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r meniscu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7초

26개월 여아에서 발생한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 파열의관절경적 치험례 -증례보고- (Arthroscopic treatment for symptomatic lateral discoid meniscus in a 26-month-old girl -A case report-)

  • 이병일;최형석;민경대;조영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4-59
    • /
    • 2002
  • 소아에서의 슬관절 탄발음은 주로 원판형 연골에 의해서 발생되며 슬관절의 신전제한은 원판형연골의 파열을 강력히 시사하는 소견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3세미만 소아에서의 보고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또한 3세 미만의 증상이 있는 원판형 연골의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정설이 없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들은 신전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25개월 여아에서 자기 공명영상검사상 외측 원판형 연골 파열을 확인하고 관절경하 부분 절제술 시행 후 2년 9개월간 추시 한 바 합병증이나 증상의 재발없이 임상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슬관절 반월상 연골 낭종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Meniscal Cyst)

  • 배대경;윤경호;권오수;신동준;임양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20
    • /
    • 2002
  • 목적 : 슬관절에 반월상 연골 낭종에 대한 관절경적 감압술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시행한 절제술 또는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4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반월상 연골 낭종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치료를 받은 19명, 1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5례, 여자가 14례였고 평균 연령은 38.9세(22세$\~$58세),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3개월$\~$36개월)이었다. 주된 증상은 슬관절의 동통, 압통, 종창이 각각 18례, 13례, 4례에서 보였으며, 7례에서 종물의 촉지가 가능하였다. 반월상 연골 파열을 동반한 16례는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 또는 봉합술과 함께 슬관절 내로 낭종의 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낭종만 보였던 2례는 관절경적 낭종 감압술만을 시행하였으며, 1례는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과 관혈적 낭종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평가는 수술 전후 증상의 소실여부, 슬관절의 운동범위, Tegner 활동도와 Lysholm score 및 낭종의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 낭종의 위치는 외측이 12례$(64\%)$, 내측이 7례$(36\%)$였고 외측은 주로 전방에, 내측은 주로 후방에 위치하였다. 17례$(89.5\%)$에서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동반되었는데 내측이 7례, 외측이 10례로, 2례는 반월상 연골 파열을 동반하지 않았다. 파열 양상은 수평 파열이 9례, 수평 및 판상 파열이 2례, 판상 파열이 1례, 양동이 손잡이 형 파열이 1례, 복합 파열이 4례였다. 전례에서 수술 후 동통의 소실과 Tegner 활동도는 수술 전 평균 3.3점에서 수술 후 5.5점으로, Lysholm score는 수술 전 평균 68.5점에서 수술 후 93.4점으로 향상되었다 평균 18개월(3개월$\~$36개월) 추시 상 낭종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반월상 연골 낭종의 12례$(64\%)$가 외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 PDF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with Bioabsorbable Devices)

  • 김종순;신규석;이동화;석진호;박상환;허정국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0-155
    • /
    • 2002
  • 목적 : 반월상 연골 봉합 수술에서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방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부터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을 시행한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기구는 Meniscus $Arrow^{\circledR}$(Bionx)와 Meniscal $Fastener^{\circledR}$(Mitek)였으며 전예에서 후각부의 종파열 환자만을 선택하였고, 동측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었던 9예는 연골판 봉합과 동시에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Lysholm score로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score는 전체 술 전 평균 56점에서 술 후 평균 89점으로 향상 되었고, red-red zone 파열군과 red-white zone 파열군 및 각기 다른 기구를 사용한 군 사이에서는 상이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방 십자 인대 파열후 재건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와 수상 후 8주 이전에 수술한 경우에서 결과가 더 좋았다. 결론 :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방법은 잘 선택된 환자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할 경우, 특히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동시에 시행할 때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소아에서 발생한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의 봉합 나사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repair of medial meniscal root tear using suture anchor in adolescent - A case report -)

  • 강민수;김경택;최성종;박원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36
    • /
    • 2011
  •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방 골 기시부의 파열은 주로 중년 이상의 나이에 특별한 외상력 없이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관절내 손상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1세 남아의 외상에 의한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을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봉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급성 외상성 반월연골 파열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 증례보고 4례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n 4 Patients with Acute Traumatic Meniscal Tear)

  • 허우영;현민경;모민주;김한옥;박재현;황지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97-207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n 4 patients with acute traumatic meniscal tear, presenting severe knee pain and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Methods : 4 patients with acute traumatic meniscal tear had been treated with acupuncture, herbal treatment, moxibustion, and wet-cupping therapy. From administration to discharge, we recorded subjective pain by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and by measuring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once per week. Results : The visual analogue scale of knee pain of all 4 cases reduced to 0 after treatment.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also increased considerably after treatment. Conclusions : In this study, Korean medical treatment may have been effective in reducing knee pain and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합병증 (Complications After Meniscus Allograft Transplantation)

  • 전철홍;배규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2-49
    • /
    • 2011
  • 반월상 연골의 아전 또는 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증상이 동반된 경우,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은 통증의 완화와 슬관절 기능의 개선면에서 최근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식술 후 이식편의 파열, 수축, 돌출, 감염, 진행하는 관절 연골의 손상, 비흡수성 봉합사에 의한 육아종 등의 합병증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좋지 않은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합병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이에 본 저자들은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에 대해 문헌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ll-Inside 반월연골판 봉합술 (All-Inside Meniscal Repair)

  • 최남홍;김병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5
    • /
    • 2013
  • 과거 반월연골판 파열의 치료로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나 절제술 후에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어 골관절염이 발생한다는 보고와 함께, 반월연골판의 생역학적 기능이 밝혀지면서, 가능한 한 반월연골판을 보존하기 위해 적응증이 되는 경우 봉합술의 시행이 증가되고 있다. 반월연골판 봉합술의 방법으로 outside-in, inside-out, all-inside 방법 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상기 방법들 중 all-inside 봉합 방법의 적응증, 수술 방법 및 수술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소아의 외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의 슬관절경 치료: 유형에 따른 임상증상 및 치료 결과 (Arthroscopic Treatment for Lateral Discoid Meniscus in Children: Clinical Symptoms & Treatment Results According to Meniscus Type)

  • 신성일;현윤석;강정우;오범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2
    • /
    • 2011
  • 목적: 소아에서 외측 원판형 연골판의 관절경 치료 후 임상 결과를 평가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0일까지 외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 때문에 슬관절의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인 7 내지 12세의 소아에서 관절경 치료를 시행한 21예에 대하여 후향적 평가를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8.4개월(14~60개월)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9.5세(7~12세)이었다. 슬관절의 주 임상 소견은 신전 제한이 11예로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슬관절통 8, 탄발음 6, 보행 이상 10례를 보였다. 외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의 형태는 완전형이 14예, 불완전형이 5예, 그밖에 Wrisberg형이 2예이었다. 수술은 모든 환자에서 슬관절경적 반월상연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임상 결과는 Ikeuchi grading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 하였으며, 정기적인 방사선 촬영으로 슬관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외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의 주변부 과유동성은 7예에서 보였다. 주변부 파열은 4예에서 발견되었으며 치료 7예는 모두 반월상 연골의 부분 절제술과 함께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최종 임상결과는 매우좋음 5예, 좋음 12예, 보통 4예를 보였다. 방사선학적으로 슬관절의 외측 관절부위에서 경도의 협소와 subchondral sclerosis를 보인 경우가 5예이 었고, 1예에서는 대퇴골 외과의 관절면에서 골연골염이 발생하였다. 반면에 임상증상의 IKDC score를 볼 때 주관적으로 정상이거나 또는 거의 정상인 경우가 20예 였고 1예가 비정상군에 속하였다. 결론: 소아의 외측 원판형 연골판의 치료로 슬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이 유용하며, 주변부 파열이 함께 있는 경우 봉합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연골판 이식술의 적응증과 수술 전 계획 (Indication and Pre-operative Planning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김태형;최남홍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2-35
    • /
    • 2011
  • 연골판 절제술로 인한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와 이로 인한 임상적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연골판의 기능을 수복할 동종 연골판 이식술이 필요하다. 환자들에게 만성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나, 연골 손상, 내반 변형 등 동반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수술 전 준비가 필요하고, 동종 연골판 이식술 후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환자의 선택이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