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r volum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초

각막형상 및 각막난시도가 RGP렌즈와 각막사이의 눈물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neal Type and Corneal Astigmatism on Tear Volume between Rigid Gas Permeable Lens and the Cornea)

  • 김지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1-150
    • /
    • 2015
  • 목적: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의 양호한 피팅상태에서 각막형상과 각막난시도에 따른 각막과 렌즈 사이의 부분별 눈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대 77명(135안)을 대상으로 양호한 상태로 피팅된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를 중심부, 중간주변부, 주변부로 나눠 플루레신으로 염색된 눈물의 농도를 분석하여 눈물양을 정량화하였다. 결과: 모든 각막형상에서 구면 RGP렌즈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대칭나비형과 비대칭나비형 각막에서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있었으나, 원형과 타원형 각막은 중심부에서 주변부까지 눈물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1.25 D 이하의 각막난시군에 구면 RGP렌즈를 피팅하였을 때는 중심부와 주변부, 중간주변부와 주변부간의 눈물양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1.50 D 이상의 각막난시군에서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막난시가 증가할수록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모두 중심부 및 중간주변부의 눈물양이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비구면 RGP렌즈의 경우가 증가폭이 더 컸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구면 RGP렌즈에 비해 비구면 RGP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양 차이가 적었으며, 각막형상과 난시도에 따라 각막과 렌즈사이의 눈물양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정립된 RGP렌즈와 각막사이의 상대눈물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양 평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눈물양에 따른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축 회전양 변화 (Change in Axial Rotation of Toric Soft Contact Lens according to Tear Volume)

  • 서우현;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45-454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착용자의 눈물양이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시간 및 응시방향에 따른 축회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중쐐기형 축안정화 디자인을 가진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를 62안(정상안 29안, 건성안 33안)에 착용시키고 착용 15분 후 및 6시간 후의 비침입성 눈물막파괴시간 변화와 응시방향을 달리하였을 때의 회전방향과 회전양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응시방향을 달리하였을 때 대체로 귀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착용시간 및 착용안의 눈물양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렌즈 착용 15분 후와 6시간 후 모두 거의 모든 응시방향에서 건성안의 경우가 정상안에 비해 귀 쪽으로 회전하는 빈도가 더 높았다. 렌즈 착용 15분 후에는 건성안군의 회전양이 전체적으로 컸으나 6시간 후에는 정상안군과 건성안군 간의 회전양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렌즈 착용자의 눈물양에 따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축 회전이 달라지며, 착용 초기와 일정시간 착용 후의 회전 양상이 상이함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회전양상 변화는 착용 시간 경과 후의 시력 변화 가능성을 의미하며 눈물양과의 상관관계 규명은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선택시 적절한 고려요인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각막 이심률별 눈물분포 비교 (Comparison of Tear Distributions by the Corneal Eccentricity when Fitted with Spherical and Aspherical RGP Lenses)

  • 김지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9-108
    • /
    • 2016
  • 목적: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각막 이심률별 눈물양 및 눈물분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는 20~30대 77명(136안)을 대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로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를 피팅하였다. 피팅된 RGP렌즈의 중심부, 중간주변부 및 주변부의 플루레신으로 염색된 눈물의 농도를 분석하여 눈물량을 분석하였고 이심률별로 눈물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구면 RGP렌즈 피팅 시 이심률 e < 0.38 범위와 $0.68{\leq}e$ 범위는 중심부부터 주변부까지의 눈물분포량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어 다른 이심률 각막보다 상대적으로 고른 눈물분포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구면 RGP렌즈의 경우는 구면 렌즈에 비해 중심부와 주변부의 눈물분포량 차이가 적었으며, 이심률 범위 0.48 < e < 0.68 각막에서는 두 렌즈 디자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눈물분포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이심률 범위 $0.48{\leq}e<0.68$ 범위의 각막은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이심률 $0.68{\leq}e$ 범위에서는 구면 RGP렌즈 피팅 시 더 고른 분포를 보였다. 또한 이심률이 증가할수록 중간주변부 눈물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부분별 눈물양 및 눈물분포는 각막 이심률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막 이심률에 따른 적절한 RGP렌즈 디자인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Volume of Subscapularis Muscle Remains Unaffected by Supraspinatus Tendon Tears: Three-dimensionally Reconstruc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 Jun, Yong Cheol;Moon, Young Lae;Bhardwaj, Havinder Dev;Lim, Jae Hwan;Cha, Dong Hyu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1호
    • /
    • pp.3-8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ubscapularis muscle volume between the intact groups (group I) and supraspinatus tendon tear groups (group T) based on the sex and three different age groups. Methods: Subjects with a group I and subjects with group T without any other lesion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from among patients who received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3. The MRI scans were studied by a consultant radiologist. The subscapularis muscle volume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the age groups were categorized as patients in their 40s, 50s, and 60s. The volume of subscapularis muscle was measured by three-dimensional reconstructed images acquired through the axial section of 1.5T MRI.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ubscapularis muscle volume of the group I and group T, except for male patients in their 50s (group I: $100,650mm^3$ vs. group T: $106,488mm^3$) and 60s (group I: $76,347mm^3$ vs. group T: $99,549mm^3$) (p<0.05). Males had a larger mean volume of subscapularis muscle than females, and the subscapularis muscle volume decreased in a linear manner with increasing age. Conclusions: Decrease in subscapularis muscle volume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age, and the impact of supraspinatus tear on subscapularis muscle volume is age and sex dependent.

제거한 하안검 지방의 이식을 이용한 눈물받이 고랑의 교정 (Correction of the Tear Trough Using Orbital Fat Graft from the Lower Lid)

  • 유영천;임대원;양원용;박준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3호
    • /
    • pp.335-340
    • /
    • 2006
  • Lower palpebral bags and tear trough grooves are the common signs of aging. Weakness of the orbital septum, atrophy of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slackness and laxity of the lower lid skin are the main causes of these aging changes. Tear trough groove with skeletonization of the lower orbital rim can not be corrected easily by the conventional lower blepharoplasty, but the augmentation of the volume, can be an effective method. Lower lids provide a well vascularized recipient site, which is vital for proper grafting of fat to occur. We treated tear trough groove with free fat graft of surgically removed orbital fat. Surgical excision of the fat pad and septal reinforcement with free fat graft below the 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muscle were performed to correct tear trough groove. This technique was performed in 29 consecutive individuals from October, 2001 to January, 2005. Palpebral bags and tear trough groove were corrected concomitantly and obtained a youthful attractive midface with no secondary hollowness of lower lid and irregularity. The overall results obtained were satisfactory without any complications. Recurrence of tear trough deformity due to grafted fat absorption was not noted during the 7 months of the follow-up period.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procedure is safe and effective in selected patients.

Displaced Double-Layered Lateral Meniscus That Mimicked the Bucket-Handle Tear: a Case Report

  • Kwak, Min Jee;Kim, Sun Ki;Kim, Ki Jun;Lee, Bum-Sik;Kang, Ju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3호
    • /
    • pp.191-195
    • /
    • 2016
  • Among the various types of congenital meniscal anomalies, the double-layered lateral meniscus is extremely rare. The double-layered meniscus consists of both the upper additional and the lower normal meniscus. As the upper additional meniscus is mobile, it can be easily displaced, while the lower lateral meniscus is usually normal in shape and volume. A 42-year-old woman suffering from pain and locking of her left knee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examination and an arthroscopic surgery. A rare meniscal abnormality was seen in her left knee, which presented as a double-layered lateral meniscus with displacement. It was remarkable that the upper additional meniscus was displaced over the intercondylar eminence of the tibia and it mimicked a bucket-handle tear. Even though it is ra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isplaced double-layered meniscu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 bucket-handle tear. Here, we report the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of a displaced double-layered lateral meniscus, which was similar to the bucket-handle tear.

동일 재질의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정상안과 건성안의 눈물막 안정성 차이 (The Difference in Tear Film Stability between Normal and Dry Eyes by Wearing Clear and Circle Contact Lenses made of the Same Materials)

  • 이세희;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21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일재질의 투명 및 써클소프트콘택트렌즈(써클렌즈)를 정상안과 건성안에 착용시켰을 때 착용시간 경과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를 눈물량에 따라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분류한 후 hilafilcon B 재질과 nelfilcon A 재질의 투명 및 써클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30분 후, 6시간 후에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 렌즈중심안정위치, 눈물막깨짐 시작부위를 측정하여 눈물막 안정성의 변화를 알아보였다. 결과: 정상안과 건성안 모두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용시간경과에 따라 눈물막파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은 두 렌즈 모두 투명렌즈보다 써클렌즈의 주변부에서 높았고, 정상안보다는 건성안의 주변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Hilafilcon B 재질보다는 nelfilcon A 재질 렌즈의 주변부에서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이 높았으나 착용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hilafilcon B 재질의 써클렌즈 착용 시 단위면적 당 눈물막깨짐 개수는 모두 주변부에서 많게 나타났던 반면, nelfilcon A 재질 써클렌즈의 경우는 착용시간 경과에 따라 중심부에서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렌즈중심안정위치는 착용시간 경과에 따라 두 재질 모두 써클렌즈에 비해 투명렌즈가 동공중심 가까이에 존재하였으나 정상안에 비해 건성안의 중심이탈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렌즈착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착색공정을 거친 써클렌즈 뿐만 아니라 투명렌즈도 눈물막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렌즈재질에 따라 눈물막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또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투명 및 써클렌즈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는 착용자의 일일착용시간이나 착용기간 등과 같은 사용습관에 따라 렌즈의 착색공법/염료 뿐만 아니라 렌즈 재질 또한 고려하여 적절한 렌즈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고무용(用) 국산(國産) 각종충전제(各種充塡劑)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고무용(用) 국산(國産) 탄산(炭酸)칼슘의 성능(性能)에 관(關)하여 (Studios on the Various Filters for Rubber Compounds. Part 1.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Calcium Carbonate for NR Compounds)

  • 이명환;안영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권1호
    • /
    • pp.69-74
    • /
    • 1970
  • The influence of various calcium carbonate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natural rubber have teen carries out extensive experiments on compounding. Final evaluation was made through various kinds of physical test-tensile strength, modulus, tear strength and hardnees-including particle s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ly, tile tensile strength, modulus and tear strength showed the similar tendency in various calcium carbonate compounding. 2. The maximum volume of general using have been obtained with 150 phr calcium carbonate in $NR-CaCO_3$ compounding. 3. The particle size of domestic calcium carbonate showed $1.0\mu-2.6\mu$.

  • PDF

실리콘 고무의 내화 및 전기특성 (The Flame Retardent and Electric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 홍성률;이성일;김귀열;장경욱;이원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제5회 학술대회 논문집 일렉트렛트 및 응용기술연구회
    • /
    • pp.69-71
    • /
    • 2003
  •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tear strength,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the load of ATH, volume resistivity, AC break down strength, and tracking resistance for HVI SC contained ATH treated by vinyl Silane were better than those for HVI SC were contained ATH treated by other surface treatment agent, such as stearic acid and acryl silane.

  • PDF

Effects of Low-level Light Therapy at 740 nm on Dry Eye Disease In Vivo

  • Goo, Hyeyoon;Kim, Hoon;Ahn, Jin-Chul;Cho, Kyong Jin
    • Medical Lasers
    • /
    • 제8권2호
    • /
    • pp.50-58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Low-level light therapy (LLLT) is an application of low-power light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omoting tissue repair, reducing inflammation, causing analgesia, etc. A previous study suggested the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with the wavelength of 740 nm for promoting wound healing of corneal epithelial cells. This curr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LLLT for managing inflammation of a dry eye disease (DED) mous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0C57BL/6 female mice were randomly grouped into 5 groups to compare the effect of LLLT:1) Control group, 2) Only LLLT group, 3) Dry eye group, 4) LLLT in dry eye group, and 5) Early treatment group. DED was induced with 4 daily injections of scopolamine hydrobromide and desiccation stress for 17 days, and LLLT at 740 nm was conducted once every 3 days. To analyze the effect of LLLT on the DED mouse model, tear volume, corneal surface irregularities, and fluorescence in stained cores were measured, and the level of inflammation was assessed with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The DED mouse model showed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the overall eye condition. After LLLT, the amount of tear volume was increased, and corneal surface irregularities were restored. Also, the number of neutrophils and the level of inflammatory cytokines significantly decreased as well.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LLLT at 740 nm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corneal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inflammation in DED. Such findings may suggest therapeutic effects of LLLT at 740 nm on 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