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bletop display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5초

EBITA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분산 테이블탑 시스템용 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Distributed Tabletop System Game Using EBITA Framework)

  • 김민영;조용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29-1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지원을 목적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와 컴퓨터를 활용해서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구성된 테이블탑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분산 테이블탑 시스템은 소프트웨어의 수정 없이 슬레이브 컴퓨터와 모니터를 추가하여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런 확장형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인터랙티브 게임의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EBITA(Environment for Building Interactive Table Applications)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EBITA는 적외선 카메라 트랙킹 시스템을 활용하는 탠저블 인터페이스 모듈과 분산 시스템에서의 그래픽 프로그램의 개발을 용이하게 해주는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기반 탠저블 인터페이스와 EBITA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EBITA를 활용해서 개발한 게임을 소개한다.

  • PDF

2방향 관찰면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Display System on a Tabletop for Two Viewers)

  • 윤기혁;김성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255-26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마주보는 다양한 키의 두 관찰자가 자연스럽게 서로 다른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역의 위치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시역을 구현하기 위하여 시차장벽과 상용화된 액정표시패널 환경에서의 기본 설계조건을 찾았다. 기본 시차장벽 설계조건에서 각 관찰자 시역간의 간격과 시역의 폭이 설계값에 비해 작게 되는 원인을 분석하고, 테이블형 디스플레이에서 관찰자 시역간의 간격과 시역의 폭을 확보하기 위한 두 가지 개선 시역설계 방안을 제시하고, 전산모사하였다. 이를 근거로 2방향 관찰면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여 설계한 폭넓은 관찰자 시역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치와 각도를 인지하는 책상형 인터랙션 개발 (Tabletop Workspace with Tangible User Interface Using Infrared Vision Sense)

  • 심한수
    •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70-74
    • /
    • 2006
  • 본 논문은 적외선 컴퓨터 비전으로 책상형 스크린상에 사용자 조작 물체의 위치와 각도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 컴퓨터 비전 시스템의 약점인 주변 조명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위치뿐만 아니라 각도와 버튼 클릭 상태도 실시간으로 얻어낸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컬러랩 박스를 제작하였다.

  • PDF

Omni-directional Tabletop Display Using Holographic Diffusion Screen

  • Fujii, Daiki;Sakamoto, Kunio;Nomura, Shusaku;Hirotomi, Tetsuya;Shiwaku, Kuninori;Hirakawa, Masahit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08-1311
    • /
    • 2009
  • The authors describe a 360 degree viewing display that can be viewed from any direction. To generate all-around 360 degree viewing window, we developed a sp ecial diffusion screen with one viewing aperture using holographic optical elements.

  • PDF

Crosstalk reduction in tabletop multiview display with fog screen

  • Jeon, Hosung;Lim, Sungjin;Jung, Minwoo;Yoon, Junghoo;Park, Changhwan;Seok, Junho;Yu, Ji-man;Hahn, Joonku
    • ETRI Journal
    • /
    • 제44권4호
    • /
    • pp.686-694
    • /
    • 2022
  • Fog screens offer a great advantage to be used as scattering screens in three-dimensional displays. In the absence of a fixed rigid form, fog screens work as screens without any physical obstruction. The density of water droplets can be regulated to adjust the screen's transparency and scattering level.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crosstalk reduction between adjacent viewing windows by decreasing the divergence of view of the projector, with concentration lenses. By applying the Scheimpflug principle, we also reduce the keystone effect, which occurs when the fog screen is slanted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In this study, we have realized a tabletop multiview fog display without any structures on the table and establish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feasible for decreasing crosstalk effectively.

A Wide-field-of-view Table-ornament Display Using Electronic Holography

  • Daerak Heo;Hosung Jeon;Sungjin Lim;Joonku Hah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7권2호
    • /
    • pp.183-190
    • /
    • 2023
  • Three-dimensional (3D) displays provide a significant advantage over traditional 2D displays by offering realistic images, and table-style displays in particular are ideal for generating 3D images that appear to float above a table. These systems are based on multiview displays, and are typically operated using temporal or spatial multiplexing methods to expand the viewing zone (VZ). The VZ is an expanded space that results from merging the sub-viewing zones (SVZs) from which an individual view is made. To increase the viewing angle, many SVZs are usually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table-ornament electronic holographic display that utilizes 3f parabolic mirrors. In holography, the VZ is not simply expanded but synthesized from SVZs to implement continuous motion parallax. Our proposed system is small enough to be applied as a table ornament, in contrast to traditional tabletop displays that are large and not easily portable. By combining multiview and holographic technologies, our system achieves continuous motion parallax. Specifically, our system projects 340 views using a time-multiplexing method over a range of 240 degrees.

HCI 를 위한 멀티터치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ulti-touch Tabletop Display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 김송국;이칠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53-56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양손의 터치를 인식하여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구현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multi-touch, multi-user 방식의 손 제스처 입력이 가능하다. 시스템은 크게 영상 투영을 위한 빔-프로젝터, 적외선 LED를 부착한 아크릴 스크린, Diffuser 그리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제스처 명령어 종류는 상호작용 테이블에서의 입력과 출력의 자유도를 분석하고 편리함, 의사소통, 항상성, 완벽함의 정도를 고려하여 규정하였다. 규정된 제스처는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위해 스크린에 접촉한 손가락의 개수, 위치, 그리고 움직임 변화를 기준으로 세분화된다.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은 잡음제거 및 손가락 영역 탐색을 위해 간단한 모폴로지 기법이 적용된 후 인식과정에 들어간다. 인식 과정에서는 입력 받은 제스처 명령어들을 미리 정의해놓은 손 제스처 모델과 비교하여 인식을 행한다. 세부적으로는 먼저 스크린에 접촉된 손가락의 개수를 파악하고 그 영역을 결정하며 그 후 그 영역들의 중심점을 추출하여 그들의 각도 및 유클리디언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멀티터치 포인트의 위치 변화값을 미리 정의해둔 모델의 정보와 비교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효율성은 Google-earth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입증될 수 있다.

  • PDF

위치와 각도를 인지하는 책상형 실체적 인터랙션 개발 (Tabletop workspace with Tangible User Interface using Infrared Vision Sense)

  • 심한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53
    • /
    • 2006
  • 본 논문은 적외선 컴퓨터 비전으로 책상형 스크린상에 사용자 조작 물체의 위치와 각도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 컴퓨터 비전 시스템의 약점인 주변 조명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위치뿐만 아니라 각도와 버튼 클릭 상태도 실시간으로 얻어낸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컬러랩 박스를 제작하였다.

  • PDF

멀티터치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구현 (Development of Edutainment Contents using the Multi-touch Table Top Display)

  • 박선희;이정배;김응수;이창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569-1577
    • /
    • 2015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3-5-year-old infants Upon smart device penetration rate per household increases has also sharply increased. In this paper,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kid are considered and implemented by reflecting this trend. Content that has been produced in this paper are based on learning theory of constructivism, was to be performed naturally learn the content of the table-top display of applying the NUI technology. Also, the content creation that can help you learn infants through experiments crafted tabletop display interface content, it is believed to be the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usability.

디지털 홀로그래픽 테이블탑형 디스플레이 기술 (Technology of Tabletop Digital Holographic Display)

  • 박중기;윤민성;김재한;추현곤;최진수;김진웅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3호
    • /
    • pp.31-41
    • /
    • 2015
  •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가간섭성 광원을 이용하여 광파의 진폭 정보뿐만 아니라 위상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홀로그래피 방식의 광파 재생은 광파를 산란시키는 3차원 대상물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이상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기존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갖고 있는 제한된 시야각을 확장하여 360도 방향에서 홀로그램 입체영상을 자유자재로 즐길 수 있는 테이블탑 형태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