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gle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8초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 다시마 추출물 첨가식이의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 (Hypoglyc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Dietary Sea-Tangle Extracts Supplement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조영자;방미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1호
    • /
    • pp.5-1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ea-tangle extracts on blood glucose levels, serum lipid level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nd glutathione enzymes in diabetic rats treated with streptozotocin (STZ) Four groups of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180 - 200g) were consisted of normal rats fed control diet (C), diabetic rats fed control diet (CD), normal rats fed sea-tangl extracts diet (E), and diabetic rats fed sea-tangle extracts diet (ED). Diabetes was induced by single injection of streptozotocin (60 mg/kg B.W.). After 7 weeks, rats were sacrificed, serum glucose,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evels and glutathione enzymes were measured. Uri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D and ED groups than those of others (p < 0.05). Levels of amylase, calcium, uric acid, hemoglobin,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were different among four groups. But high density cholesterol (HDL)-cholesterol of 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other groups (C and E group) And the weekly change of serum glucose was decreased in the 3th,4th and 5th weeks. But serum triglyceride (TG) of diabetic rats fed sea-tangle extracts diet (ED) was lower than diabetic rats fed control diet (CD). Activity of hepatic microsomal G6P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D and ED groups higher than C and E group, but kidney was decreased ED group. Hepateic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of CD and E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 and E group (p<0.05), glutathione peroxidase (GPX) of E and 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 and CD group (p<0.05), glutathione reductase (GR) activities of 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malondialdehyde (MDA) of ED was lower than E and CD group, but kidney was increased significant in ED group compared to liv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etary sea-tangle extracts reduce .hepatic disorders such as oxidant than kidney. In conclusion, dietary sea-tangle extracts groups reduced blood TG and hepatic MDA level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Alloxan 처리 당뇨병 마우스의 췌장 glucokinase 및 hexokinase에 대한 다시마 열수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Extract on The Activities of Glucokinase and Hexokinase in Alloxan-Induced Diabetic Mellitus Mice)

  • 김동수;김철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76-482
    • /
    • 2001
  • 다시마의 열수출물이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alloxan으로 처리하여 실험적으로 당뇨병을 유발한 후 glucose의 초기 인산화에 관여하는 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lloxan 주사에 의해 체중과 공복시의 glucose 및 insulin 분비가 증가되었으나, 다시마 투여에 의해 공복시의 insulin 분비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체중과 공복시의 glucose의 유의성은 없었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2. Alloxan 주사에 의해 혈청중 glucosecl가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다시마 투여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다. Insulin 치의 상승과 분비 지연도 다시마 투여군에서는 정상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3. 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은 alloxan 주사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다시마 투여에 의해 유의성있게 상승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다시마는 alloxan으로 유발된 당뇨병에서 glcuose 인산화 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다시마를 첨가한 기능성 멸치액젓 제조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Processing Process for Functional Anchovy Fish Sauce in Addition with Raw Sea Tangle)

  • 정민홍;정우영;계현진;정상원;박현규;조영제;심길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408-1418
    • /
    • 2013
  •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한 기능성 멸치액젓 제조를 위하여 다시마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숙성기간에 따른 멸치액젓 내의 일반성분의 변화는 초기 60일까지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는 큰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회분, 조지방 함량은 숙성 초기에 다소 변화하지만 일정숙성기간이 지나면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단백질함량은 숙성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다시마의 기능성 성분인 알긴산과 식이섬유 함량은 다시마 내에 존재하는 알긴산의 70%, 식이섬유는 50%가 멸치액젓으로 이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푸코이단과 요오드 함량은 숙성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180일 이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숙성기간이 450일 이후에는 멸치액젓의 일반성반을 비롯한 기능성 성분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방법의 다시마 첨가한 멸치액젓의 의 최적 제조조건은 2% 이상의 생 다시마 첨가와 $20^{\circ}C$에서 450일 이상 숙성기간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최적조건으로 제조된 다시마 멸치액젓은 맛과 기능성이 기존 전통 멸치액젓에 비하여 우수하며, 경쟁력을 갖춘 수산발효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마를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 제조의 품질 특성 (Study Development of Salad Dressing with Added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 정현아;김안나;안은미;박숙현;김민지;우연정;이유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0-527
    • /
    • 2011
  • 다시마를 0, 3, 6, 9, 12%로 첨가하여 제조한 '다시마 샐러드 드레싱'의 pH와 산도, 색도, 당도, Texture,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의 측정 결과, 다시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p$ <0.001), 산도 측정결과,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도의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 <0.05). 색도 측정결과,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으며, a,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당도 측정 결과, 다시마 첨가량 9%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3%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p$ <0.001). Texture의 측정 결과, 강도와 깨짐성, 씹음성 모두에서 저장 1일차에서 가장 높은값을 나타냈으며,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다시마 첨가량 9%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 Flavor 항목 중 Saltiness에서 대조군이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p$ <0.01), Taste 항목 중 Sourness와 Sweetness에서 다시마 첨가량 6%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Overall quality 항목에서 다시마 첨가량 3%, 6%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p$ <0.001). 5개의 시료 중 기호도가 가장 높았던 다시마 첨가량 6%를 이용하여 쌈무를 제조 후, 현재 시판중인 가공 쌈무와 비교하여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9개의 항목 중 6개 항목에서 다시마 쌈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천연재료를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 개발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소라에서 분리한 Vibrio균으로 제조한 다시마 Single Cell Detritus(SCD)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Manufactured by Vibrio sp. Isolated from Batillus cornutus)

  • 방상진;신일식;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06-612
    • /
    • 2006
  • 해조류를 식품으로 이용하기에는 분말화가 필수적이나 분쇄 등의 분말화 과정에서의 온도상승은 이들 생리활성성분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수십$\sim$수백 ${\mu}m$의 분말입자는 입자 상호간의 응집으로 인하여 유동성이 좋지 않다. 해조류의 기계적 분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시마(Laminaria japonica)의 분해능이 강한 Vibrio sp.를 소라(Batillus cornutus)에서 찾아 다시마 SCD(Single Cell Detritus)를 제조하였으며 SCD가 가지는 여러 가지 성분 및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다시마 SCD의 조단백 함량과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다시마분말보다 높았으나 ash의 함량은 낮았다. 다시마 SCD와 분말시료의 항암활성은 각각 31.20과 29.27%로 차이가 없었다(p<0.05). ACE저해효과는 분말시료가 39.31%로 SCD의 26.07%보다 약간 높았다. 항혈액응고 측정 결과 다시마분말은 55.3초로 다시마 SCD의 34.5초보다 높았다. 또한 다시마 SCD와 분말은 항산화효과와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 억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다시마 SCD의 생리활성은 분말보다 약간 떨어지나 조단백질, 아미노산 및 지질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빵, 국수 및 수산 연제품 등의 첨가제로서 응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Drying Characteristics of Sea Tangle Using Combination of Microwave and Far-Infrared Dryer

  • Han, Chung-Su;Kang, Tae-Hwan;Lee, Jeong-Hyeon;Won, Jin-Ho;Cho, Byeong-Hyo;Cho, Sung-Cha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1호
    • /
    • pp.43-50
    • /
    • 2016
  •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sea tangle through a combination of microwave and far-infrared drying experiment and finding the optimal drying conditions. Methods: Sea tangle was cleaned and cut into fine pieces (5mm) before they were subjected to combinational drying by microwave and far-infrared ray. The amount of specimen per drying is 2 kg. The finely cut pieces of sea tangle were preheated in a microwave dryer for three different lengths of time (10, 15, and 20 min). Subsequently, they were dried using a far-infrared dryer at tow temperatures ($90^{\circ}C$ and $100^{\circ}C$) at an air velocity of 0.8 m/s until the final moisture content reduced to 10%. Results: Sea tangle dried under the condition of 20 min of preheating in the microwave dryer and drying at $100^{\circ}C$ by the far-infrared dryer. Of the drying models verified in this study, the logarithmic model showed high accuracy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0.7825$ and RMSE<0.1095. The rehydration ratio of sea tangle was the highest (12.87 g water/g dry matter) under the condition of 15 min of preheating in the microwave dryer and drying at $100^{\circ}C$ by the far-infrared dryer. The energy consumption for the combination of microwave and far-infrared drying was the lowest (4.78 kJ/kg water) under the condition of 20 min of preheating in the microwave dryer and drying at $100^{\circ}C$ by the far-infrared dryer. Conclusions: Considering the drying time, discoloration during drying, rehydration ratio, and energy consumption for the drying of sea tangle, the optimal drying conditions for high-quality sea tangle are 15 min of preheating in a microwave dryer and drying at $100^{\circ}C$ by a far-infrared dryer.

다시마와 키토산을 첨가한 전통고추장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ea Tangle and Chitosa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 권영미;김동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77-985
    • /
    • 2002
  • 고추장의 품질향상을 위해 다시마와 키토산의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하고 2$0^{\circ}C$에서 24주간 숙성시키면서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이화학적 튿성을 비교하였다. 고추장의 $\alpha$$\beta$-amylase는 각각 다시마 2%. 키토산 01.%첨가구에서 조금 높은 활성을 보이나 산성 protease활성은 이들의 첨가농도가 증가하면 감소하였다. 효모수는 숙석 4~8주경에 $10^{5}$~$10^{6}$ CFU/g으로 증가하였고, 세균수는 키토산이나 다시마의 첨가로 감소하였다. 수분은 숙성 12주까지 서서히 증가하나 수분활성도는 감소하였고, 다시마 첨가구에서 낮았다. 점조성은 숙성 중기이후에 증가하였으며 다시마 첨가시 증가되었다. 고추장의 색도는 숙성 중 a값이 낮아졌고,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하면 a와 b값이 낮아졌다. $\Delta$E값은 고추장 숙성중 증가하나 다시마 첨가구에서 낮았다. 적정산도는 4주 이후에 감소되었으며, 키토산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낮았다. 다시마와 키토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숙성 후기의 아미노태 질소는 많았고, 암모니아태 질소는 키토산 첨가구에서 낮았다. 환원당은 숙성 4~8주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키토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많았다. 알콜은 숙성 12~16주까지 증가되었으며, 다시마 첨가구에서 낮았다. 고추장의 맛과 색, 전반적인 기호도는 키토산 01.% 첨가시 좋았고, 다시마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맛, 색, 향기 모두 낮은 판정을 받았다. 향기 모두 낮은 판정을 받았다.

동해산 재래종 다시마 (Kjellemaniella crassifolia)의 식이가 흰쥐 체내의 칼슘흡수, 혈액조성 및 분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with Sea Tangle (Kjellemaniella crassifolia) on Calcium Absorption, Serum Composition and Feces in Rats)

  • 이진경;임영선;주동식;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01-607
    • /
    • 2002
  • 체내 칼슘 흡수 및 혈액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주령 암컷 횐쥐 (Sprague-Dawley female raD)에게 다시마 첨가량을 각각 $0\%$, $0.5\%$, $1.0\%$, $1.5\%$로한 실험 사료를 8주 동안 사육하면서, 4주 간격으로 골격성장, 칼슘흡수, 혈액조성 및 분변에 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육기간 동안 사료 섭취량이 대조군과 다시마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횐쥐가 다시마에 대한 거부반웅을 보이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혈청 분석 결과 영양상태가 양호하였고, GPT, G07 활성 결과 독성에 의한 부작용도 없었다.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 첨가군에서 평균 체중 증가량이 낮고 변 중량이 높아, 다시마 식이 섬유에 의한 배변 증량 효과를 보였다. 대퇴골의 분석에서 중량과 길이는 사육기간 동안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며, 대퇴골의 수분함량이 감소한 반면 회분 및 칼슘함량은 증가하여 성장 동안 골밀도의 상승으로 인한 대퇴골의 강도가 높아짐을 보였다.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 첨가군에서 칼슘함량과 대퇴골의 강도가 높음을 보석 다시마가 칼슘을 뼈로 홉착을 도와준고 있음을 설명해 주었다. 다시마 첨가수준에 따라서는 $0.5\%$ 첨가군에서 대퇴골의 수분함량이 낮고, 회분 및 칼슘함량이 높아 대퇴골의 강도가 가장 단단하였다.

육수 개발을 위한 수조육류 및 부재료의 최적 배합비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ropriate Mixing Ratios of Various Animal Meats with Other Ingredients to Improve the Palatability of Stock)

  • 신명은;이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9-415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ck that can be used to make a variety of dishes. For this, stock was prepared with beef, chicken, and pork meat as animal meats as well as anchovy, mushroom, and sea tangle as other ingredients. The qualities of six[only four though] kinds of stocks made with beef only (B), beef and chicken (BC), beef and pork (BP), and beef added with chicken and pork (BCP), and seven kinds of stocks made with anchovy (A), mushroom (M), sea tangle (S), anchovy and mushroom (AM), anchovy and sea tangle (AS), mushroom and sea tangle (MS), and anchovy added with mushroom and sea tangle (AMS) were investigated by sensory evaluation. The most preferred stock made with animal meat was mixed with the most preferred stock made with other ingredients at a 5% level to test the synergistic effects of palatability. As a result, BCP stock and AMS stock obtained the highest scores for overall preference. BCP stock within the range of 30%-65% along with the mixed stock containing AMS (35%-70%) showed synergistic effects for palatability.

Lactobacillus brevis BJ20를 이용한 굴(Crassostrea gigas).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발효 분말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효과 (Effects of Lactobacillus brevis BJ20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and oyster Crassostrea gigas)

  • 강영미;우남식;서용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9-364
    • /
    • 2013
  • Inordinate stress causes disorders of various systems in humans and activates defense mechanisms to maintain homeostasis in the body. Sleep is a vital, highly organized process regulated by complex systems of neuronal networks and neurotransmitters. Sleep is an essential biological process whose underlying regulating involves numerous anatomical structures and biochemical substances that can be compromised by stress and by the immune system.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is the main inhibitory neurotransmitter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activation of GABAA receptors is known to favor slee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BJ20 fermentation to improve the functional qualities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and oyster Crassostrea gigas.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rmined by assaying levels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superoxide. L. brevis BJ20 fermentation of sea tangle and oyster enhanced bo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 brevis BJ20 fermented sea tangle and oyster could be used for alleviation of stress and to promote sle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