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nin Extract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4초

앵두 Ethanol 추출물의 항균력과 Flavonoid (Flavonoid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Korean Cherry (Prunus tomentosa Thunberg))

  • 황호선;김중만;전예정;송영애;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33-839
    • /
    • 2003
  • 앵두의 기능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50%, 70% 및 95%(v/v)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flavonoid류를 정량하고 MIC와 disk test를 이용한 항균력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조사하였다. 앵두의 70%(v/v)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flavonoid함량을 나타냈고 quercitrin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12.70 mg%, buthanol분획에서 2.11 mg%로 대부분 ethyl acetate 분획에서 분리되었다. 또한 앵두 70%(v/v) ethanol추출물의 flavonoid류는 quercitrin 14.9 mg%, tannin 6.0 mg% 및 catechin 5.2 mg%로 정량되어 quercitrin이 앵두의 주요 flavonoid임을 확인하였다. 앵두의 ethanol추출물에 대한 Staphylococcus aureus aureus(ATCC 6538)와 Staphylococcus epidermidis(ATCC 12228)의 항균력은 flavonoid함량이 높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어 앵두의 flavonoid에 의한 결과로 확인되었다. 앵두의 ethanol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효과는 인체의 피부에 손상을 주는 UVB 파장인 290∼320 nm를 포함하는 210∼380 nm로 넘게 자외선 흡수대를 형성하고 catechin과 quercitrin의 흡수대와 동일한 패턴을 나타내어 그의 기능성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앵두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은 quercitrin으로 피부에 관련된 항균효과와 자외선 차단효과를 예상할 수 있었다.

석류 내피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Pomegranate Endocarp)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35-1641
    • /
    • 2011
  • 본 연구는 가식부위가 20~30%로 과즙 착즙 시 주로 버려지고 있으나 석류의 부위별 추출물 중 가장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식품 소재인 석류 내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석류 내피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각 측정 방법 별로 항산화 활성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의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에서 $IC_{50}$이 각각 2.40 ${\mu}g$/mL, 2.88 ${\mu}g$/mL로 기준 물질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과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58.94 ${\mu}g$/mL, 61.91 ${\mu}g$/mL로 기준물질인 tannin acid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였다. $ABTS^+$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39.26 ${\mu}g$/mL, 40.95 ${\mu}g$/mL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0.1 mg/mL)의 흡광도가 1.404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SOD 유사활성은 $42.88{\pm}0.66%$(dichloromethane), $15.43{\pm}0.85%$(butanol), $12.82{\pm}0.68%$(water)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IC_{50}$은 115.54 ${\mu}g$/mL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석류 내피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석류 내피는 식품첨가물 등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유근피로부터 추출한 다당류의 화장료적 특성 (Cosmetical Properties of Polysccharides from the Root Bark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 김영실;김종헌;김기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9-514
    • /
    • 2004
  •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한국이나 중국 등에서 오래 전부터 전통의 민간요법으로 열매, 뿌리를 염증 및 종창 환부에 도포하여 항염제로 이용하거나, 중탕 추출하여 소화기 궤양 및 종양 등에 사용하여 왔다. 또한 한방에서는 유근피가 다량의 점액과 탄닌을 함유하고 있어 완화제, 치습, 이뇨, 소종독(消腫毒) 등에 이용하여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근피로부터 다당류를 분리 정제한 후 화장료 조성물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유근피 추출 다당류의 보습효과 및 소염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유근피에서 침출법으로 다당류를 분리정제한 후 가수 분해하고, 가수분해 생성물을 HPLC로 분석하여 주구성 당분이 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등임을 확인하였고 GPC로 측정한 평균분자량은 20,000이었다. Corneometer CM820 등을 이용한 보습효능 실험 결과 히알루론 산과 견줄만한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arrageenin에 의해 유도된 부종억제 효능 실험에서는 ketoprofen에 버금가는 좋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유근피 추출 다당류가 좋은 화장료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 추출분말을 이용한 면직물의 염색 - 색채특성에 따른 염색성과 역학적 성질을 중심으로 - (Dyeing of Cotton Fabrics with Persimmon Extract Powder - Focused on Dye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Color Characteristics -)

  • 이안례;이은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61-476
    • /
    • 2013
  •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f both color and hand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persimmon dye powder for natural dyeing fashion industries by investigating dyeing behavior and color gamut, by 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color characteristics, and finally by evaluating dyeing fastness. As results, the persimmon dye powder obtained by extracting the fruits to final solid powder was found as containing tannin and it partially coated between and on fibers similarly to traditionally dyed one. The K/S values of non-mordanted fabric and two differently mordanted ones with Fe and Cu seemed to reach their equilibrium from 800, 800, and 600% (owf), respectively. Yellow-red was the only one hue shown while tones were various as pale (p), light grayish (ltg), soft (sf), dull (d), grayish (g), and dark grayish (dkg). In mechanical properties, the dyed fabrics with p and ltg tended to be less altered than undyed ones whereas d and d kg by higher bath concentrations could be applied to boxy silhouette owing to their increased stiffness and less stretchability. Although fastness to dry cleaning and stain was good, color change by washing and rubbing needed to be improved.

한국산 녹차로부터 분리한 축합형 탄닌의 tyrosinase 저해효과 (Inhibition Effect against Tyrosinase of Condensed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 김진구;차원섭;박준희;오상룡;조영제;천성숙;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3-177
    • /
    • 1997
  • 기능성 식품과 tyrosinase에 의한 식품의 갈변 현상을 막기 위한 천연 효소 억제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산 녹차로 부터 축합형 탄닌을 분리하여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녹차의 acetone 추출물에서 tyrosinase 저해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정제된 탄닌의 효소저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catechin류 보다 gallocatechin류와 epimer인 epicatechin류가 저해효과가 더 높았으며, dimer의 물질보다 monomer 물질에 의한 저해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녹차로부터 분리한 축합형 탄닌의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Condensed Tannins Isolated from Korean Green Tea against Xanthine Oxidase)

  • 조영제;천성숙;최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8-422
    • /
    • 1993
  • 기능성 식품과 생약재료의 이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산 녹차로부터 탄닌을 분리하여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녹차의 acetone 추출물에서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정제된 탄닌의 효소 저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xanthine oxidase 저해의 경우 galloyl tannin류가 nonga-lloyl tannin류보다 활성이 더 우수하였고 구조적 이성체에서도 (+)-catechin류 보다 (-)-epicatechin류가 효소저해 효과가 더 좋았으며, 각 물질간 상승 효과가 인정되었다. 녹차에서의 탄닌류는 xanthine oxidase에 대해 비경쟁적 저해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에탄올의 농도가 계피추출액의 지표성분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Concentration on Index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innamon Extracts)

  • 김나미;양재원;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2-287
    • /
    • 1993
  • 에탄올의 농도를 달리하여 계피로부터 계피추출액을 얻고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계피를 $80^{\circ}C$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을 때 $60{\sim}90%$ 에탄올 추출액에서 cinnamic acid, cinnamic aldehyde, eugenol 함량과 항산화활성도가 높았다. 유리당, 탄닌, 갈색도와 고형분 함량은 70% 에탄올 추출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총아미노산과 무기염류는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Anti-Salmonella activity of a flavonone from Butea frondosa bark in mice

  • Mishra, Uma Shankar;Dutta, Noton Kumar;Mazumdar, Kaushiki;Mahapatra, Santosh Kumar;Chakraborty, Pronobesh;Dastidar, Sujata 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4호
    • /
    • pp.339-348
    • /
    • 2008
  • Butea frondosa has been used traditionally as a topical formulation in the treatment of many diseases and disorders. Two compounds [BF-1 (crystalline flavonol quercetin) and BF-2 (tannin) from 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ic extract] were isolated from the bark of Butea frondosa. The stereo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physicochemical evidence. BF-1 and BF-2 were screened in vitro for possible antibacterial property against 112 bacteria comprising 3 genera of Gram-positive and 12 genera of Gram-negative types. It was found that both BF-1 and BF-2 exhibi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everal bacteria. Most of these strains were inhibited by BF-1 at $50-200\;{\mu}g/ml$, while BF-2 ($MIC_{50}$ $400\;{\mu}g/ml$) was much less active. The bacteria could be arranged in the decreasing order of sensitivity towards BF-1 in the following manner: S. aureus, Bacillus spp., Salmonella spp., Vibrio spp., Shigella spp., E. coli and Pseudomonas spp. The $MIC_{50}$ of the compound was $50\;{\mu}g/ml$ while the $MIC_{90}$ was $100\;{\mu}g/ml$. The decreasing order of sensitivity towards BF-2 was V. cholerae, Bacillus spp., S. aureus, V.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and Proteus spp. BF-1 was bactericidal in action. In vivo studies with this extract showed that it could offer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tection (p < 0.01) to mice challenged with a virulent bacterium. The inhibitory activity of Butea frondosa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indicates its usefulness in the treatment of common bacterial infections. The potentiality of BF-1 as an antibacterial agent may be confirmed further by pharmacological studies.

산수유로부터 gallic acid 추출 및 HPLC에 의한 정량분석 (Optimization of Extrac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allic Acid from Cornus officinallis)

  • 장미;김연주;민진우;양덕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98-502
    • /
    • 2009
  • 떫은 맛을 내며 항산화 물질 등으로 알려진 tannin 류의 gallic acid 추출 최적 조건을 검색하기 위해 삼투압, pH, 열처리, 주정 함량을 달리하여 추출 조건 별로 gallic acid 함량을 조사하였다. NaCl 농도를 이용한 삼투압 작용은 gallic acid 추출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추출 용매의 pH가 3.0에서 6.0으로 갈수록 gallic acid 함량이 증가하다가 pH 7.0에서 gallic acid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80^{\circ}C$에서 다양한 주정 농도로 1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경우 주정의 농도가 높을수록 gall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산수유 과육을 일정한 온도($37^{\circ}C$)에서 주정 농도 별로 12, 24, 48시간 침지 하여 추출한 결과 침지 시간과 주정 농도가 증가할수록 gallic acid 함량도 증가하였지만 주정의 농도가 70-80% 이후에는 오히려 gallic acid의 추출 효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수유로부터 gallic acid 의 추출 최적 조건으로는 산수유 과육을 $37^{\circ}C$에서 침지 시주정 70%로 48시간 추출한 경우 gallic acid 함량이 높았고, 환류 추출의 경우 $80^{\circ}C$에서 주정 100%로 1시간 열처리 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gall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산수유 과육으로부터 떫은 맛을 내는 gallic acid의 추출률은 주정의 농도와 온도, 추출 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열풍건조 온도에 따른 고구마 잎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Effect of hot-air drying temperature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sweetpotato leaves)

  • 정다운;박양균;남상식;한선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08-713
    • /
    • 2015
  • 고구마 잎을 건조 채소화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열풍건조한 고구마 잎 메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총 탄닌,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고, 항산화 효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분석 비교 검토하였다. 총 탄닌 함량은 신미 $40^{\circ}C$에서 10.87 mg/g, $70^{\circ}C$에서 7.28 mg/g으로 감소되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하얀미 $40^{\circ}C$에서 55.37 mg/g, $70^{\circ}C$에서 39.63 mg/g으로 감소되었다. 즉 저온건조가 고온건조보다 이들 물질의 함량이 많았다. DPPH 라디칼소거 활성은 신미와 하얀미 $40^{\circ}C$에서 84.33%와 85.25%로 가장 높았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도 $40^{\circ}C$ 처리구에서 80%가 넘는 높은 값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신미와 하얀미가 $40^{\circ}C$에서 76.15%와 73.74%로 가장 높았고 $70^{\circ}C$에서는 낮았다. 품종 간에는 하얀미가 신미보다 페놀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조한 고구마 잎의 항산화 효과는 품종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40^{\circ}C$ 시료에서 높고, $70^{\circ}C$ 시료에서 낮았다. 이는 건조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낮은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유효성분의 감소가 적어 항산화 능력이 높은 결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