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Music Show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n the Necessity for the Music Composition in TV Documentaries -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Music Directors at KBS.

  • Kim, Hyu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4호
    • /
    • pp.74-85
    • /
    • 202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ecessity and limitations of music composition required in TV documentary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20 music directors currently working at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Our research has shown that composition of music is necessary. However,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use the composed music due to problems such as time and cost of composing and trust in the music composer; so music libraries, film music, or other music are used instead of the composed music in many situations. However, at the time when companies like its rival Netflix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ound, the impact of Netflix could lead to a decline in the quality of terrestrial TV, which could lead to a weakening of competitiveness. Recently, in the case of sound programs, the sales of secondary works are active due to "internet uploading using YouTube" or "exporting programs", but the sales have been hindered by restrictions on the use of copyrighted works. The music source of library is said to be the one whose copyright problem has been resolved. In this study, we show that the composed music is an ultimate alternative to TV documentaries, since the library music is sometimes suspended due to the situations of management companies.

한국 텔레비전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성쇠 -TBC-TV의 '쇼쇼쇼'를 중심으로- (The Rise and Fall of Television Musical Variety Show in Korea : Focusing on the 'Show Show Show' on TBC-TV)

  • 박용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1-63
    • /
    • 2014
  • 이 논문은 TBC-TV의 '쇼쇼쇼'를 중심으로 한국의 음악버라이어티쇼가 어떻게 성장하고, 쇠퇴했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KBS-TV로 통폐합되기 전까지 토요일 저녁 8시 경에 방송을 했던 '쇼쇼쇼'는 온 가족이 주말 저녁 한 때를 즐겁게 보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쇼쇼쇼'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을 다루었고, 음악외에 무용, 코미디는 물론 각종 마술이나 묘기들도 선보였다. '쇼쇼쇼'는 1970년대 말까지 모든 세대에게 인기를 누린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쇼쇼쇼'는 점차로 음악버라이어티쇼다운 특성을 잃으며 음악 위주의 프로그램이 되었다. 또한 갈수록 성인 취향의 음악이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쇼쇼쇼'는 통폐합의 영향으로 위축되기 시작하다가, 결국 시청행태 변화와 음악적 취향 분화의 영향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쇼쇼쇼'의 종영은 가족이 함께 보는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Music as a Magical Cue: An Exploratory Study of Background Music and Purchase Intentions in TV Home Shopping Programs

  • Hwang, Insuk;Won, Eugene J.S.;Byun, Sooke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03-118
    • /
    • 2012
  • Although musi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of broadcasting communication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music and the behavior of audience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V home shopping programs, where purchase decisions are made while watching the show.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ertain characteristics of music in broadcasting communications can affect the audiences' purchase intentions or behaviors.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is issue, this study considers the impulse-inducing capability (IIC) of music a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consumers' purchase intension. A 2×3 (high/low involvement and high/low/no IIC music) between subjects design was used for the experiments in the study. The TV home shopping programs in the high or low involvement condition were identical except for the type of background music: high IIC music, low IIC music, and no music. A total of 188 undergraduate students at a college in Seoul,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ages range from 20 to 25 (median age = 22), and nearly 60% were male. Our analysis showed that in the low involvement condition, high IIC music was more likely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than low IIC (common) music or no music did. Meanwhile,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purchase intentions in the high involvement condition. Given that previous studies have provided no clear evidence of the effects of music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or behaviors, this study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in this field.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o the practitioners in the market, too. Marketers need to reevaluate the value of music used in broadcasting communications and pay more attention to find the right music for their campaig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 PDF

TV음악쇼 LED모션그래픽 조형이미지 구성 연구 (A Study on LED Motion Graphic Formative Image on TV Music Show)

  • 오호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23-834
    • /
    • 2015
  • 본 연구는 TV음악쇼 프로그램에서 가수 등의 공연자를 중심으로 배경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LED백드롭(backdrop)의 모션그래픽 이미지 조형구성을 분석하였다. 모션그래픽 LED 화면은 평면조형으로 구성되는데, 백드롭의 배경으로써의 기능이 공감각과 시각요소의 감성전달이라는 목표가 있는 것이므로, 감성전달 요소가 되는 컬러와 모션 방향과 속도에 대한 감성적 개념을 분석하였다. 감성전달 요소 중 그래픽 조형에 대한 분석으로는, 이를 이루는 형의 종류와 응용요소를 구분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음악 곡의 전개인 인트로, 벌스, 브릿지, 코러스 부분에서 어떠한 모션 패턴과 배치가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남성과 여성 공연자의 배경으로써 어떠한 디자인 특징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사례연구로, 모션그래픽 배경이미지 디자인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지상파TV 3사의 청소년 대상 음악 순위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곡 전개에 따라 주로 디자인 되는 조형의 종류와 모션 패턴 그리고 모션 배치 유형을 도출하였다.

대중음악 흥행결정요인이 국내대중음악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획사와 유통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to Find Factors of the Box Office Record in Korean Popular Music : by Control Effects of Management Companies and Distribution Companies)

  • 김양석;이상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23-31
    • /
    • 2015
  • K-Pop이 사회, 문화 그리고 경제적인 분야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아직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의 흥행결정요인들이 국내대중음악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흥행결정요인을 파악한 후 가수의 역량, 미디어 영향, OST 영향, SNS 영향 그리고 발매 첫 주 순위를 독립변수로 정하였다. 더불어 2013년 7월 둘째 주부터 2014년 7월 첫째 주까지 가온차트 내 디지털차트 순위에 진입한 국내대중음악을 선별하여 100위 순위 내 유지한 기간을 곡 별로 조사한 후 이를 주 단위로 측정하고 흥행성과인 종속변수로 정하였다. 기획사와 유통사의 역량울 조절변수로 설정한 후 국내대중음악의 흥행결정요인과 흥행성과와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조절작용을 하는가를 연구가설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가수의 역량, 미디어의 영향과 SNS의 영향 그리고 발매 첫 주 순위 등이 국내대중음악의 흥행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으나 OST의 영향은 가온차트 내 디지털차트의 순위유지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획사의 역량은 자체적으로는 국내대중음악의 흥행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절변수로 작용을 할 경우, 대중음악 흥행결정요인과 국내대중음악 흥행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사의 역량은 조절변수로 작용을 할 경우, 대중음악 흥행 결정요인과 국내대중음악 흥행성과에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TV 드라마 디지털 불법복제, TV 시청률, 온라인 입소문 간의 동태적 분석 (A Dynamic Analysis of Digital Piracy, Ratings, and Online Buzz for Korean TV Dramas)

  • 김동연;박규홍;방영석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3호
    • /
    • pp.1-22
    • /
    • 2022
  • 본 연구는 패널 벡터자기회귀 모형을 활용하여 국내 TV 드라마에 대한 디지털 불법복제, 시청률, 온라인 입소문 간의 동태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률은 디지털 불법복제에 부정적 영향을 받지만 구글 버즈에는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 둘째, 디지털 불법복제는 시청률과 소셜 버즈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셋째, 소셜 버즈와 구글 버즈는 서로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 영화나 음악에 대한 불법복제 효과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TV 드라마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TV 드라마의 디지털 불법복제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으며, 특히 디지털 불법복제가 시청률에 미치는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온라인 입소문을 통한 간접효과가 존재함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온라인 입소문을 소셜 버즈와 구글 트렌드 지표로 다양화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V콘텐츠로서의 한국프로야구 가치분석 (An Analysis on the Value of Korea Professional Baseball as TV Contents)

  • 정지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79-388
    • /
    • 2014
  • 본 연구는 시청률을 활용하여, TV콘텐츠로서 한국프로야구의 위상이 어떠한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른 장르의 TV콘텐츠에 대한 한국프로야구의 상대적인 위상을 시청률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2010년도 케이블TV채널 전체의 시청률에 대해 분당 시청률을 확보해 분석하였으며, 케이블 TV의 장르별, 채널별 시청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11개 장르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장르는 드라마였으며, 예능, 영화, 어린이, 뉴스/보도, 스포츠, 음악 등의 순이었다.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채널들은 드라마와 예능 채널들로 장르나 채널 수준에서 스포츠는 높은 순위를 기록하지 못했다. 하지만, 한국프로야구를 중계하는 시간대만을 별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장르와 채널 수준 모두에서 한국프로야구가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케이블TV 해당 시간대에서 한국프로야구가 가장 가치 있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The Effect of Congruency and Familiarity of Background Music in TV Advertising on the Music's Role as a Retrieval Cue

  • Hwang, Insuk;Kim, Hwa-Kyu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1-18
    • /
    • 2015
  • Assuming that not all background music in advertising function as effective retrieval cues for the advertised messages, this study proposes that we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the retrieval cue effect of music from the simple ad exposure effect.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which specific characteristics of music are related to the retrieval cue effect. Our experiment focuses on congruency and familiarity of music as key characteristics of music which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s role as a retrieval cue for the advertised messages. We used four groups of subjects to test the retrieval cue effect of the background music. Each group was exposed to one of the four different types of background music and was again sub-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i.e., a total of eight independent sub-groups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 The first two sub-groups were exposed to the experimental advertisement with the background music of high congruency and high familiarity. After the ad exposure, the background music was provided as a retrieval cue to only one of the two sub-groups. Comparison of the memory performance between the two sub-groups will reveal the net retrieval cue effect of the music of high congruency and high familiarity. Similarly, another two sub-groups watched the same ad but with the background music of high congruency and low familiarity. Also the same ad but with the music of low congruency/ high familiarity was shown to another two sub-groups and that of low congruency and low familiarity music was to another two. Among the two sub-groups with the same music, only one group had the music cue at the memory tasks. One hundred and seventy four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college of one of authors in Asi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ages ranged from 18 to 24 with a median of 20. The sample was composed of 51.7 percent male subject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eight sub-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music highly congruent with the advertised message facilitates the message retrieval, while the low congruency music cue does not. It was also found that the low familiarity music cue improves memory performance only when the music is perceived as congruent with the advertised message. Fro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this study provides boundary conditions for effective retrieval and suggests that the congruent music specifically created for the ad is a more effective retrieval cue than other types of music cues.

편경의 진동모드 분석 (Vibrational Modes of Pyeongeong)

  • 유준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1-128
    • /
    • 2006
  • 편경은 기역자형 경석 16개로 이루어진 국악기로 1과 1/3 옥타브의 음역을 가지며, 아악에서 표준 악기의 역할을 한다. 편경의 진동모드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국립국악원에서 연주에 사용되고 있는 편경과 세종대왕기념관에서 소장 중인 편경 유물의 음향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또한 황종과 청협종에 해당하는 경석의 진동모드형태를 가속도계, TV 홀로그램 및 충격망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립국악원 편경의 16개 경석에서 나타난 기명진동수는 경의 두께에 따라 증가하며, 삼분손익법에 따른 음률에 충실하게 조율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세종대왕기념관 편경의 16개 경석에 적혀있는 제작연도를 나타내는 간지는 서로 다르며, 12율려에 맞게 조율되었다고 하기 어렵다. 세종대왕기념관에 소장된 편경의 진동수는 국립국악원 편경과 최소가지차이 (just noticeable difference) 이상의 차이를 나타냈다. 진동모드형태는 경석의 두께와 무관하게 일정하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선호 콘텐츠 및 타 매체 이용특성에 따른 의용의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DMB Adoption Intentions According to Preferred Contents and Other Media Usage Characteristics)

  • 김동주;신승도
    • 경영과학
    • /
    • 제25권1호
    • /
    • pp.123-138
    • /
    • 2008
  • Recently, DMB service markets experience a rapid change with terrestrial DMB test-broadcasting for the nation-wide coverage and paid interactive data broadcasting being offered utilizing TPEG and BIFS technologies. This warrants a reexamination of a consumers' adoption intentions for DMB service. This paper uses a survey data set to analyze DMB adoption intentions and the choice between terrestrial DMB and satellite DMB services according to preferred contents and other media usage characteristic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onsumer who prefer TV, music, and movie contents are more likely to adopt DMB service, whereas consumers with high intentions for HSDPA subscription are less likely to adopt DMB service. This implies that continuing development of killer application and the analysis of substitutes or complements of other media are crucial for the increase of DMB adoption intentions. It is found that the more consumers prefer sports, movies and entertainment/game and put higher values in the quality of the contents, the more likely they adopt satellite DMB service. Meanwhile, the more consumers prefer TV, drama and news contents, and are sensitive to the subscription fees, they are more likely to adopt terrestrial DMB service. Therefore, it seem that consumers' DMB adoption between terrestrial and satellite services is crucially related with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f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