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P-VA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 및 자금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TVP-VAR 모형 분석 (The Impact of US Monetary Policy upon Korea's Financial Markets and Capital Flows: Based on TVP-VAR Analysis)

  • 서현덕;강태수
    • 경제분석
    • /
    • 제25권2호
    • /
    • pp.132-176
    • /
    • 2019
  • 미 연준은 2015년부터 통화정책의 정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변모수 벡터자기회귀' (Time-varying parameter vector auto regression, TVP-VAR) 모형을 바탕으로 미국 통화정책이 우리나라 금융시장과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통화정책의 변화는 신용스프레드, 페더럴펀드 금리(정책금리), 기간프리미엄 등 세 변수를 통해 파악하였다. 국내 변수로는 금융시장 지표(장기금리, 원/달러 환율, 신용스프레드)와 국제수지표 금융계정을 분석하였다. 미국 정책금리 충격은 2004~2006년 금리인상기에는 국내 금융시장에 불안을 야기 시키고 외국인 국내 투자와 내국인 해외투자의 동시 감소를 초래하였으나 2015년 이후에는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기간프리미엄의 영향력은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QE) 정책 실시 이후 확대되었다. 미국 신용스프레드가 국내 금융시장과 자본유출입에 미친 충격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의 파급효과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정책금리 인상 자체보다 이로 인해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신용스프레드의 상승이 국내 금융시장에 더 큰 부작용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유출입 측면에서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외국인 투자자금의 국외이탈 압력 증가로 이어지나, 내국인의 해외투자자금이 국내로 환수되면서 이를 상쇄한다.

거시경제 및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통화정책의 유효성에 미친 영향 분석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in Korea Due to Time Varying Monetary Policy Stance)

  • 김태봉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6권3호
    • /
    • pp.1-23
    • /
    • 2014
  • 본고는 4개의 거시변수들을 포함한 Time Varying VAR 모형을 통해 한국의 통화정책 변화를 평가하였다. 첫째,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때와 같이 통화정책이 환율변동에 대해 민감하게 변화하는 시기가 존재하므로 위기를 포함한 긴 표본 안에서 한국의 통화정책을 평가할 때는 환율을 모형안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표본기간 내에서 이례적인 큰 변동성이 때때로 나타나는 한국 거시변수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stochastic volatilities를 TVP-VAR 모형 내에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2000년대 거시변수들의 안정화는 stochastic volatilities의 감소에 의해 설명되며, 부분적으로는 거시경제의 구조를 반영하는 충격반응함수에 의해서도 설명된다. 셋째, 통화정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유효성의 크기는 예전에 비해 최근 약화된 편이나 유효성의 지속성은 비교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플레이션 안정화에 대한 통화정책의 기조는 물가안정목표제가 도입되기 전에 비해 그 후에 적극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어 왔음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은 그 기조가 경기변동에 비해 인플레이션 안정화에 대하여 여전히 덜 적극적인 것을 감안할 때 개선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olution of China's Economy and Monetary Policy: An Empirical Evaluation Using a TVP-VAR Model

  • Kim, Seewon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5권1호
    • /
    • pp.73-97
    • /
    • 2021
  • China has experienced many structural changes in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over the past three decades. Using a time-varying parameter VAR model with stochastic volatility and mixture innov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such structural changes in, especially tools and operational aims of monetary policy, affect the monetary transmission mechanism. We find that impulse responses of output growth and inflation to monetary shocks have substantially increased and then reversed to decrease around 2005-2006. This time variation is mainly caused by changes in the monetary transmission mechanism, i.e., the manner in which main macroeconomic variables respond to policy shocks, rather than by changes in volatilities of exogenous shocks. The result implies that aggressive monetary policy to facilitate economic growth in the developing economies may be legitimized, unless it causes inflation seriously.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Macroeconomic Uncertainty in China: A Time-varying Bayesian Global SVAR Approach

  • Wongi Kim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8권1호
    • /
    • pp.95-140
    • /
    • 2024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China's uncertainty shocks. It estimates a time-varying parameter Bayesian global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VP-BGVAR) using time series data for 33 countries to evaluate heterogeneous international linkage across countries and time. Uncertainty shocks are identified via sign restrictions.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an increase in uncertainty in China negatively affects the global economy, but those effects significantly vary over time. The effects of China's uncertainty shocks on the global economy have been significantly altered by China's WTO accession,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ecent US-China trade conflict. Furthermore, the effects of China's uncertainty shocks, typically on inflation, differ significantly across countries. Moreover, Trade openness appears crucial in explaining heterogeneous GDP responses across countries, whereas the international dimension of monetary policy appears to be important in explaining heterogeneous inflation responses across countries.

한국경제에 미치는 유가충격의 시간-가변적 효과에 관한 연구 (Time-Varying Effects of Oil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 차경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7권3호
    • /
    • pp.495-520
    • /
    • 2018
  • 국제원유시장 및 경제구조의 변화로 유가충격과 거시경제 간의 전통적 관계가 점차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확률적 변동성으로 가정된 시간-가변 이분산을 갖는 TVP-BVAR모형으로 한국경제에 미친 유가충격의 시간-가변적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의 통념들과는 달리 시간-가변 표준편차 1단위 크기로 정규화한 유가충격의 효과는 과거에 비해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가충격에 대한 각 시점별 충격반응함수들의 형태도 유사하게 나타나, 충격의 전파경로 역시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가충격은 국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의 총 변동을 4~10% 수준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경기변동의 주요 원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점들은 원유소비의 비중축소 및 에너지고효율 기술보급 등과 같은 경제구조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유가충격의 부정적 효과를 상쇄할 만큼 충분한 진전이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오히려, 유가충격의 효과에 관한 최근의 통념들은 국제원유시장 및 경제구조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유가충격의 정규화방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유가충격의 효과를 추정함에 있어 충격규모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모형설정과 정규화방식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것이다.

BDI가 해운선사 네트워크 연계성에 미치는 영향: CoVaR 네트워크 연계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BDI on the Network Connectedness of Shipping Companies: Focusing on CoVaR Network Connectedness)

  • 정대성;최기홍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9-283
    • /
    • 2023
  • 2016년 1월 4일부터 2022년 9월 27일까지의 일별 자료를 바탕으로, CoVaR 네트워크 연계성을 활용하여 BDI의 극단적인 움직임이 해운선사 네트워크 연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주요 결과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pula 모델 결과에 따르면, COSCO, HMM, HLAG, MAERSK, WAN은 Student-t copula가 가장 적합한 모델로 선정되었다. EVER는 시간가변적 Gumbel copula, YANG은 시간가변적 rotated-Gumbel copula로 선정되었다. 둘째, TVP-VAR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BDI의 극단적인 위험 상태로 변할 때 해운선사 간의 연계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순 연계성 비교에서는 COSCO와 EVER의 역할이 변화였다. 또한 순쌍별 연계성 분석에서, BDI의 극단적인 위험 상태 변화가 해운선사 연계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EVER, WAN, COSCO 등이 큰 변화를 보였다. 이를 종합하면, BDI의 극단적 변동은 아시아 해운선사들의 역할을 변화시키며, 해운선사 간의 경쟁을 심화시키고 위험 전달을 강화시켰습니다. BDI가 해운선사 네트워크 연계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주식시장 네트워크의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해운선사들이 시장 상황에 따라 연계성뿐만 아니라 극단적 상황에서의 연계성도 고려해야 해야한다.

Chin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Shocks and South Korea's Exports: A TVP-VAR Approach with an SMSS Structure

  • Liu, Lin;Zhang, Manman;Li, Wei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4권4호
    • /
    • pp.1-17
    • /
    • 2020
  • Purpose - Since China has been South Korea's biggest export destination, uncertainty shocks originating from it would influence South Korea's exports. This paper evaluates the effects of Chin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s exports to explore the transmission channels. Design/methodology - Incorporating endogeneities and nonlinearities, this study employs a quarterly time-varying parameters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n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Korea's exports, where the overparameterization due to time-varying specifications is overcome by a novel stochastic model specification search framework. According to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this paper assesses two channels, demand shock channel and exchange rate channel, through which foreign uncertainty affects Korea's exports. This paper identifies the primary drivers of Korea's aggregate exports and analyzes the rationales for the time-variant impacts of Chin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s exports to China. Findings - Our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Korea's aggregate exports are less responsive to Chin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shocks and significantly move together with global demand. In contrast, its bilateral exports to China are highly responsive in a negative and time-variant way. Moreover, Chinese investment is an important channel through which Chin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ffects Korea's exports to China after 2010. Further, the time-variant effects of Chin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s exports to China are related to changes in China's foreign trade policies, global economic conditions, and China's degree of economic freedom. Originality/value - Few previous studies touch the effects of external uncertainty shocks on South Korea's exports.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gap and explicitly investigate the impacts of Chin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s exports from a time-varying perspective. As Korea is an export-oriented econom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understand the transmissions of external uncertainty b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