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ebaek City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9초

폐탄광 경석지 식생 복원을 위한 식물군집 조사·분석 - 강원도 태백시 함태탄광 폐탄광지를 사례로 - (Plant Community Survey and Analysis for Restoration of Vegetation in Coal-mined Spoil Lands - A Case Study of Hamtae Coal-mined Spoil Lands in Taebaek City, Kangwondo -)

  • 김보현;김경훈;김혜주;김두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3-42
    • /
    • 2000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lant community structure, actual vegetation map and flora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ly introduced vegetation and surrounding vegetation in Hamtae coal-mined spoil land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egetation, surrounding vegetation was divided into five plant community groups : Pinus koraiens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 - Deciduous broadleaved trees community, Betula schmidtii - B. davurica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which had been planted, was dominant species in coal-mined spoil lands. Young trees, which were naturally introduced, such as B. schmidtii, B. davurica etc., partially appeared with the high density($15{\sim}19ea/100m^2$) in coal-mined spoil lands. The flora of this area was listed as 54 taxa; 22 families, 42 genus, 50 species, 3 varieties and 1 forma. Especially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Arundinella hirta,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iwayomogi and Youngia denticulata appeared with the high frequency. It is estimated that the proper way for harmonious and effective revegetation is to target B. schmidtii - B. davurica communities and to seed B. schmidtii - B. davurica mixing highly frequent herbaceous species.

  • PDF

석탄폐광지에서의 식생기반재 처리별 수목 초기 생육상황 비교 (Comparison of Seedling Growth by Treatments of Vegetation Basis in an Abandoned Coal Mine Area)

  • 정용호;이임균;임주훈;서경원;이충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7-9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environmentally-friendly and low-cost mulching material that could replace soil molding which can be used to restore vegetation in an abandoned coal mine area. To this end, we established 20 experimental plots (4m ${\times}$ 10m in size) on the steep, south west-facing slope of the abandoned coal mine area in Hwangji-Dong, Taebaek City, Gangwon Province in April 2006. We planted two-year-old 1,600 seedlings (at intervals of 0.6m ${\times}$ 0.8m) of drought-resistant tree species including Betula schmidtii,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morpha fruticosa, and Quercus mongolica in the plots. After planting seedlings, mulching was applied by using five different kinds of material such as HWAP (Teracotem), peat moss, straw mats, wood chips, and control (no-mulching)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 on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performance were compared. Three years after planting,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in wood chip mulching, followed by straw-mat, peat moss, HWAP, and control.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in Quercus mongolica, followed by Betula schmidtii,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Amorpha fruticosa. Meanwhile the height growth was the best in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followed by Betula schmidtii, Quercus mongolica, and Amorpha fruticosa. The height growth of seedlings was the best in HWAP mulching, followed by peat moss, woody chips, straw mat, and control.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wood chips are considered to be the best mulching material. The results showed that mulching without soil molding and/or mixing applications would be effective for restoring vegetation in an abandoned coal mine areas.

건축물 용도별 내부 발열부하에 따른 수열원, 지열원 및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의 에너지 성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of Hydrothermal, Geothermal Source and Hybrid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Internal Heat Load for Office, School and Smart Farm)

  • 박시훈;민준기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9-30
    • /
    • 2022
  •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in Taebaek city, a test area, by applying hydrothermal, geothermal source and hybrid heat pump system to office, school and smart farms with different internal heat load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In the load characteristics by use of buildings, it was found that office had a large cooling load compared to heating load, school had a large heating load compared to cooling load, and smart farm had only cooling load year-rou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eat pump system in office shows that the cooling COP of the hydrothermal source is 5.12% and the heating COP is 3.22% lower based on the geothermal source, the cooling COP of the hybrid is 0.41% higher, and the heating COP is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appeared sparsely.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eat pump system in school showed that the cooling COP of the hydrothermal source was 10.44% and the heating COP 3.22% lower based on the geothermal source, and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the hybrid cooling and heating COP was insignificant. Heat pump system performance analysis in smart farm only occurred with cooling load. Based on geothermal sources, the cooling COP of the hydrothermal source was 46% and the cooling COP of the hybrid was 19.65%, respectively.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과 특성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Movement in Kangwon Province)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31권2호
    • /
    • pp.133-155
    • /
    • 2008
  • 본 연구는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과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강원도 인구분포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강원도 18개 시군 중 춘천과 원주를 제외한 시군에서 모두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천의 경우 도청소재지와 영서북부권의 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경춘전철 및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서울 및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향상될 경우 춘천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주시는 교통망이 전국적으로 연결된다는 점과 최근 기업 도시, 혁신도시에 선정되면서 발전가능성이 높게 인식되면서 인구를 끌어들이고 있다. 이에 반해 강릉은 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이 점차 약화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을 6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으며, 이를 다시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0{\sim}2003$년 사이에는 중간거점도시가 춘천, 속초, 동해, 강릉 등 5곳 이었으나, $2004{\sim}2007$년 사이에는 원주, 춘천 등 2곳만이 중간거점도시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초와 동해는 서울, 경기도로 주로 옮겨가는 특성을 보였으며, 강릉은 서울, 경기와 춘천 및 원주로 동시에 유출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와 함께 분석결과는 조사기간 중 전반기에는 중간거점도시보다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이 많았으나 후반기에 들어서 거점도시인 춘천, 원주로 옮겨간 인구수가 거점도시에서 수도권으로 간 인구수보다 더 많은 특징을 보였다. 이는 중간거점도시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다.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dgeline Area of the Nakdong-Jeongmaek)

  • 박석곤;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6-398
    • /
    • 2016
  • 강원도 태백시에서 부산광역시까지 이어지는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낙동정맥의 환경조건과 인위적 영향을 고려해 중점조사지 6곳을 선정해 식생조사를 실시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거제수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성 참나무류-소나무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곰솔림, 잣나무-리기다소나무림, 편백-사방오리림 등 9개로 유형화되었다. 강원도 태백시의 백병산에서는 온대북부 기후대의 환경특성을 반영한 거제수나무-신갈나무군락이 출현했고, 부산광역시의 구덕산은 해안에 인접한 지역으로 곰솔림이 분포했다. 구덕산은 도심에 위치해 있고 해발고도가 낮아 사람들이 자주 찾는 곳으로서 임목생산 및 사방녹화를 위한 편백, 곰솔 등과 조경수가 심어져 자연성이 낮은 편이었다. 그 외 중점조사지에서는 남한의 정맥을 대표하는 산림식생유형인 신갈나무우점군락, 소나무우점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이 주로 분포해, 타 정맥과 산림식생유형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낙동정맥은 남북방향으로 길게 늘어져 있어 온대북부 기후대부터 난온대 기후대까지의 식생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이 특징적이었다.

′조선 8도′의 별칭과 지형의 관련성 (Relevancy between Aliases of Eight Provinces and Topographical Feat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 범선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86-700
    • /
    • 2003
  •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인 행정명칭 이외에 각 도 또는 일부지방의 별칭이 오늘날 뿐 만 아니라 지방행정제도로 도제가 확고하게 시행되었던 조선시대에도 널리 통용되었다. 별칭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조선의 8도(정확하게는 경기와 7도)를 대신하는 기호 관동 호서 해서 호남 영남 관서 관북과 강원도의 동부와 서부를 지칭하는 영동 영서이다. 이 별칭들의 유래는 거의 전부 지형을 비롯한 자연지리적 요소에 그 기준을 두고 있어, 도회지명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공식적인 행정도명과 비교된다. 별칭 중에는 13∼14세기의 문헌에 등장하는 것도 있으며, 15세기 후반부터는 8도의 별칭 모두가 널리 통용된 것 같다. 별칭이 길게는 700년이 넘게, 짧은 것도 500여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 지리적으로는 공식적인 행정지명에 못지않은 역할을 해온 것이다. 오늘날 조선 8도와 일부 지방의 별칭은 그곳의 문화와 역사적 배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은연중에 지리적인 '지역구분'의 단위로 받아들여질 만큼 그 의미가 중요해졌다. 각 도의 별칭은 공식적인 행정도명과는 달리 그 유래나 의미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문헌자료를 통해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이것에 대해 지리학계와 일반인들에게 흔히 소개되는 내용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내용 중에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 우선 관북 관서 관동의 '관'과 영남 영동 영서의 '영'은 널리 알려진 것처럼 고갯길 한두 개만 지칭한다고 보기보다는 각각 접경지대(변경지대), 군사상의 요충지가 많은 지방과 소백산맥 태백산맥을 의미하는 면도 있다고 믿어진다. 그리고 호남 호서 기호의 '호'는 금강과 의림지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보이지만,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해서는 경기만의 서쪽이라는 의미와 함께 해주와 서하(풍천)의 머릿글자를 따라 정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 같다.

강릉지역 동풍 기류 특성에 대한 사례 분석 연구 (A Case Study on the Easterly Wind Characteristics around Gangneung City)

  • 이선기;김원기;김상국;김도수;류시찬;전상식;박기원;방소영;김연희;남재철
    • 대기
    • /
    • 제15권4호
    • /
    • pp.191-202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how vertically high and horizontally long a sea breeze occurred around Gangneung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reached to an inland. Geographically, gangneung is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east coast shaping an arc, and a coastal line around gangneung has a form extending northwestward and southeastward, respectively. Therefore, an inflow of the northerly has similar effects of the sea breeze since a deep valley of Daegwallyeong, which is one of main ridges of the Taebaek mountains, not only reaches northeastward up to this region but also plays the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nging a wind direction from northerly to easterly, this is, the wind from sea. First of all, the study had defined the sea breeze as a wind blown from NNE to ESE, clockwise. And then,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sea breeze occurred around gangneung in view of the maximum wind speed and the wind direction for October 1st, 2003 through September 30th, 2004, the upper air database for May through June of 2004, and the wind vector database of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All meteorological information is collected at the weather station of gangneung and by the AWS which is being scattered around this region. Finally, the study figures out that how horizontally long a sea breeze would be reached depends on a level of the easterly inflow. At the first step of the inflow of the sea breeze, the wind from NNW blows into this region by keeping up the speed $3m{\cdot}s^{-1}$, and effects of the northerly are dominated with time and the wind at the inland blows out southwestward cause of the surface friction at the next step.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hange of wind direction in the inflow at Daegwallyeong because a surface friction of there is smaller than around gangneung, relatively. In other word, the easterly blows toward Daegwallyeong. However, the wind speed is not higher than that of the coast around gangneung.

강원도의 뇌혈관질환 사망과 지역사회 건강 지표와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erebrovascular Mortality and Community Health Indicators in Gangwon-do)

  • 심정하;손미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1-12
    • /
    • 2009
  • 본 연구는 뇌혈관질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건강상태 지표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방법은 2000년 사망 원인 통계를 활용하여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와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수를 산출하여 뇌혈관질환 표준화 사망률을 산출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건강지표로 지역의 물질적 결핍 지수와 보건의료자원, 도로 포장율, 지방세를 지표로 하였다. 자료는 Excel 2003과 SAS 9.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GIS 프로그램인 Arcview 9.1을 이용하여 뇌혈관질환 사망률과 지역의 물질적 결핍지수를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원지역에서 뇌혈관질환의 표준화 사망률은 지역,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자의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고성군이었고, 가장 낮은 지역은 평창군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고성군이었고, 가장 낮은 지역은 양양군이었다. 2. 강원도의 지역의 물질적 결핍지수는 태백시가 가장 높게 박탈된 지역으로 나타났고, 가장 적게 박탈된 지역은 평창군이었다. 3. 병 의원의 수, 지역의 물질적 결핍지수, 도로포장율. 지방세와 남녀 표준화 사망률과는 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의 여러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자원들을 지표로 산출하여 뇌혈관질환 사망과 관련지어 분석하고, 또한 소지역인 시 군별 사망률의 차이와 지역사회 건강 지표인 물질적 결핍지수와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는 점이다.

태백시 소각로 내 NOx 제거를 위한 전산유체역학(CFD) simulation 연구 (Study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Simulation for De-NOx in the incinerator at Taebaek city)

  • 김지현;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0-332
    • /
    • 2013
  • 소각로 내 공기 주입은 연소가스의 체류시간, 미연분 제거 및 출구가스 온도 제어 등의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에 따라 2차 연소용 공기량을 변화시켜 충분한 체류시간을 확보하고 $850^{\circ}C$ 이상의 출구가스 온도를 유지하며, 높은 turbulent를 관리함으로써 안정적인 소각로 운영이 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소각장의 소각로를 설계하고, 평균 일일 소각량을 바탕으로 1차 공기량을 산정한 후 2차 공기량을 변화하여 CFD 프로그램(Fluent)을 통해 이론적인 공기유동을 규명하였다. 또한 산정된 공기량을 바탕으로 실제 운영 중인 소각장에 적용함으로써 최적의 연소조건을 도출하였다. CFD simulation 결과 1.2차 공기비는 75:25가 최적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2차 공기 분사노즐 전 후면 유속 비는 1:3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운영 중인 소각로에 적용한 결과 적절한 소각로 출구온도는 질소산화물 제거 효율 및 일산화탄소 발생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개재 전기 고생대 퇴적층 단면의 지질유산적 가치와 보전 및 활용방안 (Geological Heritage Value and Appropriate Conservation/Utilization of the Seokgaejae Early Paleozoic Sedimentary Stratal Section)

  • 이승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3호
    • /
    • pp.126-145
    • /
    • 2017
  • 경상북도 봉화군과 강원도 삼척시에 걸쳐 드러나 있는 석개재 하부 고생대 퇴적지층 임도 및 도로 단면에는 전기 고생대 약 6천만 년 동안 퇴적된 태백층군의 모든 지층들이 연속적으로 드러나 있다. 지질학 분야에서 총 38편의 국내외 학술논문이 발표되었고 세계적인 학자들이 직접 방문하기도 한 석개재 단면은 학술적으로 중요한 곳임에 틀림없으나, 문화재 지정 논의도 이루어진 바 없고 최근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된 강원고생대지질공원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천연기념물 지정 기준에 따른 평가 결과 석개재 단면은 다수의 항목에 충분히 부합하지만, 인위적으로 노출된 지질 단면일 뿐 아니라 지질 노두의 멸실 위험이 낮고 경미한 노두 훼손이 단면의 가치를 저해하지 않으며 경관적 가치가 낮기 때문에 문화재 지정의 당위성은 떨어진다. 최근 보완하여 제시된 지질유산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 석개재 단면은 학술적, 교육적, 본질적, 기능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지질유산 등급 분류기준에 따라 국가급 보호대상 지질유산에 해당한다. 현 제도 하에서 석개재 단면은 강원고생대지질공원에 포함되어 보전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석개재 단면의 경우를 통해 국가지질공원 신청 인증 과정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향후 중요한 지질유산이 방치되지 않도록 제도개선 뿐 아니라 지질분야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노력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