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camera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5초

AUTOMATIC BROADCAST VIDEO GENERATION FOR BALL SPORTS FROM MULTIPLE VIEWS

  • Choi, Kyu-Hyoung;Lee, Sang-Wook;Seo, Yong-Duek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193-198
    • /
    • 2009
  • Generally a TV broadcast video of ball sports is composed from those of multiple cameras strategically mounted around a stadium under the supervision of a master director. The director decides which camera the current view should be from and how the camera work should be. In this paper, such a decision rule is based on the 3D location of ball which is the result of multi-view tracking. While current TV sports broadcast are accompanied with professional cameramen and expensive equipments, our system requires few video cameras and no cameraman. The resulted videos were stable and informative enough to convey the flow of a match.

  • PDF

IP 카메라의 VIDEO ANALYTIC 최적 활용을 위한 가상환경 구축 및 유용성 분석 연구 (A Virtual Environment for Optimal use of Video Analytic of IP Cameras and Feasibility Study)

  • 류홍남;김종훈;류경모;홍주영;최병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9권11호
    • /
    • pp.96-101
    • /
    • 2015
  • In recent years, researches regarding optimal placement of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cameras via architecture modeling has been conducted. However, for analyzing surveillance coverage through actual human movement, the application of VA(Video Analytics) function of IP(Internet Protocol) cameras has not been studied. This paper compares two methods using data captured from real-world cameras and data acquired from a virtual environment. In using real cameras, we develop GUI(Graphical User Interface) to be used as a logfile which is stored hourly and daily through VA functions and to be used commercially for placement of products inside a shop. The virtual environment was constructed to emulate an real world such as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e camera with its specifications. Moreover, suitable placement of the camera is done by recognizing obstacles and the number of people counted within the camera's range of view. This research aims to solve time and economic constraints of actual installation of surveillance cameras in real-world environment and to do feasibility study of virtual environment.

Color T.V Set를 이용한 삼차원 영상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Vision Using a Color T.V. Set)

  • 김철중;정상수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8
    • /
    • 1985
  • A three dimensional vision is obtained by stereoscopic view using a modified commercial TV set and matching color filter glasses. Two video signals from two CCTV cameras are connected to the RGB (red, green, blue) inputs of picture tube selecting two different colors for two video signals. A synchronizing signal drives a CCTV camera and the color TV set. On the other hand, a delayed synchronizing signal drives the other CCTV camera shifting its image on display. This shift is used in correcting image distortion.

  • PDF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모션인식 헬스 케어 시스템 구현 (User Motion Recognition Healthcare System Using Smart-Band)

  • 박진태;황현서;윤준수;박경수;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19-624
    • /
    • 2014
  • 스마트폰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가 발달되고 있는 요즘 사람의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팅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더불어 스마트TV,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사용자들이 효과적으로 자신의 신체정보를 저장,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및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해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스마트 TV 헬스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를 이용한 모션인식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스마트폰과의 연동에서는 제조사마다 지원하는 기기에 제한이 있으며 스마트 TV의 경우도 제조사마다 카메라의 장착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운동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스마트TV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향후 사용자의 움직임을 더욱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식기술과 타 디바이스와의 연동에 관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기반 도시철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The Architecture of the Vision-based Monitoring system for Urban Transit Visual)

  • 안태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229-231
    • /
    • 2007
  • The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is the most popular method to monitor some specific area. The CCTV-based monitoring system is composed of a lot of cameras installed the areas, and monitors to display the vision through the cameras. However, these systems have limitations to prevent some problems or to cope with the problems promptly, because they can carry out only the function that shows us the analogue images of the cameras. Especially, urban transit service area is the space where many people crowd in all at the same time and the space is not only wide but also distributed sporadically. This paper presents the efficient plan for video-based monitoring system to monitor urban transit service area. To build the efficient monitor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devide the monitoring area to appropriate sectors that should be composed to be displayed at a time. If the proposed method is used to construct the video-based monitoring system, the operating officers in the urban transit have the more direct and real images.

  • PDF

스틸 비디오 카메라의 기술, 현황 및 전망 (The Techology,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Still Video Cameras)

  • 이동춘;신형웅;안태식;최홍규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90년도 광학 및 양자전자학 워크샵
    • /
    • pp.1-5
    • /
    • 1990
  • Still video camera (SVC)가 도입된 동기 및 특성을 소개하고 구성장치가운데서 SVC의 가장 특징적인 charge coupled device (CCD) 장치의 동작을 TV의 NTSC 방식과 관련해서 기술하였다. 현황 향후과제, 시장성 및 전망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 PDF

Virtual Control of Optical Axis of the 3DTV Camera for Reducing Visual Fatigue in Stereoscopic 3DTV

  • Park, Jong-Il;Um, Gi-Mun;Ahn, Chung-Hyun;Ahn, Chie-Teuk
    • ETRI Journal
    • /
    • 제26권6호
    • /
    • pp.597-604
    • /
    • 2004
  • In stereoscopic television, there is a trade-off between visual comfort and 3-dimensional (3D) impact with respect to the baseline-stretch of a 3DTV camera.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baseline-stretch at an appropriate the distance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a scene if we want to obtain a subjectively optimal quality of an image. However, it is very hard to obtain a small baseline-stretch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cameras of broadcasting quality where the sizes of the lens and CCD module are large.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attempt to freely control the baseline-stretch of a stereoscopic camera by synthesizing the virtual views at the desired location of interval between two cameras. This proposed technique is based on the stereo matching and view synthesis techniques. We first obtain a dense disparity map using a hierarchical stereo matching with the edge-adaptive multiple shifted windows. Then, we synthesize the virtual views using the disparity map. Simulation results with various stereoscopic image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

  • PDF

과실수확(果實收穫) 로봇에 관한 연구(硏究)(II) -폐쇄회로(閉鎖回路) TV 카메라에 의한 과실(果實)의 위치검출(位置檢出)- (Development of a Fruit Harvesting Robot(II) -Determination of Fruit Location by a Closed-Circuit TV Camera-)

  • 류관희;노상하;김영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4권2호
    • /
    • pp.104-114
    • /
    • 1989
  •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developing agricultural robots for fruit harvesting is to detect accurately the location of a fruit about the given coordinate 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which enables finding out the three dimensional locations of a frui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nsisted of an optosensor (Closed-circuit TV camera), image processing interface board (Digitizer) and microcomputer (IBM PC/AT). A stereo-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two cameras attached to the manipulator wa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 with apples. The accuracy and quickness of detecting the location of apples by this method was not satisfactory. The maximum errors of the detected locations by the stereo-image processing method in x-, Y-, and z- directions were 3, 4 and 4 cm, respectively. The maximum time required to get the rectangular coordinate data of a fruit was about 2 minutes.

  • PDF

인물 촬영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적정 노출 설정 연구;피부톤 재현 선호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Right Portrait Exposure Setting in Digital Cameras;Focusing on the Cognitive Preference in Representation of Skin Tones)

  • 노연숙;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1-118
    • /
    • 2008
  • 현대 사회는 TV, 잡지, 신문,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미지를 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접하는 이미지들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람들의 삶과 인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이미지 생산 매체들은 장면을 물리적으로 동일하게 재현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던 반면, 최근에는 인지적 선호도에 의한 재현이 중요하게 인정받고 있으며, 사진의 선호도는 TV, 잡지, 신문, 인터넷 등 주변에서 접하는 시각적 콘텐츠의 영향을 받는다. 최근 이미지를 생산하는 재현 매체로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장비를 디지털 카메라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핵심은 ‘빛’인데, 빛의 양, 즉 노출의 조절을 통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현재 디지털 카메라는 물리적으로 정확한 재현을 목표로 노출을 조절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물리적으로 정확한 조절이 반드시 인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조절은 아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정확한 노출 설정이 아니라 인지적으로 정확한 노출 설정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특히 인지적으로 색상과 농도 변화에 가장 예민한 피부톤을 기준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노출 선호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남성과 여성 모델을 각각 촬영하여 자극에 사용하였다.

서비스 우선순위를 이용한 스마트 관제 서비스의 개선 (Improvement of Smart Surveillance Service using Service Priority)

  • 성동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003-1010
    • /
    • 2018
  • 신청자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 신고 또는 안심 귀가 서비스를 요청하면, 스마트 관제 서비스는 신청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신청자 주위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들을 선택하고 신청자를 자동으로 추적하고 촬영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신청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주변의 CCTV 카메라가 신청자를 계속 촬영하고 모니터 요원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스마트 관제 서비스는 신청자의 응급 상황 또는 안심 귀가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기존의 스마트 관제 서비스는 응급 상황 신고 서비스와 안심 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아 안심 귀가 서비스에 의하여 카메라들이 선점되고 있는 경우에 응급 상황 신고 서비스의 신청자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스마트 관제 서비스는 서비스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이를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