신흥강습소 초기부터 길러낸 5백 명 이상의 학생들이 신흥무관학교 학생들을 포함하여 인근의 하급교육기관, 즉 소학교 학생들을 통칭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그 소학교들을 구체적으로 증명하였다. 유하 통화 지역 소학교 학생들은 졸업 후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리고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은 학규에 따라서 2년 간 의무적으로 인근 소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군사교육을 포함한 소학교 교육을 담당하였다. 결국 신흥무관학교와 그 인근의 소학교들은 독립전쟁이라는 큰 목적 하에서 서간도 한인들에 의해서 유기적으로 운영되었던 커다란 독립운동의 군영이었던 셈이다.

전염성근괴사증바이러스(IMNV)를 인위감염 시킨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근육에서 나타난 미세 손상과 염증반응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특성 연구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pacific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infected with Infectious Myonecrosis Virus (IMNV) with an emphasis on micro-traumas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muscle tissues)

  • 이효은;김영숙;장진현;천원주;최가영;;김수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7-176
    • /
    • 2022
  • We injected infectious myonecrosis virus (IMNV) to pacific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nd observed closely with using light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for 4-8 days post infection (dpi). As clinical signs, abdominal bodies had mild opaque muscles at 5 dpi. And the mortality was shown at 6 dpi. At 8 dpi, most injected shrimps had severe opaque muscles and humped back that cause of movement disorder. As results of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local parts of abdominal body muscle had muscle fiber hyalinization, muscle fiber atrophy, rounded muscle fibers, myofibrillar hypertrophy in size, a decrease in number of myofibrils and phagocytosis from the sarcolemmas by multiple hemocytes at 4 dpi. Especially, myofibrillar hypertrophy appeared at the whole or random part of single muscle fiber not in specific locations like the center or edge of muscle fiber. At 6-7 dpi, multiple muscle necrosis, muscle fiber segmentation, myofibril lysis ap- peared and a few hemocytes were infiltrated at lesions. At 8 dpi, extensive muscle necrosis, multiple myofibril lysis and muscle fiber atrophy were shown, and very few hemocytes were infiltrated. In early stage of infection, local viral myositis with zenker's degeneration were shown. These lesions appeared multiply after the early stage. In late stage of infection, extensive coagulative muscle necrosis appeared with few of inflammatory response such as hemocytes infiltration. The lack of hemocytes infiltration response at the late stage might be disadvantage for Litopenaeus vannamei to defense against IMNV and to recover, because hematocytes (granulocyte, semi-granulocyte) eliminate pathogen and damaged tissues from infection sites and help recover. As results of the TEM observation, IMNVs that had nonenveloped icosahedral capsid which was 30-40 nm diameter were in myofibril and beside tubules of sarcoplasmic reticulum and moved to the certain direction. The micro-tears and micro-trau- mas in myofibrils caused muscle fiber necrosis. And semi-granulocytes engulfed IMNVs to eliminate virus.

Neovascularization in Outer Membrane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 A Rationale for Middle Meningeal Artery Embolization

  • Hyun Kim;Yoori Choi;Youngsun Lee;Jae-Kyung Won;Sung Ho Lee;Minseok Suh;Dong Soo Lee;Hyun-Seung Kang;Won-Sang Cho;Gi Jeong Che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2호
    • /
    • pp.146-157
    • /
    • 2024
  • Objective : Chronic subdural hematomas (cSDHs) are generally known to result from traumatic tears of bridging veins. However, the causes of repeat spontaneous cSDHs are still unclear.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vasculature in the human dura mater and outer membrane (OM) of cSDHs to elucidate the cause of their spontaneous repetition. Methods : The dura mater was obtained from a normal control participant and a patient with repeat spontaneous cSDHs. The pathological samples from the patient included the dura mater and OM tightly adhered to the inner dura. The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particular focus on blood and lymphatic vessels by immunohistochemistry, 3-dimensional imaging using a transparent tissue clearing technique, and electron microscopy. Results : The dural border cell (DBC) layer of the dura mater and OM were histologically indistinguishable. There were 5.9 times more blood vessels per unit volume of tissue in the DBC layer and OM in the patient than in the normal control. The DBC layer and OM contained pathological sinusoidal capillaries not observed in the normal tissue; these capillaries were connected to the middle meningeal arteries via penetrating arteries. In addition, marked lymphangiogenesis in the periosteal and meningeal layers was observed in the patient with cSDHs. Conclusion : Neovascularization in the OM seemed to originate from the DBC layer; this is a potential cause of repeat spontaneous cSDHs. Embolization of the meningeal arteries to interrupt the blood supply to pathological capillaries via penetrating arteries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Coronal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Improving Diagnostic Accuracy for Posterior Ligamentous Complex Disruption In a Goat Spine Injury Model

  • Xuee Zhu;Jichen Wang;Dan Zhou;Chong Feng;Zhiwen Dong;Hanxiao 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4호
    • /
    • pp.641-648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ree-dimensional (3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uld improve diagnostic accuracy for suspected posterior ligamentous complex (PLC) disrup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20 freshly harvested goat spine samples with 60 segments and intact surrounding soft tissue. The animals were aged 1-1.5 years and consisted of 8 males and 12 females, which were sexually mature but had not reached adult weights. We created a paraspinal contusion model by percutaneously injecting 10 mL saline into each side of the interspinous ligament (ISL). All segments underwent T2-weighted sagittal and coronal short inversion time inversion recovery (STIR) scans as well as coronal and sagittal 3D proton density-weighted spectrally selective inversion recovery (3D-PDW-SPIR) scans acquired at 1.5T. Following scanning, some ISLs were cut and then the segments were rescanned using the same magnetic resonance (MR) techniques. Two radiologists independently assessed the MR images, and the reliability of ISL tear interpretation was assessed using the kappa coefficient.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of images obtained using the different MR techniques. Results: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for detecting ISL disruption was high for all imaging techniques (0.776-0.949).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the coronal 3D-PDW-SPIR technique for detecting ISL tears were 100, 96.9, and 97.9%,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agittal STIR (p = 0.000), coronal STIR (p = 0.000), and sagittal 3D-PDW-SPIR (p = 0.001) techniques. Conclusion: Compared to other MR methods, coronal 3D-PDW-SPIR provides a more accurate diagnosis of ISL disruption. Adding coronal 3D-PDW-SPIR to a routine MR protocol may help to identify PLC disruptions in cases with nearby contusion.

수술이 필요한 견갑하건 파열을 예측하기 위한 수술 전 어깨 MRI 소견 (Preoperative Shoulder MRI Findings to Predict Subscapularis Tendon Tear Requiring Surgical Repair)

  • 정지훈;조영훈;김여주;이승훈;류정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71-183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MRI의 다양한 간접 소견 중 어떤 소견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견갑하건 파열을 예측하는 데 가장 주요한 것인지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총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MRI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견갑하건 파열의 직접평가, 이두박근 장두의 병리, 상완골두의 후방위, 상완골 회전, 견갑하근의 지방변성과 위축을 평가하였다. En-face 보기에서 부리돌기의 끝과 관절오목의 기저를 연결한 base-to-tip line (이하 BTL)을 이용한 육안 등급 및 두께 측정을 통해서 위축을 평가하였다. 결과 관절경 시술에서 31명(36%)의 환자가 Lafosse type III 또는 IV의 견갑하건 파열을 보여, 재건수술을 받았다. 이두박근 장두의 병리(p = 0.002), 상완골두의 후방위(p = 0.012), 견갑하근의 지방 변성(p < 0.001), BTL 등급(p = 0.003)은 견갑하건 파열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상완골두의 후방위(p = 0.011, odds ratio [이하 OR] = 5.14)와 견갑하근의 지방변성(p = 0.046, OR = 2.81)은 견갑하건 파열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결론 상완골두의 후방위와 지방변성은 견갑하건 파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판독하는 것은 최적의 수술 전략을 계획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소프트렌즈 재질 별 누액단백질 침착 및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다목적용액의 세척효율 (The Deposition of Tear Protein according to Soft Lens Materials and The Cleaning Efficacy of Multi-purpose Solution according to the Surfactant Types)

  • 박미정;권용대;이왕재;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9-188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성분 및 함유량이 다른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세척효율 및 가시광선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다른 재질의 소프트렌즈(etafilcon A 및 hilafilcon B 재질)에 인공누액을 이용하여 각각 단백질을 침착시킨 후 계면활성성분 및 함유량이 다른 6종류의 다목적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그에 따른 세척효율 및 광투과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Etafilcon A 재질 렌즈의 경우 다목적용액으로 문지르기를 하여 세척하였을 때 세척효율은 다목적용액의 계면활성성분 농도와 표면장력에 따라 약 23~43%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계면활성성분 이외에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다목적용액으로 세척 시 가장 높은 세척효율을 보였으나 렌즈에 잔존하는 단백질량이 많았다. 다목적용액으로 세척 후 가시광선투과율은 89.8%~90.8%으로 나타났다. Hilafilcon B 재질 렌즈에서는 인공누액에 7일간 배양하더라도 침착되는 단백질양이 매우 적어 etafilcon A 재질 렌즈의 5~10% 수준의 단백질량을 보였으며 가시광선투과율 감소도 크지 않았다. 다목적용액으로 문질러 세척하였을 경우 45.4~67.4%의 세척효율을 보였으나 etafilcon A 재질 렌즈와는 다른 세척효율 순서를 보였으며, 광투과율은 새 렌즈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소프트렌즈의 단백질 침전물의 올바른 관리를 위하여서는 다목적용액의 계면활성성분이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렌즈 재질과 침착된 단백질량에 따라 적절한 다목적용액을 선택하여야 하며, 제조사의 가이드라인과 상관없이 문지르기를 하여 관리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간작물(間作物)이 작약(芍藥)의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tercrops on Growth and Yield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황형박;김재철;박소득;최부설;임주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12-217
    • /
    • 1996
  • 작약(芍藥)은 재식후(栽植後) 3년이상(年以上) 경과하여 수종(收種)되는 작물(作物)로 병충해(病蟲害)의 피해(被害)가 심하고 매년(每年) 소득(所得)이 낮아 간작물(間作物)에 의한 수익성(收益性)이 요구(要求)됨에 따라 합리적(合理的)인 간작(間作) 농계(濃系)를 구명(究明)하여 炸藥의 생산성(生産性)을 증대(增大)시키고 상품가치(商品價値)를 높이기 위한 간작물(間作物)을 선발(選拔)하고자 간작(間作) 체계시험(體系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약(芍約)+고추, 작약(芍約)+지황(地黃) 간작구(間作區)의 작약(芍藥) 생육(生育)은 초장(草長), 경직경(莖直徑), 경수(莖數), 근장(根長), 근직경등(根直徑等)이 작약단작구(芍藥單作區)나 타처리(他處理)에 비(比)해 양호(良好)하됐다. 2. 작약(芍藥)+참깨, 작약(芍藥)+율무 각작구(閣作區)에서는 뿌리혹선충(線蟲)의 밀도(密度)가 작약(芍藥)+고추, 작약(芍藥)+지자(地資) 간작구(間作區)에 비해(比) 현저히 억제(抑制)되었으며, 토양선충(抑制)의 종류(抑制)는 뿌리혹선충(線蟲), 뿌리썩이선충(線蟲), 아엽선충(線蟲), 줄기구근 선충(線蟲), 검 선충(線蟲) 등(等)이었고 피해(被害) 우점선충(優点線蟲)은 뿌리혹선충(線蟲)이었다. 3. 작약(芍藥)의 피해(被害) 발생(發生)은 처리간(處理間) 차이(差異)가 없었고, 지표면(面)의 조도조사(照度調査)에서 광도(光度)가 낮게 측정(測定)된 고추, 율무의 간작구(間作區)에서 작약(芍藥)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은 불량(不良)하였다. 4. 작약(芍藥)의 수양(收量)(103당)(當)은 작약(芍藥)+고추 間作(間作)이 464kg으로 가장 높았고, 작약(芍藥)+율무는 452kg 이었으며 작약(芍藥) 단작구(單作區)에서는 612kg이었다. 5. 3년간(年間)의 경제성분석결과(經濟性分析結果) 103당(當) 소득(所得)은 작약단작구(芍藥單作區) 1,490천원에 비해 작약(芍藥)+고추가 45%, 작약(芍藥)+참깨 간작구(間作區)는 37% 증가(增加)하여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으나 고추 간작(間作)은 괴선충(壞線蟲)의 피해(被害)로 상품성(商品性)이 낮아 작약(芍藥) 재배(栽培)에서 간작물(間作物)로는 참깨가 가장 안정적(安定的)이고 높은 수양(收量)을 올릴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