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ean-haean National Park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해안형 국립공원의 보전체계에 대한 한.일 비교 - 태안해안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on System of a Coastal Type of National Park of Korea and Japan - Focused on Taean-Haean National Park -)

  • Jo, Tae-Dong;Okano, Takahir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1-155
    • /
    • 2003
  • The resources conservation system is comprehended, making Taean-haean National Park a research material by applying the fact of landowning, designating an LOP and Korea and Japan's Natural Park Act.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Most of land areas of the National Park are privately owned; Only a few have been designated as Natural Reservation, a core reserved area on LOP, and a sandy beach, a sand dune, a sand spit, a tidal flat, a wetland, etc are distribut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area so they were exposed to development; As seen in most of coastal type of National Parks, 13 commercial beaches are established. The annual rush to the beaches appears in July and August; Sand dune areas that have to be managed in terms of conservation, are turned into beaches. Moreover, the collective facilities areas are randomly developed. So they fail to function originally; The current Natural Park Act has no systematic devices for conserv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n the seashore or offshore.

우리 나라 서해안 지역의 곰솔나무림의 생태학적 연구 -태안해안(泰安海岸) 국립공원(國立公園)을 중심으로- (Ecological Study of the Pinus thunbergii Forests on the western Seacoast of Korea -Taean Haean National Park-)

  • 송호경;장규관;오동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1-15
    • /
    • 1997
  • 태안해안(泰安海岸) 국립공원(國立公園) 지역의 곰솔나무림의 생태적인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1996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relev{\acute{e}}$ method에 의하여 33개소를 선정하고 $10m{\times}10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지역에서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곰솔, 떡갈나무, 아까시나무, 굴피나무, 소사나무, 자귀나무, 중공솔, 졸참나무 등(等)의 순(順)이다. 2. 곰솔의 재적 성장률은 0.6%~10.5%로 평균 3.8%이었다. 3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는 4.8~6.3, 유기물함량은 1.51~11.79%, 유효인산은 2.5~14.5ppm, 치환성 Ca, Mg, K는 각각 1.3~6.6, 0.4~2.6, 0.23~1.89(me/100g)이다.

  • PDF

국립공원 이해당사자간 갈등 관리를 위한 사회연결망 분석의 적용 -태안해안국립공원 사례 연구- (Social Network Analysis for Conflict Management in a National Park : A Case Study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Republic of Korea)

  • 이영주;이동호;이주연;김현;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35-239
    • /
    • 2006
  • 이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이해당사자간 관계 구조(relational structure) 분석이 국립공원 관리에 나타난 갈등을 분석하고, 보다 효율적인 갈등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방법론으로서 타당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태안해안 국립공원 이해당사자 12명을 전화면접 설문조사 하여 국립공원 관리를 둘러싼 갈등에 대한 인식과, 갈등발생시 맺는 응답자간 사회연결망 특성을 평상시에 맺는 사회연결망 특성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갈등 발생시에는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정보를 구하지 않는 응답자의 수가 평상시보다 많았고, 갈등 발생시 중요 의사 결정을 할 때 응답자들은 평상시보다 외톨이가 더 많이 나타나 응답자들간 상호교류가 덜 활발하였다. 갈등 해결을 위해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해당사자에게 정보를 직접 전달하기보다는 이해당사자들이 선호하는 정보원에게 정보를 배분하고, 외톨이로 분산된 이해당사자가 서로 교류하여 협력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매개자를 찾거나 제3자를 개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사회연결망 분석이 국립공원을 둘러싼 갈등관리 연구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이라고 볼 수 있으며 향후 보다 다양한 국립공원 갈등 관리 연구에 응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Geotourism in Korea)

  • 전영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69
    • /
    • 2010
  • 우리나라 지오투어리즘의 현황 파악과 향후 전망을 위해 국내외 문헌을 비롯해 지오투어리즘 산업의 인프라에 관해 살펴보았다. 특히 탐방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육이 비교적 잘 준비되어 있을뿐더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태안국립공원 등 몇 곳의 탐방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여 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내 지오투어리즘 인프라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나 지형의 형성과정이나 지질 관련 해설판이 매우 적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운영 중인 탐방프로그램은 주제별 특성이 부각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 운영방식, 운영주체 등을 특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국립공원관리공단 조직 내에 지형경관 및 지질교육 분과를 신설하여 지형경관 및 지질해설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시킬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내 지오투어리즘 전담부서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리학 및 지질학 등 관련 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탐방 프로그램의 질적인 제고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 관련 정부 부처, 대학 간의 민·관·학의 상호협력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다섯째, 지오투어리즘의 활성화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수려한 국내의 자연경관을 전 세계에 홍보함으로써 국가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 제고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정부차원의 재정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지역의 문화, 역사 등과 연계한 스토리를 개발하여 우리나라만이 가지는 세계적인 지오투어리즘 자원을 발굴해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