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Units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4초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 (Perceptions and Teaching Practices of Elementary Teachers on the Integrated Inquiry Unit)

  • 최지미;박다혜;박종욱;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83-790
    • /
    • 2016
  •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제시된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통합탐구 단원 구성과 지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지도와 관련된 기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통합탐구 단원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해서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통합탐구과정 지도의 중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탐구능력 습득 및 발달, 과학 학습의 전이, 자유탐구 실행' 측면에서 교사들의 통합탐구 단원의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그 이유로 '통합탐구과정 학습을 위한 별도의 시간 확보, 후속 학습에서의 활용, 자유탐구 활동에서 통합탐구과정 적용의 용이함'을 들었다. 반면에 교사들은 '통합탐구과정의 분절적 학습, 통합탐구 단원과 다른 단원 간의 연계성 부족, 학생의 호기심 유발이 어려운 교과서 내용 구성'을 이유로 통합탐구 단원의 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통합탐구 단원의 지도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많은 교사들이 통합탐구과정 지도 시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들이 통합탐구 단원 지도 시 어려움을 가장 크게 겪는 과정은 문제인식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가설설정, 변인통제, 자료변환 및 자료해석, 일반화, 결론도출 순이었다.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학생들의 호기심 경험 이해력 부족, 교사의 전문성 부족, 교과서 구성의 한계 및 학습 시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탐구 단원의 개선 및 통합탐구과정 지도 관련 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생적 온라인 교사 공동체의 질문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관련 어려움 탐색 -인디스쿨의 물리 관련 질문 게시글을 중심으로-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on Teaching Science by Analyzing Questions in an Autonomous Online Teacher Community : Focusing on Physics Questions in Indischool)

  • 김윤화;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3-8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생적 온라인 교사 공동체 인디스쿨에 축적되어 온 과학 교수 관련 질문 게시글을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가 겪는 과학 교수 관련 어려움을 파악했다. 이를 위해, 3~6학년 물리 영역 및 과학 전반에 해당하는 질문 게시글 409개를 초등교사의 탐구 기반 과학 교수 역량을 다룬 Alake-Tuenter et al.(2013)의 틀을 수정 보완한 질문 분석틀로 분석하였고, 과학-SMK와 과학-PCK의 구성요소별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SMK 질문이 과학-PCK 질문 보다 더 많이 나타났으며, 연도별로는 교육과정이 변화하는 시기였던 2014년과 2015년도에, 단원별로는 렌즈 단원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다. 과학-SMK 측면에서 4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난 어려움은 렌즈와 전기 단원에 대한 것이다. 렌즈 단원에서는 투명한 물컵 모양의 물체가 렌즈로 작동하는 원리와 볼록렌즈에서 상의 생성 과정 등 과학적 사실과 개념의 적용 등이, 전기 단원에서는 '전류의 흐름 변화에 따른 나침반의 움직임 변화'와 '전구의 직렬연결'에서 예상치 못한 탐구 결과 오류 등이 초등교사가 오랜 기간 겪어온 과학-SMK 측면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과학-PCK 측면에서 4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난 어려움은 과학수업 운영 전반에 대한 것으로, 수업자료 및 학기말 활동구성 아이디어의 요청과 교육과정 운영 지침의 이해 등이 있다. 자생적으로 생성 및 운영되고 있는 인디스쿨의 과학 교수 관련 질문 게시글에서 오랫동안 해결되지 못한 채 반복되고 있는 초등교사들의 실제적인 어려움을 파악해 이를 해결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과학 교수 지원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식품 안전 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Applying ARCS Motivation Strategies for Food Safety Education)

  • 김예원;유난숙;이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5-153
    • /
    • 2019
  • 본 연구는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식품의 선택과 안전한 조리'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식품 안전 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분석, 설계, 개발, 평가(1), 수정(1), 평가(2), 수정(2) 및 완성의 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육과정 6대 핵심개념 중 하나인 '안전' 관련 내용요소 중 '식품의 선택과 안전한 조리'에 해당하는 중학교 교과서(12종)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식품 안전 교육요소를 선정하여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학습 활동지, 학생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1)과 수정(1) 단계에서는 식품 안전 교육요소와 ARCS 동기유발 전략에 대하여 개방형 질문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여 4인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교수·학습과정과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계획, 내재적 동기유발 강화 방안 등의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여 9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수정하였다. 평가(2)와 수정(2) 단계에서는 수정(1)의 결과를 대상으로 식품 안전 교육과의 관련성, 학습목표 달성의 적합성, 동기유발 전략의 적절성 등의 3개 항목에 대한 타당도와 개선점에 대하여 개방형 질문으로 7인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2차 검증받았으며, 의견들을 반영하여 자료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10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식품 안전 교육을 위해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서 현장교사들 및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좋은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3-D vision sensor system for arc welding robot with coordinated motion by transputer system

  • Ishida, Hirofumi;Kasagami, Fumio;Ishimatsu, Takakazu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3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22 Oct. 1993
    • /
    • pp.446-450
    • /
    • 199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c welding robot system, where two robots works coordinately and employ the vision sensor. In this system one robot arm holds a welding target as a positioning device, and the other robot moves the welding torch. The vision sensor consists of two laser slit-ray projectors and one CCD TV camera, and is mounted on the top of one robot. The vision sensor detects the 3-dimensional shape of the groove on the target work which needs to be weld. And two robots are moved coordinately to trace the grooves with accuracy. In order to realize fast image processing, totally five sets of high-speed parallel processing units (Transputer) are employed. The teaching tasks of the coordinated motions are simplified considerably due to this vision sensor.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e applicability of our system.

  • PDF

병원전산화에 따른 직접 및 간접간호 양상의 변화 (Impact of Computerization on Direct and Indirect Nursing Time)

  • 황지인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58-6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mpact of hospital computerization on the nursing practice.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repeated measured design. The subjects were 166 nurses working at surgical nursing care units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Burke's study, and reviewed by a committee for content validity. Eighty-eight nurses responded the questionnaire throughout the study. Indirect nursing care tim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fter the computerization. These decrease related to time saving in checking physicians' order and writing nursing records. However, the change in direct nursing care time was not clear. In conclusion, the computerization led to the decrease in indirect nursing care time but it did not link to increase in direct nursing care time. Therefore, nurse managers should take into account redesign of the nursing works after computerization.

  • PDF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목공일하기 단원의 지동방법 및 표준 시간에 관한 연구 (Time and motion study on the woodworking unit of practical art in the primary school)

  • 김삼진;김채복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고려대학교, 서울; 26 Oct. 1996
    • /
    • pp.13-16
    • /
    • 1996
  • This paper addresses the time and motion study on the woodworking in the primary school. Time study by stopwatch is performed for calculating the standard tie of woodworking. The operator process chart is developed for better illustration and teaching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ood guideline for woman teachers or beginers(teachers), as well as to provide how much time units are adequate for a special woodworking unit of practice ar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very much and it is very useful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 PDF

수학 학습에서 이행에 관한 고찰 -산술과 대수를 중심으로- (On the transfer in mathematics learning -Focusing on arithmetic and algebra-)

  • 김성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29-4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ransfer in mathematics learning, especially focussing on arithmetic and algebra. There are many obstacles at the stage of transfer in learning. In the case of mathematics, each learning contents are definitely categorized by the learning level, therefore these obstacles are more happened than other subjects. First of al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ical transfer from arithmetic to algebra by Sfard's perspectives. And we define prealgebra as the stage between arithmetic and algebra, which may be revised obstacles or misconceptions happened in the early algebra learning. Also, this paper discusses various obstacles and concrete examples happened in the transfer from arithmetic to algebra. To advance the understanding in the learning of algebra, we consider the core contents of the algebra learning which should be stressed at the prealgebra stage. Finally we present the teaching units of (pre)algebra which are sequenced from the variable concepts to equations.

  • PDF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음성 DB 구축 방안 (Designing of Speech DB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 정명숙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7호
    • /
    • pp.51-7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Speech Database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ypes of speech errors of Korean-learners, made texts for recording, which involves all types of speech errors, and showed how to gather speech data and how to tag their informations. It's natural that speech data should include Korean-learners' speech and Korean people's speech, because Speech DB that I try to develop is for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to foreigners. So this DB should have informations about speakers and phonetic informations, which are about phonetic value of segments and intonation of sentences. The intonation of sentence varies with the type of sentence, the structure of prosodic units, the length of a prosodic unit and so on. For this reason, Speech DB must involve tags about these informations.

  • PDF

동양 수학에서의 구결 및 그 교수학적 함의 (Mathematical Rhymes in Oriental Mathematics and Their Didactical Implication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30
    • /
    • 2006
  • 중국, 한국, 인도, 아라비아 등 동양 수학에서는 수학 내용을 구결, 즉 내용을 입으로 전하기 위해 싯구의 형식을 빌려 표현한 경우가 종종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동양 수학책에서 발견되는 구체적인 구결 및 그것이 담고 있는 수학적 지식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구결의 형식을 빌려 수학 지식을 제시한 이유에 대해 추론함으로써 수학 활동에서 구결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고, 나아가 수학교육적 관점에서 절차나 알고리즘 지도와 관련하여 구결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 PDF

Pre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Graphic Features of Writing

  • Mortensen, Jennifer;Burnham, Melissa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2권1호
    • /
    • pp.45-60
    • /
    • 2012
  • This project examined 2, 3, and 4-year-old children (N = 34) in a university campus child care setting to assess their understanding of the graphic features they use in their emergent writing (to distinguish it from a drawing of the same referent). The graphic features present in samples of the children's work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the graphic features children could identify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e examined the frequencies of graphic feature identification, as well 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phic feature usage and graphic feature identifica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graphic features were linearity, unidirectionality, and small size of units.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graphic feature was conventional letter. Overall, children used significantly more graphic features than they were able to identify. Significant relationships comparing the 2-year-old group and 4-year-old group's usage and identification were also found.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application to early childhood classrooms. Teachers can apply these findings when engaging children in conversations about their emergent writing; these discussions are explored as a beneficial teaching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