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media

검색결과 1,724건 처리시간 0.037초

A Study on the Hyperlink Structures of the Official Websites of TV Networks: Analysis Focus on ABC, BBC, NHK, and KBS

  • 권상희;김세진;강보영;권혜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7-91
    • /
    • 2019
  • This paper explores the hyperlink structures of the official websites for the following terrestrial TV networks: ABC(US), BBC(UK), NHK(Japan), and KBS(Korea). These websites were selected and visualized to analyze the hyperlink structure and examine the connection relations among the TV networks. A total of 4378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Voson site and were analyzed with NodeXL. Results shows that NHK's network demonstrates a good network structure at a quite high level, holding more related websites than BBC. We discovered that ABC TV network has the largest effect with the largest number of out-links. Surprisingly, structures of BBC and NHK were quite similar, overcoming geograph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Thus, both TV networks were seen to be progressive and open. On the contrary, ABC and KBS were considered to be relatively conservativ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ategory points" combination chart revealed that NHK's official website has the widest variety of hyperlinks. The shortest distance of a hyperlink between a website type and a TV network meant that the TV network has a larger number of links to those website types than other TV networks do. The result may provide Internet users to efficiently select TV network web page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they want to find out.

스마트 TV

  • 고훈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2-28
    • /
    • 2014
  • 스마트TV는 TV와 휴대폰, 그리고 컴퓨터 등 여러 개의 스크린을 활용하여 동영상을 볼 수 있는 TV를 의미한다. 스마트TV는 또한 콘텐츠를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볼 수 있고, 스포츠 결과, 사건 사고, 다른 나라의 소식, 그리고 이메일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복합적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다. 반면에 이전의 TV는 단순한 방송을 시청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 등장한 스마트TV는 방송을 보는 것과 참여하는 것, 그리고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즉 TV에 네트워크 기능을 추가하며, 각종 앱을 설치하고, 이러한 앱들을 통해서 정보검색/물건구매, VOD 시청, 인터넷 게임, 소셜네트워크 사용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다. 본 기사에서는 스마트TV 기술, 구성요소, 그리고 각 제조사별 특징을 분석하고, 스마트TV의 발전 방향 등 스마트TV의 현황 등에 대해서 정리한다.

  • PDF

스마트TV 기술 동향

  • 정영호;안충현;홍진우
    • 방송과미디어
    • /
    • 제16권1호
    • /
    • pp.65-75
    • /
    • 2011
  • 시공을 초월해 시청자와 사업자 모두에게 가장 매력적인 매체로 자리매김한 TV는 방송과 통신의 본격적인 융합에 맞춰 새로운 진화를 시작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 입증된 경쟁원천의 변화와 에코시스템을 바탕으로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은 TV의 스마트화를 통해 기존 시장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려 하고 있다. 세계 TV 시장에서 독보적인 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써는 이와 같은 움직임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방송분야의 큰 화두로 떠오른 스마트TV의 국내외 기술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맞춤형 방송을 위한 TV-Anytime 메타데이터의 이진화 (Binarization of TV-Anytime Metadata for Personalized TV Services)

  • 김명훈;김혁만;양승준;김재곤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159-162
    • /
    • 2004
  • 본 논문은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TV-AnyTime을 이용한 메타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터 부/복호화 시스템 구현에 관한 논문이다. 부호화 시스템은 생성된 TV-AnyTime 메타데이터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메타데이터를 TV-AnyTime에 정의된 fragment로 분할하고, 분할된 fragment를 부호화하는 과정을 포항하고 있다. 또한 fragment의 id와 version을 부여하여 container를 구성하는 것과, 전송된 container의 내용에서 요청된 fragment을 축출하여 처리하는 것을 정의한다. 복호화 시스템은 축출된 fragment들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fragment를 복호화 한다. 그리고 fragment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해 fragment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정의한다.

  • PDF

시맨틱 검색에서 키워드 질의 변환을 위한 탐색 공간 축소 모델 (Search Space Reduction Model for Keyword Query Transformation on Semantic Search)

  • 염정남;조준면;유정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90-1393
    • /
    • 2013
  • 인터페이스가 제한된 단말에서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검색 재현율보다는 정확도가 중요하다. 데이터를 쉽게 구조화할 수 있고 검색 정확도가 중요한 한정된 도메인에서는 시맨틱 검색 기술을 통해 강력한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사용자 키워드 질의를 시스템 질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해석들이 존재할 수 있기에 개선의 여지도 많다. 본 논문에서는 해석 정확도와 확장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공간의 구조와 요소들의 해석을 제한함으로써 중간 탐색 공간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줄이면서 사용자의 검색 의도는 가능한 보존할 수 있다. 실제 데이터로 이루어진 대용량 지식을 이용해 다른 최신 기술과 비교하여 실험적 평가를 제시하였다.

개인용 TV의 전송용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Transfer Application of Personal TV)

  • 이윤주;임태범;이석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21-622
    • /
    • 2011
  • 개인형 TV는 TV와 컴퓨터의 융합으로,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TV도 컴퓨터와 같이 다량의 정보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개인형 TV에서는 방송 컨텐츠가 보다 전문화되고 특화되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송용 어플리케이션의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라티노 미디어와 스페인어 텔레비전 방송 (Latino Media and Spanish Language Television Broadcasting)

  • 이성훈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243-264
    • /
    • 2011
  • The results of 2000 Population Census explains the context of a series of incidents happening in the Latino television broadcasting market recently. That is, the rapid growth of Latino population so fast as overtaking the Black population has needed media as a means of Latino's own social interests and communication. In this context, the television broadcasting market as a marketing means of capitals targeting for the Latinos has experienced more rapid changes. In other words, there has been some changes in the Latino television broadcasting market which divided by two major networks, Univision and Telemundo. It was 1970s when Latino media started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ramework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Latinos in American society. Experiencing the human rights movement of the 1960s, the Latino communities' sense of identity realized the importance of media as an expression of themselves from the interest on the factors which directly determine the quality of their life such as the immigration, education, health, and employment. The anglo media plays a role in introducing the Latinos and forming the images of the Latinos to the non-Latinos. It can be possible to criticize that the anglo media propagates the unilateral image of the Latinos by the mainstream white society, the stereotyped images of the Latinos. The spanish media targeting for the Latinos has grown continuously, combining the inside needs of forming the identity of the Latinos and communication and outside needs of commercialism. On the other hand, the needs for the programs based on the American Latinos has been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Latino media based on the dual languages or English. This paper reviewed the history of the Latino media briefly, and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tinos and the media through the television broadcasting which influence the Latino's everyday life enormously.

Afreeca TV의 인기 채널 특징 탐구 (Exploring the Traits of Popular Channels of Afreeca TV)

  • 한석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3-38
    • /
    • 2017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터넷 방송 Afreeca TV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에 대하여 탐구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일반인이 장비를 통해 개인 방송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 하였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학술적 논의가 태어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은 기존의 미디어와는 다르게, 시청률의 개념은 존재하지 않으며. Afreeca TV는 특정 공식을 이용하여 인기 채널을 집계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Afreeca TV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을 1) 성별 2) 프로필 사진 3) 장르 4) 애청자 5) 팬클럽 6) 서포터 7) 방송시간 8) 누적 시청자의 방식으로 구분하여,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더 나아가, 인터넷 방송의 미래에 대해서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