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ble-top Display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reprocessing Techniques for On-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based on Table-Top Display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기반의 온라인 필기 문자인식을 위한 전처리 기법)

  • Kim, Ji-Woong;Kim, Eui-Chul;Kim, So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1-174
    • /
    • 2007
  • 최근에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한 입력장치 중 테이블-탑 디스플레이라는 멀티터치 입력장치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탑 디스플레이라는 환경에서 인간에게 가장 직관적인 도구인 손을 사용하여 입력된 온라인 필기 숫자를 전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환경에 적합한 전처리 기법으로 대표점 추출을 위한 거리 필터링과 획 구분 및 잡음제거 등을 사용하였고, 데이터를 16방향 체인코드로 변환하였다. 이는 실제 필기운동 시의 궤적을 크게 왜곡 시키지 않으면서 테이블-탑 디스플레이가 갖는 환경에 기인한 잡음을 없애고, 데이터양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총450개의 필기 숫자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잡음이 제거되고 데이터양이 줄어들었으며 인식에 용이한 체인코드를 형성해 내었다.

  • PDF

On-line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based on Table Top Display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기반의 온라인 필기 숫자 인식)

  • Kim, Eui-Chul;Kim, Ji-Woong;Kim, So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9-12
    • /
    • 2007
  •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는 사람에게 친숙한 상호작용의 매개체인 손을 입력장치로 이용하는 일종의 탁자형 멀티 터치스크린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에서 손가락 제스쳐를 활용하여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필기 숫자 인식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로 인해 추후 진행될 연속 숫자 혹은 특수기호의 성공적인 인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과정은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통해 입력된 손가락 궤적을 잡음제거, 대표점 추출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16-방향 체인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체인코드의 학습 및 필기 숫자 인식에 확률 통계적 모델인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하였다. 학습에는 총 300개 필기 숫자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인식 실험에 사용한 별도의 100개의 필기 숫자 데이터에 대해 97%의 정인식율을 보였다.

  • PDF

Streaming of Spatiotemporally Multiplexed Hologram data for Digital Color Holographic Table-top Display (컬러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공간적 다중화 홀로그램 데이터의 고속 스트리밍)

  • Kim, Jaehan;Seol, Kisu;Cho, Seoungbae;Kim,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37-139
    • /
    • 2019
  • 완전 입체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 테이블위에 실제 물체가 있는 것과 같이 수평 방향 360도 전 영역에서 홀로그램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홀로그램 영상을 수십 KHz정도의 프레임률로 시공간 다중화하여야 하며 동영상 재현을 위해서는 스트리밍 방식의 고속 대용량 홀로그램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스트리밍 서버를 구축하였고 서버내의 비디오 플레이어에서는 사전 정의된 데이터 포맷에 맞추어 제작된 CGH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고, 설계 제작된 인터페이스 보드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컬러 홀로그램을 재현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 PDF

Methods for reducing and measuring speckles in a 360-degree table-top electronic holographic display (360 도 테이블 탑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페클 측정 방법 및 저감 기술 적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 개선방안)

  • Lim, Yongjun;Kim,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29-231
    • /
    • 2018
  •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홀로그램 영상 재현과정에서는 간섭 성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간섭 성 광원의 높은 결맞음성으로 생겨나는 스페클 분포는 육안으로 쉽게 관찰 되는데, 이는 재현된 홀로그램 영상 품질 저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평 360 도 전 방향에서 입체영상의 관찰이 가능한 테이블 탑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의 스페클 분포를 측정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측정 방법을 기술한다. 객관적인 스페클 정량 지표로서 스페클 대조비를 구하여 테이블 탑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의 스페클 분포를 계측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f the stand type table top display (스탠드 형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

  • Park, Jae-Wan;Song, Dae-Hyeon;Lee, Ch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2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 형이 아닌 스탠드형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인식으로 입력을 받아들이므로 TouchFace III 라고 명명하고 있으며, 기존에 개발되었던 두 대의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와는 형태에서 차별을 두고 있다. TouchFace III 시스템은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 내부 전반사 장애 현상) 방식이 아닌 TouchLight방식과 HoloWall방식을 조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그래서 스크린에서의 직접적인 손터치 뿐만 아니라, 스크린에 반사되는 손형상에 대한 제스처까지도 인식할 수 있도록 연구중에 있다. 이는 협업을 강조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의 컨셉에 어울리며 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User Independent On-line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in Table Top Display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독립적인 온라인 필기 숫자 인식)

  • Kim, Ji-Woong;Kim, Eui-Chul;Kim, So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2-185
    • /
    • 2008
  •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는 사람에게 친숙한 상호작용의 수단인 손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이용하는 일종의 탁자형 터치스크린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 독립적인 온라인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로 인해 추후 진행될 다중 사용자의 한글, 영문, 특수기호의 인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과정은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별 손가락 궤적으로 기준점을 잡고, 각 사용자별 필기궤적에서 대표점 추출과 16-방향 체인코드변환을 수행하였다, 변환된 체인코드의 학습 및 필기숫자 인식에 확률 통계적 모델인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데이터는 총 300개의 데이터를 사용 하였고, 학습은 10회 복제하여 총 3000개의 데이터로 수행하였다. 각 사용자별 데이터를 100개씩 인식 실험에 사용하여 각각 93%, 94%의 정인식율을 보였다.

Implementation of a DI Multi-Touch Display Using an Improved Touch-Points Detection and Gesture Recognition (개선된 터치점 검출과 제스쳐 인식에 의한 DI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구현)

  • Lee, Woo-Beom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1 no.1
    • /
    • pp.13-18
    • /
    • 2010
  • Most of the research in the multi-touch area is based on the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리ection), which is just implemented by using the previous approach. Moreover, there are not the software solutions to improve a performance in the multi touch-blobs detection or the user gesture recognition. Therefore, we implement a multi-touch table-top display that is based on the DI(Diffused Illumination), the improved touch-points detection and user gesture recognition. The proposed method supports a simultaneous transformation multi-touch command for objects in the running application. Also, the system latency time is reduced by the proposed ore-testing method in the multi touch-blobs detection processing. Implemented device is simulated by programming the Flash AS3 application in the TUIO(Tangible User Interface Object) environment that is based on the OSC(Open Sound Control) protocol. As a result, Our system shows the 37% system latency reduction, and is successful in the multi-touch gestures recognition.

Implementation of Physis Engine for Interactions Representation of Object at Table Top Display Interface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물체의 상호작용 표현을 위한 물리 엔진 구현)

  • Jeong, Jong-Mun;Kim, Man-Sun;Oh, Jin-Sik;Kim, Jeong-Sik;Yang, Hyu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27-130
    • /
    • 2007
  •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는 인간과 컴퓨터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위하여 개발된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 이것은 인간의 직관적인 도구인 손을 이용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마우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많은 컨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자연스러운 물체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물리엔진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테이블 탑 평면상에서 물체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2차원 관점의 3차원 변환을 지원하고, 물체가 이동할 때와 물체와 물체의 충돌 시 나타나는 물리현상을 벡터연산을 통해 구현하였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물리엔진이 구동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 탑에서 이와 같은 기능들의 구현을 에어하키 게임을 통해 보인다. 에어 하키는 테이블 위에 퍽을 놓고 라켓으로 퍽을 쳐서 상대방의 골문에 넣어 점수를 얻는 게임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물리엔진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실감나는 인터페이스를 느낄 수 있다.

  • PDF

Forward Vehicle Movement Estimation Algorithm (전방 차량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

  • Park, Han-dong;Oh, Jeo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9
    • /
    • pp.1697-1702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 forward vehicle movement estimation algorithm for the image-based forward collision warning. The road region in the acquired image is designated as a region of interest (ROI) and a distance look up table (LUT) is made in advance. The distance LUT shows horizontal and vertical real distances from a reference pixel as a test vehicle position to any pixel as a position of a vehicle on the ROI. The proposed algorithm detects vehicles in the ROI, assigns labels to them, and saves their distance information using the distance LUT. And then the proposed algorithm estimates the vehicle movements such as approach distance, side-approaching and front-approaching velocities using distance changes between frames. In forward vehicle movement estimation test using road driving videos, the proposed algorithm makes the valid estimation of average 98.7%, 95.9%, 94.3% in the vehicle movement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