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media

검색결과 1,725건 처리시간 0.029초

TV 동영상 화면 캡쳐 서버-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구현 (Server-Client applications for Capturing and Sending images in TV video)

  • 박연선;김정환;남윤석;정문열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255-259
    • /
    • 2005
  • 본 논문은 시청자가 TV를 시청하다가 마음에 드는 화면이 있으면, 이를 캡춰해서 친구들에게 메시지로 보내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를 위해서는 셋톱박스에서 실행되는 Xlet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특정화면을 캡춰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미들웨어는 이런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let application 에서 시청자가 지정한 화면의 시점값을 방송국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해당 화면을 캡춰하여 이를 시청자가 원하는 수신자에게 보내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미들웨어 API 표준에서 현재의 NPT (Normal Play Time) 을 알려주는 API 를 제공하므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청자가 원하는 시점의 NPT 를 구해 이를 방송국 서버로 보내고, 서버에서는 이 NPT 에 해당되는 동영상의 미디어 타임을 구해, 그 시간에 해당되는 프레임을 계산하여 화면을 캡춰한다. 본 기술을 활용하면 서버에서 캡춰된 화면을 Mobile, Web 등의 매체에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유무선통합, 방통융합형 서비스로 확장해 나갈 수 있다.

  • PDF

인터넷 텔레비전 웹 응용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an Internet TV Web Application)

  • 임재걸;이강재;박병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261-264
    • /
    • 2014
  • 인터넷 TV는 인터넷만 사용할 수 있으면 접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은 세계어디에서도 사용 가능한 실정임으로 인터넷 TV야말로 우리 고장 문화와 소식을 세계에 알리는 최적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역의 문화와 소식을 알리는 인터넷 TV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매체, 소비자, 제품 특성이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edia, Consumer, and Product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Risk and Purchasing Intention)

  • 손경희;이현규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7-14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purchasing intention after investing the impacts by 3 factors-consumer, media, and product characteristics on the perceived risk. The influence on perceived risk is categorized based on the 3 factors' combin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ach characteristics of media, consumer, and product affect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also this risk is affected b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3 independent variable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consumer's perceived risk about buying goods at the internet shopping mall or TV home shopping cannot be measured by a single dimension. Finally, i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purchasing intention. Implications for managers' use of shopping media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oduct and media characteristics fit.

  • PDF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에 대한 고찰 -2008년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arious Types of Social Movement Through the New Media -Focusing on the 2008 Candle Rally-)

  • 이창호;배애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44-75
    • /
    • 2008
  • 연일 계속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는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이 동원되고 조직화된 양상을 띠었다. 즉 휴대전화와 인터넷, 와이브로, 인터넷카페를 빼놓고는 설명될 수 없을 정도로 뉴미디어가 시민들의 참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번 촛불문화제를 통해 드러난 다양한 사회운동에 주목, 운동의 효과와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실시간 인터넷중계 등 이번 촛불집회에서 주목을 끈 보도방식이 시민저널리즘 측면에서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했다. 이를 위해 사례분석과 인터뷰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했다. 사례분석은 이번 집회와 관련해 언론에 보도됐던 내용을 토대로 인터넷카페 등을 중심으로 진행했다. 인터뷰는 집회 현장을 실시간으로 중계해 주목을 끌었던 오마이TV, 칼라TV, 615TV 종사자들을 만나 진행했다. 이러한 진보매체 종사자들과 1인 미디어 운영자들은 실시간 방송의 이점으로 현장 상황을 아무런 가감 없이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꼽았다. 또한 주류 미디어와 달리 시민들의 목소리를 많이 담을 수 있다는 것도 이점이었다. 있는 그대로의 현장 모습을 대중들에게 전달하려는 진보적 대안매체와 1인 미디어들의 활약은 와이브로의 확산과 더불어 앞으로 더욱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개인형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위한 TV-Anytime 메타데이터 저작도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V-Anytime Metadata Authoring Tool for Personalized Broadcasting Services)

  • 전동산;김민제;이한규;양승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84-301
    • /
    • 2006
  • 본 논문은 TV-Anytime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형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TV-Anytime 메타데이터 저작도구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TV-Anytime에서는 저장장치를 갖는 수신기 환경에서 ECG(Electronic Content Guide) 및 콘텐트 서술(description) 메타데이터를 이용한다. 그리고 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시청자의 취향에 따른 개인화된 방송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제반 표준 규격 및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TV-Anytime 메타데이터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메타데이터 저작은 매우 지루하고 단조로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된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TV-Anytime 메타데이터 저작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저작도구에서는 메타데이터의 저작을 쉽게 하기 위해 메타데이터 시각화, AV 미디어 접근,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세그먼트의 반자동 추출 기법들이 사용되었다.

DLNA 환경 속 스마트 리모컨의 TV 제어 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V Control Procedure by Smart Remote Control in DLNA Environment)

  • 강기철;김대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46
    • /
    • 2010
  • 스마트 폰의 선풍적인 인기에 힘입어 TV 산업에서도 스마트TV가 출현해 시장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TV 리모컨 또한 새로운 방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하나의 스마트 리모컨으로 업그레이드 되고 있으며, 스마트 리모컨을 통한 홈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와 미디어 공유에 대한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DLNA 환경 속 스마트 리모컨과 TV 디바이스의 역할에 대해 재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DLNA 및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에 제시된 컨트롤 포인트와 디바이스 간 제어 및 미디어 공유 절차에 따라 스마트 리모컨을 통한 TV의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스마트 리모컨을 통한 TV의 제어는, 크게 사용자와 무관한 백그라운드 스레드로 처리될 제어 준비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실질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단계로 나뉘고, 각각의 단계에 해당하는 UPnP 미디어 네트워크 단계에 맞춰 진행된다. 제안된 DLNA 환경 속 TV 제어 방법의 구현을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TV OSD 제어를 위한 코드에 연동해 TV 디바이스 서비스 서술자의 확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TV 선거 공론장 구조 연구: 기계적 제도화의 역설(Paradox) (Study of the Electoral TV-Public Space: Paradox of the Mythical Structure Manipulated by the Technical Institutionalization)

  • 박태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6권
    • /
    • pp.198-230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선거가 제도적으로 발전하면서 파생하고 있는 선거 공론장의 역설적 현상들을 밝혀내는 것이다. 오늘날 TV방송은 방송 저널리즘 차원을 넘어서 정치적장의 중심에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중요한 정치적 실천 기제가 되었다. TV방송과 대의 민주주의 체제의 융합은 미디어크라시(Mediacracy) 혹은 텔레크라시(Telecracy)라 일컬어지는 새로운 정치 구조를 생산하고 있다. 이 두 분야의 융합에 따른 새로운 정치 현상은 무엇보다도 선거에서 잘 나타난다. TV방송은 선거 후보자들에게 다양한 정치적 상징들을 생산하고 무수한 대중에게 시,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TV선거방송은 후보자들에게는 가장 유효하고 영향력 있는 선거운동의 장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력의 확대에 따라서 국가는 이 선거 공론의 장에 대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국가 중심의 제도화는 TV선거방송을 표준화, 규격화함으로써 모든 후보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유권자들에게는 보다 명확한 판단의 기준들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이 제도화가 시민 공론장으로서 방송의 역할을 국가적 행정체계와 방송의 기술체계에 종속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중심의 기계적 제도화는 선거방송을 정치적 상징의 생산과 상징적 이미지의 작동을 제한하고 통제하는 체제로 구조화시키고 있다. 결국, 도구적 합리성과 기술적 관리 체계에 바탕을 둔 제도화는 선거방송에서 정치적 인간(Homo politicus)의 주체성을 후퇴시키고 행정 및 방송 기술을 정치적 상징을 생산하고 작동하는 주체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프랑켄슈타인적 전도는 TV선거방송을 신화적 공론장으로 귀결시킨다. TV선거 공론장의 역설(paradox)은 미디어 선거 시대에 유권자의 탈정치화, 정치의 픽션화 그리고 그에 따른 선거의 무관심을 고조시킴으로써 미디어와 정치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정치적 인간 주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국가 중심의 제도체계를 벗어나 시민들이 TV선거 공론장의 주체적 참여자가 되도록 개방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앱기반 서비스 브랜드의 TV 광고 노출량이 검색량에 미치는 영향: 업종유형 및 검색언어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TV ad Exposure on Search Volumes on App-based Service Brand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dustry Type and Search Language Type)

  • 김덕희;문윤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284-298
    • /
    • 2021
  • TV media는 인지도 생성 뿐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인터넷 검색 행동을 유발하며, 검색 결과는 브랜드 홈페이지 혹은 E-commerce site로 연결된다. 본 연구는 TV 광고가 브랜드 관련 검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TV 채널에서 방영된 TV 광고량이 국내 검색 플랫폼인 NAVER 검색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TV 광고 노출량은 한글 검색량, 영어 검색량, 총 검색량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TV광고 노출량의 변화는 검색량 변화에도 유의한 정적 영향력이 있었다. TV 광고를 실시한 업종별로 TV 광고량 증가에 따른 브랜드 검색 언어 증가량이 다르게 나타났고, TV 광고내용에 영어 로고가 표출된 경우 TV광고 노출량이 늘어날수록 영어검색 빈도가 한글검색빈도보다 더 빨리 상승함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국내 TV 광고량은 NAVER 검색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TV 광고를 실시한 광고 업종과 브랜드 검색 언어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따라 TV 광고는 한국인의 모국어가 아닌 영문 브랜드 검색 행동도 활발하게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홈 서버용 개인형 방송 미디어 플레이어 개발 (Development of Media Player for Personal Broadcasting based on Home Server)

  • 이윤주;금승우;송재종;임태범;이석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9-172
    • /
    • 2008
  • 집안의 TV 수신기로 접수되는 TV 프로그램 신호를 끊임없이 외부의 라우터로 중계하여 집밖의 어디에서든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집안의 TV, PVR 또는 DVD 플레이어를 원격 작동하여 집밖에서 집안의 기기들의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 때 홈 서버용 개인형 방송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안함으로써 집 밖의 원거리에 있는 내 PC상에서 집 안의 기기들의 컨텐츠 데이터를 실제 리모콘을 조작하듯이 TV를 켜고, 끄고, 채널을 변경하고, 외부입력(PVR 또는 DVD 플레이어 등)을 전환하는 등 가상의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 마음대로 전송받고 제어할 수 있는 홈 서버용 개인형 방송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안한다.

  • PDF

User Adoption Model under Service Competitive Market Structure for Next-Generation Media Services

  • Jeon, Hyo-Ri;Shin, Yong-Hee;Choi, Mun-Kee;Rho, Jae-Jeung;Kim, Myung-Seuk
    • ETRI Journal
    • /
    • 제33권1호
    • /
    • pp.110-120
    • /
    • 2011
  • As information technology rapidly develops and the period required to enter new technology shortens, there emerges a wide variety of alternatives for consumers. When there are many alternatives in the market, users choose after making comparisons. This process of making comparisons is our research key. W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to find a mixed effect that comes from new attitudes to technology adoption and alternative's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effect is revealed through a relative attractiveness (RA) factor to explain a user's process of comparison. We empirically test our research model in the new media services, such as mobile TV, web TV, and mobile IPTV. According to our research results, a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an existing technology is an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adoption of a new technology. So, the contribution of our research is in finding a role for the RA factor in research in new technology ado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