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gible Cultur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9초

현대 패션디자인에서의 콜래보레이션 표현성 - 한국적 문화콘텐츠의 응용을 중심으로 - (The Collaboration Expression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 Focusing on the Collaboratio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

  • 이은숙;김새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9-111
    • /
    • 2012
  •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ollaborative expression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by analyzing the collaboration of motifs symbolizing Korean cultural identity. As for the data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 expressional objects of collaboration in the collections of the fashion designers from Korea and overseas who have applied the Korean culture among their collections posted on the Internet sites, www.firstview.com, and www.style.com from 2005 to 2012 were collected for analysis. 923 pictures used in the analysis sheet.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the collaborative expression in the motifs symbolizing Korean cultural identity are limited to tangible expression, intangible expression, integrated ex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tangible expression, traditional tangible assets are used in the shapes, items, colors, materials, patterns and details to symbolize uniquely Korean image. The intangible expression, the applicability for Korean intangible assets include the master'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 craftsmanship of the modern designers being collaborated onto the contemporary customs to express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a realistic or an abstract trend. The hybride expression, it is to represent Korean thoughts and values using the tangible elements. Second, The expressivity of collaboration of each year mostly shows integrated expression, intangible expression and tangible expression were shown respectively. The trend of seasonal collaboration expressivity was muchly the integrated expression in most seasons, and intangible expression and tangible expression followed respectively. It is recognizable that the expressivity of collaboration of each designer was; integrated expression was muchly shown in Lie Sang Bong and Lee Young Hee's works, Duri Jung showed much of intangible expression, and much tangible expressivity was shown in Carolina Herrera.

  • PDF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한 유무형 외식 상품 속성 연구 - 만두전문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angible and Intangible Attributes in Foodservice products by IPA - Focus on Dumpling shops -)

  • 오지은;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9-160
    • /
    • 2016
  • This study utiliz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in order to improve and plan tangible (menu) and intangible (service) products at dumpling shops. Menu attributes for tangible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sensory factor, health factor, hygiene factor, and external factor. Attributes for intangible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response factor, visual factor, spatial factor, package factor, and promotion factor. In IPA analysis of tangible products, sensory factor and hygiene factor were located in Quadrant I (Keep up the good work). Health factor was located in Quadrant III (Low priority for management) and the external factor was located in Quadrant II (Possible overkill). In IPA analysis of intangible products, response factor and visual factor were located in Quadrant I, whereas promotion factor was located in Quadrant III. The attributes related to kindness of staff and space for customers in the store were more important, but due to their low performance level, they were located in Quadrant IV (Concentrate management here). Thus, the product planner should improve attributes of the related product immediately.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products within the market is possible.

품질기능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 기법을 활용한 만두전문점의 유무형 외식 상품 기획 (Planning of Tangible and Intangible Foodservice Product Using Systematic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Technique of the Dumpling Restaurant)

  • 오지은;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9-205
    • /
    • 2018
  • This study has utilized th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technique in order to plan the tangible (menu) and intangible (service) product of dumpling restaurant.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angible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product planning, purchase management, produc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the production system of foodservice.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products were also classified into physical evidence, human interaction, and pre-communication based on the service operation and delivery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FD,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 hope the hygiene factor and response factor to be improved. It is analyzed that product plann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production management should be improved first in terms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considering consumer needs. In the future, by utilizing the systematic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at the requirements of tangible and intangible product consumers are converted to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product within the market will be possible,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reducing the unnecessary time and design costs due to failure of product development.

FMEA를 활용한 체감형게임 안전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wii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Applying FMEA to Evaluate the Safety of Tangible Game - Focusing on Wii Accident Cases -)

  • 김우리;유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5-35
    • /
    • 2010
  • 본 논문은 제품의 고장모드를 예측하고 제거하는 FMEA를 체감형게임의 안전성 평가척도에 적용함으로써 체감형게임의 사용가능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문이다. 체감형게임이 제공하는 작동화된 인터랙션이라는 특징 때문에 사용자들은 예상치 못한 사고들을 겪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Wii 사고사례들 중 게임기기와 신체상해부위의 두 가지 분류 내의 위험요인(고장모드)들을 FMEA를 사용해 우선순위를 매겨보았다. 그 결과 게임기기에서는 TV가, 신체상해 부위에서는 손열상 및 타박상이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FMEA를 활용한 체감형게임 안전성 평가모델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안정성 평가 순위를 제공하고, 상이한 체감형게임 기기들 간의 일관성 있는 평가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협동적 문화체험을 위한 탠저블 가상 문화유산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Designing a Tangible Virtual Heritage Environment for Collaborative Culture Experience)

  • 박경신;조용주;강승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759-1766
    • /
    • 2006
  • 탠저블 가상 문화유산 환경은 탠저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문화유산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가상환경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환경에서 탠저블 블록과 네이게이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축성 쌓기 놀이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고창 문화유적지인 모양성의 문화적 이해와 협동을 배울 수 있도록 한 탠저블 모양성 시스템을 논한다. 본 논문에서 먼저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모양성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탠저블 모양성 시스템 디자인과 구현을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 관찰을 통하여 나타난 개선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한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angible Educational Contents

  • Kim, So-Young;Kim, Hee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64-69
    • /
    • 2016
  • Currently on the school education site, various multimedia contents are used to effectively deliver knowledge to the students and increase interest in class. The majority of the multimedia contents currently used in classes are composed of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This paper intends to maximize actuality and immersion in the content by adding olfactory information to the existing visual and auditory data. Tangible cont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tails of aromatic plants learned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shape and explanation of the aromatic plants are displayed with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and an aroma spraying application is used to allow the students to smell the aromatic plants. After conducting the class using the developed contents,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class, as well as their overall academic understanding, were investigated. Upon doing so, it was discovered that the students' academic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ncreased in comparison to classes comprised of only visual and auditory contents.

텐저블 게임 콘솔: 입출력 일체화 개체를 이용한 물리적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에 대한 연구 (Tangible Game Console: Physical Entertainment Media Using I/O Coupling Units)

  • 한경훈;이우훈;윤완철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818-8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와 물리적 미디어가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입출력 일체화 개체인 'I/O 셀(Cell)'과 그 집합체인 '텐저블 게임 콘솔(Tangible Game Console)'을 개발하였다. I/O 셀은 여러 종류의 센서와 액츄에이터가 하나의 물리적 노드 내에 통합되어 있는 개체로, 이 I/O 셀 다수를 집적하면 다양한 크기와 용도의 엔터테인먼트 미디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 하나로 개발된 텐저블 게임 콘솔은 일종의 센서-액츄에이터 집합체로 셀들 사이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물리적 정보를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다. 텐저블 게임 콘솔은 기존 게임 콘텐츠의 주요한 표현 수단이었던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 대신에 물리적 정보를 통해 게임 콘텐츠를 구성하며, 조작대상과 조작수단이 일체화되어 있고, 또한 음악, 퍼즐, 액션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 콘텐츠가 적용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텐저블 게임 콘솔에서는 불, 바람, 물, 생명체 등의 물리적 현상을 형상/움직임/소리/빛 등을 통해 재현하며, 사용자는 이를 때리기/바람불기/흔들기/기울이기 등의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상호작용 과정이 일정한 게임 규칙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어 지속성 있는 놀이 경험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텐저블 게임 콘솔의 콘텐츠로 음악, 액션, 대전게임 등을 개발하였으며, 이 콘텐츠들의 놀이경험을 평가함으로써, 텐저블 게임 콘솔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천수관음의 수인에 나타난 의미 분석과 시각화 (Semantic Analysis and Visualization on Mudras of Sahasra-bhuja Aryavalokitesvara Bodhisattva)

  • 김영덕;김경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20-52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유형문화재인 오대진언집에 기술된 천수관음 42수에 대한 의미 분석과 그에 따른 응용으로 시각화 콘텐츠를 구현한다. 천수관음은 각 손에 다양한 지물을 가지면서 내포하는 상징적 의미가 차이가 있으므로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미 분석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천수관음의 수인을 밀교의 기본적인 불보살 분류법인 5부에 따라 각 수인을 분석하고, 시각 콘텐츠로서 42수 의미에 따른 관음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이러한 콘텐츠의 저작은 천수관음 수인에 대하여 일반인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인의 응용으로는 게임 콘텐츠 및 전통문화 콘텐츠 개발 등이 있다.

유튜브와 케이팝 팬의 트리뷰트 활동 (Youtube and K Pop fan's Tribute Activity)

  • 노광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24-32
    • /
    • 2015
  • 본 논문은 한류의 전세계적 확산이 유튜브라는 새로운 SNS 서비스의 등장으로 확산방식이 달라진 것에 주목한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유튜브와 SNS의 매개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성공했고 이로 인해 미디어 학자들은 한국 대중문화의 전세계적 확산과 유통의 새로운 양식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따라서 음악의 직접적인 전파뿐만 아니라 유튜브 사용자들의 K-pop의 전유양식에 대한 검토도 역시 필요하다. 즉, 단순히 대중문화 수용자들이 문화적 텍스트를 보거나 듣는 것을 넘어 어떻게 이러한 전유양식이 대중문화의 국제적 확장과 증폭에 기여하는 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전에는 CD나 DVD와 같은 유형의 재화의 유통을 통해 대중문화의 유통이 매개되었으나 유튜브의 등장으로 유형의 재화 없이도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현상이 발생한다. 이 연구는 어떻게 이런 유튜브 사용자들의 전유양식, 특히 K-pop 팬들이 만든 동영상이 K-pop의 전세계적 확산에 어떻게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지를 살펴 본다. 이론적 측면에는 팬덤 연구 등을 검토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온라인 공동체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방법인 넷노그래피를 사용한다.

주제어에 따른 시왕의 디지털 콘텐츠 구현 (Implementation of Digital Contents of the Ten Kings of Hell according to Keyword)

  • 김경덕;김영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30-53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10명의 지옥 왕을 주제어에 따라 시각화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10명의 지옥 왕은 시왕으로 불리며, 탱화와 같은 유형문화재로서 일반 사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왕은 저승 세계를 관장하는 대왕으로 무속 및 불교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전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에 등장하는 시왕을 지옥별로 그 특징을 분석하여 주제어를 선별하고, 일반인이 특정 주제어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지옥과 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응용 분야로는 게임 및 문화 캐릭터의 개발, 전통문화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불교문화와 교리 교육, 게임 등에 그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