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ctile-Emo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중·노년층 여성이 경험하는 패션매장에서의 감성과 판매원과의 관계적 속성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ng-Term Relationships on Emoti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with Salespeople in Fashion Stores between Middle and Senior Women)

  • 서은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7호
    • /
    • pp.97-10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on emotional characteristic in fashion stores and relationship characteristic between middle-aged and senior women and salespeople. This study employed survey method with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579 women who were from the age of forty to seven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 methods(SPSS 15.0 and Amos 5.0) such as frequency analysis, cronbach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concluded as follows; Firstly, the income significantly affected on emotional characteristics(p < 0.01),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p < 0.05). The higher income, the more respondents exhibited positive attitude and sensitive emotional characteristics as a sense of sight, hearing, smell, tactile and feeling to salespeople in the fashion stores. The path of structural equation was implemented as income variables $\rightarrow$ emotional characteristics $\rightarrow$ (relationship with salespeople variables $\rightarrow$ )commitment $\rightarrow$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which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95% confidence level. Secondly, senior group(55~70yrs) was more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lespeople compared to middle-aged group(40~54yrs). The precondition of get satisfaction and feeling of being cared from the salespeople were critical for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The path of structural equation was carried out as age variables $\rightarrow$ relationship with salespeople variables $\rightarrow$ commitment $\rightarrow$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which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95% confidence level.

옥외간판디자인에서 캘리그라피 활성화 방안 - 인천시 계양구 중심으로 - (Revitalization Plan of Calligraphy in Outdoor Store Sign Design - Focus on the District of Gyeyang at Incheon -)

  • 김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84-192
    • /
    • 2010
  • 감성마케팅의 시대라 불리는 요즘 현대인들에게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독립된 서체인 캘리그라피는 광고, 북디자인, 영화타이틀, 포스터, 패키지, BI, 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에 인천시 계양구를 중심으로 캘리그라피를 사용한 옥외간판 100곳을 선정하여 업종별 캘리그라피 사용현황 및 활용실태와 표현도구별 분류, 색상 사용분석을 통해 캘리그라피가 옥외간판에서 활성화 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요식업종 뿐만 아니라 금융권이나 기업체 등 다양한 업종에서의 시도가 요구되어지며, 고비용으로 전문가에게 의뢰해 제작되어진 프랜차이즈의 브랜드 로고타입에서만이 아니라 영세 개인상점에서도 저비용으로 질 높은 캘리그라피 제작을 위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캘리그라피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또한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우리만의 독특한 거리 문화 창조를 위해 다양한 도구와 질감 표현들이 요구되어지며, 앞으로 옥외간판에서의 캘리그라피에 대한 연구들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 패션영상에 나타난 가상성 연구 (Virtuality in Digital Fashion Images)

  • 김향자;김영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33-246
    • /
    • 2015
  • Focus on Digital Fashion Image,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thesis is established from Virtuality in Digital Art.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by classifying the Digital Fashion Image applied and expressed by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A detec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a case study. A literature study for case-by-case data was analyzed with focus on the works expressing fashion that utilized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since the 2000s. Through this study, the Digital revolution has created the socio-cultural impact of a Virtual representation to implement technology and fashion culture that finds ways to take advantage of the image shown in a Digital Fashion Media by understanding Virtu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 re-formation of the fashion culture through the experience of virtuality with mental zone parameters between the media 'Mediation Code'. Reflect the reality of the virtual environment as represented by a cultural image of fashion brands and fashion that reset the team relationship and formed a Homo Ludens cultural code. Second, 'Interactive Exchange' acts on the exchange interaction between the method of digital technology, the human and the machine as well as the technical interoperability of network elements and techniques. This exchange is applied to fashion images that express emotion. Forming personalized fashion items and the user interactively storage that expresses the interactive exchange to forward the identity of the emotional fashion by a change in the message delivery system fashion. Third, the emphasis on intuitive artistic expression 'Synesthesia Immersion' induces a sense of immersion and excitement through the fusion of the interconnected. Enhance a visual image in fashion sensory representation and maximize a tactile and visual virtual reality involvement.

하절용 골프웨어의 착용실태 및 소비자 요구도 (Investigation of wearing behaviors and consumer's needs for summer golf wear)

  • 김정화;이선영;이정순
    • 감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177-186
    • /
    • 2007
  • 골프의 대중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연령대가 골프웨어 시장에 흡수되면서 기존의 $50{\sim}60$대 고객 뿐 아니라 $30{\sim}40$대 전문직 종사자들과 20-30대의 젊은 새로운 소비자층이 형성되어 골프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골프웨어에 대한 새로운 소비자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다양하고 폭넓어진 골프웨어 시장에서 차별화된 상품개발과 기획에 반영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대전지역에 위치한 골프 연습장을 이용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남녀 150명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법(Questionnaire method)으로 설문지의 내용은 남녀 골프 참가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운동습관 및 태도에 관한 문항, 현재 착용 중인 골프웨어의 특성에 관한 문항, 골프웨어에 대한 소비자 요구 사항 문항으로 총 45문항을 개발하여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조사대상자 들이 현재 착용하고 있는 골프웨어에 대한 특성을 살펴 본 결과, "착용쾌적감이 좋다", "신축성이 있어 활동적이다", "사이즈가 전반적으로 잘 맞는다", "촉감이 좋다"의 문항들에서는 3.5점 이상의 높은 평점을 나타냈으나, "적당한 가격이다", "보푸라기가 잘 생기지 않는다", "세탁후 수축, 신장, 탈색, 이염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등의 문항들은 3점이하의 비교적 낮은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골프웨어에 대한 소비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제품개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1개의 소비자 요구사항을 추출하였다. 골프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사항 중 "착용감"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흡수성", "촉감", "신축성", "차외선 차단", "사이즈"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골프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사항이 어떤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행/디자인 특성요인, 섬유소재 특성요인, 위생성능 특성요인, 체형보정 특성요인 등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 PDF

시청자의 후각정보 수용 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실감증대를 위한 제안 (Video Classification Based on Viewer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and Suggestion for Reality Improvement)

  • 이국희;최지훈;안충현;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207-220
    • /
    • 2013
  •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 촉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그 냄새가 실감을 증대시키는지 (실감증대효과),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라는 세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세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탄화지르코늄 함유 감성 인텔리전트 의류의 써멀 마네킹 측정에 의한 발열 특성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Intelligent ZrC Imbedded Garment through Thermal Manikin Measurement)

  • 김현아;김승진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17-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써멀 마네킹 실험을 통해서 탄화지르코늄(ZrC) 혼입사로 만들어진 니트와 직물 의류의 발열 특성을 연구하였다. 써멀 마네킹 측정에 의한 감성 및 인지기능 열적특성이 분석되었으며 광발열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ZrC 혼입 직 편물의 표면온도는 일반 PET 직 편물 보다 각각 $4^{\circ}C$$2^{\circ}C$ 높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이들 직 편물 의류의 광조사상태에서 써멀 마네킹 실험에 의한 발열특성을 나타내는 보온성 Clo치는 각각 0.18과 0.08 높은 값을 보였다. 이 결과는 이성분 필라멘트의 심사부에 혼입된 ZrC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에 기인 된 것을 $6{\mu}m{\sim}20{\mu}m$범위의 원적외선 방사강도 결과와 EDS 원소분석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가능하였다. 그리고 ZrC 혼입에 의해 직물의 압축성이 낮아지고 굽힘강성이 높은 값을 보임으로써 촉감 특성은 다소 부족함을 보였다. 그러나 ZrC혼입 직 편물의 발열특성 발현을 써멀 마네킹 측정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인텔리전트 의류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시각장애인의 미술 작품 감상 접근성을 높이는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Multisensory Interactions to Improve Artwork Appreciation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 박경빈;조성기;정찬호;최효진;홍태림;정재호;양창준;왕처우;조준동;이상원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41-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시각 외의 잔존감각인 촉각, 청각, 후각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을 제안한다. 나아가,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을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경험에 대한 질적 인터뷰 기반의 사용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사용자 테스트 결과, 미술 작품에 적용한 다중감각 인터랙션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미술 작품 감상 및 이해를 도왔으며, 나아가 다중감각 인터랙션을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경험이 만족스러웠다는 긍정적인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일부 다중감각 인터랙션 요소는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동안 전혀 인지하지 못하였거나 오히려 미술 작품 감상에 있어서 혼란을 야기했다는 부정적인 평가 결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작품 감상의 접근성을 증진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으로서 비시각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구체적인 개발 방향성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아동이나 노인과 같은 비시각장애인도 유니버설 인터랙션 기술을 통해 기존의 시각 위주의 단편적 경험을 넘어선 종합적인 감각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케이브 기반 자동차 시제품 평가 (Evaluation of Car Prototype using CAVE-like Systems)

  • 고희동;안희갑;김진욱;김종국;송재복;어홍준;윤명환;우인수;박연동
    • 감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77-84
    • /
    • 2002
  • 범용 가상환경 프레임워크 NAVER를 제안하고, 이를 케이브기반 가상현실환경에 적용하여 자동차 시제품 평가 실험에 활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NAVER는 다양한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환경 프레임워크로, 확장성이 뛰어나고 재구성이 가능하다 NAVER는 Render Server, Control Server, 그리고 Device Server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서버는 네트워크로 상호 통신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 NAVER는 XML 기반 스크립팅 언어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가상환경의 여러 가지 객체와 인터랙션을 정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NAVER를 케이브 기반 가상현실환경에 적용하여 자동자 시제품평가 실험에 활용하였다. KIST의 케이브 기반 가상현실 환경은 4면의 정방형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장치, 햅틱 암마스터 장비, 3차원 음향장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에서 시각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촉각, 청각과 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중현실감을 제시할 수 있다. 자동차 시제품 평가 실험을 통하여 사용자가 실제 자동차가 아닌 가상의 자동차 시제품을 관찰하고, 만져보고, 주행해 봄으로써 더욱 높은 몰입감과 현실감으로 자동차 조작장치의 조작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한국 전통 견직물에 대한 한$\cdot$미 주관적 촉감의 비교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ouch Sensation for Korean Traditional Silk fabrics)

  • 이은주;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393-402
    • /
    • 2005
  • 서로 다른 한국 전통 견직물의 촉감에 대한 주관적 감각의 한$\cdot$미 양국의 차이를 고찰하고 전통 견직물의 주관적 촉감에 영향을 미치는 역학적 성질을 규명하고자, 한국인과 미국인 각 20명을 대상으로 의미분별척도에 의하여 서로 다른 6개의 한국 전통 견직물의 촉감(딱딱함, 매끄러움, 성김, 시원함, 유연함, 까실거림, 무게, 두께)을 평가하였다. '매끄러움'과 '성금', '까실거림', '두꺼움'은 한$\cdot$미 양국인의 평가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공단과 뉴똥은 매끄럽고 치밀하며 흐믈거리고 두껍다고 평가받은 반면, 갑사와 숙고사, 항라는 거칠고 성글며 까실 거리고 얇다고 평가되었다. '시원함'과 '유연함'에 대해서는 한$\cdot$미 양국인의 주관적 평가에 차이가 있어 '시원함'의 평가에서 한국인의 점수는 미국인에 비하여 직물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어 한국인은 전통 견직물 촉감의 '시원함'에 보다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연함'에 대해서는 한국인보다 미국인이 공단과 갑사, 숙고사의 촉감을 더 유연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견직물의 주관적 촉감을 예측하는 회귀식에서 한국인의 촉감은 표면특성과 굽힘 특성에 의해, 미국인의 촉감은 표면특성과 인장특성, 압축특성에 의해 주로 예측되었는데, 특히 미국인의 '시원함'은 압축회복성에 의해, '유연함'은 인장 회복성에 의해 예측되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시장을 위한 전통 견직물의 감성적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현대회화에서 신체성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sing physical body in Contemporary Painting)

  • 박기웅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6권
    • /
    • pp.140-202
    • /
    • 2004
  • Body means 1)the whole structure and substance of a man, animal, or plant 2) the trunk or torso of a man or animal 3) part of garment that covers the trunk 4) the fresh or material substance, as opposed to the spirit. Human body could be distinguished as fresh and spirit. Body has the meaning of physicality. Physical means the bodily and constitution, but in the meaning of constitution there is the content of spirituality. Physicality means the appearing or arising of trace or image or nuance of body. The paintings which are using bodies are 1) directly draw bodies 2) twisting or transformation or nuance of the body and highly upgrade the physical emotion or fantastic bodily nuance 3) directly rubbing artist's body on the surface of painting with pigments to elect tactile specification. These physical art have appeared broadly by various artists, mainly with the social aspects of sex, drug, psycho sexual issues. In case of Joel peter Whitkin, the reason of strong physicality in the art is from the mind of the rejection and resistance of real world which is targeting top, perfect and beauty. Further explanation, being the world which is separated top and under, men and women, beauty and ugly; further in the situation, the hierarchy, terror and pressure began and many difficult problems has derived. The contents of attacking feminists's art works are very obscene to reveal female and male's phallus strongly. Sometime, it is strongly related in the political issues. The physical paintings have strong meanings in the action by hands and feet. It supports that it could reveal the humanity with smell, breath, and traces of bodies. In the bodies, the origin of life begins which gives human life by blood lines and water. Sometime, the physical paintings are made by the blood and urine to stick the physicality for special nuance. The physical paintings are made by the image of penis and clitoris which are related in the image of urinating, ejaculation and sometime is symbolized as pens and candles to drop liquid. The selected painters who are related in physical painting are Jackson Pollock, Andrea Serano, Eve Klein, Francis Bacon, Francesco Clemente, Lichard Long, Jakes & Dinos Chapman, Anselm Kiefer, Kiki Smith and Park, Ki Woong. Francis Bacon's style is destructive in representing human shapes which give us special message about the unbearable activity of men politician, high brain, wealthy and religious people. Francesco Clemente's method is to use throat, ear hole, mouse, clitoris, belly nostrils and every holes of body to transmute human physical body. Lichard Long uses directly his body in drawing the surface of painting by using liquid of mud Jakes & Dinos Chapman destroys or transforms the bodies of human. It sometime appears wrong location of the bodies that the penis and vulva is in between human faces or nose of women, Anselm Kiefer uses human hair for representing the human decaying martyrs, and indirectly using straw, he gives special ritual action to repent the Nazi's fault. From 2002 to 2003, Park KI Woong used women womb images to intermingle the smoke shape of <9.11 terror, 2001> in New York to reveal the painful situation of the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