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검색결과 6,924건 처리시간 0.032초

장애인모델 TV광고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Semiotics Approach to TV Advertisement of Disabled Model)

  • 이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27-335
    • /
    • 2015
  • 본 연구는 광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장애인모델 TV광고에 대해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의 특징에 따라 장애인모델 TV광고에 대한 소비가치의 흐름은 보호적 가치에서 비-보호적 가치, 존재적 가치, 비-존재적 가치 순으로 움직이고 다시 보호적 가치로 ${\infty}$과 같은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네 편의 장애인모델 TV광고를 분석한 결과, SK텔레콤 TV광고(휠체어 농구편)는 존재적 가치, 아이폰4의 TV광고(연인편)는 비-보호적 가치, 삼성증권 TV광고(캠페인편)는 보호적 가치, 그리고 쏘나타 자동차 TV광고(쏘나타 터처블 뮤직시트)는 비-존재적 가치로 분석되었다.

삼성 스마트 TV 보드 게임 Application 개발 (Samsung Smart TV Board-game Application development)

  • 이창연;김우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2-624
    • /
    • 2013
  • TV는 모든 이에게 가장 친숙한 장비이다. 최근엔 모든 TV업계에서 스마트 TV를 선보이며, TV시장에서 새로운 블루오션이 되었다. 스마트TV 역시 다른 스마트 장비와 마찬가지로, application이 매우 중요한 핵심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삼성 스마트 TV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Web 기반의 application으로 삼성 SDK를 이용하여 JAVA SCRIPT, CSS, HTML를 기반으로 만든 보드 게임을 개발하였다. 본 application은 주사위를 이용한 보드 게임 형식으로 게임 규칙이 간단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4인용 게임이다.

  • PDF

OHTV 서비스 표준 기술 및 발전 전망

  • 이동준;김윤형;이만규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5호
    • /
    • pp.37-42
    • /
    • 2013
  • 오늘날의 TV 시청형태는 TV를 통해 본방송을 시청하기도 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TV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보는 비율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제는 많이 알려진 IPTV나 스마트TV도 TV 프로그램을 언제든 손쉽게 접근해서 보는 기능이 우선시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지상파 방송사도 방송과 인터넷을 하나로 묶어 온디맨드 콘텐츠 서비스는 물론 TV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TV 서비스를 미룰수 없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국내 하이브리드 TV 서비스인 OHTV(Open Hybrid TV) 서비스와 표준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필요한 기술들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IP-TV와 디지털케이블TV의 유사성 분석

  • 황부군;김용규;김미정;최성진
    • 방송과미디어
    • /
    • 제12권1호
    • /
    • pp.24-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 IP-TV 정의 및 매체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IP-TV의 개념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IP-TV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플랫폼, 네트워크, 콘텐츠 및 IP-TV 성패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들을 디지털케이블 TV와 비교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디지털케이블 TV와 IP-TV는 물리적 측면이나 서비스 제공 콘텐츠 측면에서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TV 서비스 동향분석 및 전망 (Service Trends and Prospect on Smart TV)

  • 조경섭;이현우;류원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6권4호
    • /
    • pp.1-13
    • /
    • 2011
  • 최근 방송 분야에서의 가장 큰 화두 중의 하나는 스마트TV라 할 수 있다. 구글의 스마트TV 발표를 시작으로 애플TV, 삼성TV 및 LG TV 등 기존 TV 시장에서 스마트TV 시장으로의 급속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N-스크린과 같은 스마트TV 관련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여 서비스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TV 서비스에 대한 동향분석과 전망에 대해 소개한다.

  • PDF

TV 광고 효과 향상을 위한 차세대 모바일 광고서비스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Next-Generation Mobile Advertising Service for TV Advertising Effectiveness)

  • 최민경;이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7-22
    • /
    • 2018
  • 본 연구는 'TV 광고 시청 중에 스마트폰을 더 많이 이용하지 않을까? 그러면 분산된 집중으로 인해 TV 광고효과는 감소되지 않을까?'에서 출발하였다. 사전 조사 결과, TV 광고 시청 중에 약 63%가 스마트폰을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기술 기반의 TV 광고 연동형 모바일 광고서비스의 효과를 실험 및 분석하여 새로운 모바일 광고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동일한 콘텐츠의 광고를 TV 광고 연동형으로 제공했을 때, 일반 모바일 광고에 비해 고객 반응률이 약 9배 이상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TV 광고 송출 시점에 TV 앞에 있는 고객 대상으로 동일한 콘텐츠의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향후 TV 광고의 효과 감소를 보존해줄 새로운 광고서비스로 고주파 기술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TV 광고자료의 메타데이터 요소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data Element for TV Commercial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5-146
    • /
    • 2008
  • 이 연구는 TV 광고자료의 특성과 관련 메타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TV 광고자료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설계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TV 방송자료를 위한 메타데이터인 TV-Anytime 메타데이터나 PB 코어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AdForum 등을 비롯하여 광고자료를 서비스하고 하고 있는 국내외 광고전문사이트 7개를 대상으로 광고의 데이터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광고자료 기술을 위한 데이터 기술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TV 광고자료를 위한 메타데이터 기본요소를 선정하였으며, 더블린 코어를 기본으로 하여 광고자료 기술을 위해 일부 요소를 추가하고 필요한 요소들을 세분하였다. 즉, 더블린 코어의 15개 기본요소에 , , , 를 추가하여 모두 19개의 상위요소를 선정한 후, 다시 27개의 하위요소로 세분하였으며, 각 요소들에 대해 광고의 기술내용을 설명하였다. 더블린 코어의 공식 분류스킴에 의해 표현되지 않는 광고 주제분류, 광고 제작진, 광고유형, 광고 이용등급의 요소는 광고자료 요소의 특성을 반영하여 하위요소와 인코딩 스킴을 다시 설정하였다.

  • PDF

방송프로그램 시청 패턴에 기반한 효율적인 채널 네비게이션 기법 (An Efficient Channel Navigation Scheme based on Patterns of Watching TV Programs)

  • 박우람;박태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357-1364
    • /
    • 2010
  •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다양한 TV 채널들이 시청자에게 제공되고 있지만, 이러한 환경 변화는 오히려 시청자들에게 자신들이 원하는 TV 프로그램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채널 네비게이션 기법(Channel Navigation Scheme)들이 제안되었다. 이 기법들은 시청자의 과거 시청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하여 시청자가 선호하는 TV 채널을 예측하고, 시청자가 채널을 변경하고자 할 때 예측된 채널을 제공한다. 기존에 제안된 채널 네비게이션 기법으로는 시청자가 가장 자주 선택한 채널을 제공해 주는 기법인 MFS(Most Frequently Selected)와 가장 최근에 시청한 채널을 제공해주는 기법인 MRS(Most Recently Selected)가 있다. 하지만 MRS, MFS와 같이 시청자의 채널 시청정보에 기반한 방식은 한 채널에서 여러 가지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현재의 TV 방송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청자의 채널 시청 정보 대신에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을 제공해 주는 PMFS(Program Most Frequently Selected)를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채널 탐색 기법인 MFS, MRS과 비교하여 PMFS의 탐색 거리(Seek Distance)가 더 짧음을 보인다.

유료방송의 시장구조와 경쟁이 케이블 TV의 디지털 전환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y TV Market Structure and Competition on Digital Switch Over of Cable TV)

  • 도준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45-153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케이블 TV의 디지털 전환 과정의 지체 요인을 분석하고 유료방송 시장의 경쟁 상황이 디지털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디지털 전환의 지체 요인은 케이블 TV 사업자의 의지 및 역량의 부족, 정책적 지원과 강제의 부재 및 시청자의 수용 의지와 관련된 요소로 나타났다. 아날로그 방송을 통하여 지속적인 수익을 올리며 유료방송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케이블 TV 사업자는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한 디지털 전환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이나 아날로그 케이블 TV 방송의 종료 기준 설정 부재 등 정책적인 뒷받침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디지털 상품에 대한 가격 저항감이나 조작의 편의성 선호 등 시청자의 수용 요인도 디지털 전환에 영향을 미쳤다. 2008년에 IPTV가 시장에 진입하며 유료방송시장에 실질적인 경쟁 상황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케이블 TV 사업자의 디지털 전환 속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FH대역확산통신과 TV채널의 주파수 양립성에 관한 연구 (Frequency Compatibility of FH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in TV Channels)

  • 박창일;조형래;이명수;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4-92
    • /
    • 1989
  • 본 논문은 VHF 대역인 주파수 30-88MHz에서 TV 채널이 FH대역확산 통신의 전송채널에 포함되므로써 TV 영상이 받는 간섭의 정도와 그 주파수 양립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V 신호의 전계강도는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FH 대역확산 신호가 TV 영상에 미치는 간섭정도도 이러한 TV 신호의 전계강도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TV 신호의 전계강도에 따른 FH 대역확산 통신의 송신 출력과 TV 수신기와 FH 대역확산 송신기 사이의 거리의 관계에 의한 간섭 정도를 실험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실험 결과 FH 대역확산 간섭신호의 전력 level이 TV 영상신호의 전력 level보다 약 23.5dBm 이상 낮을 때 간섭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 따른 TV 영상에 간섭을 초래하는 간섭거리를 유도하여 제시함으로써 FH대역확산 통신과의 주파수 공용으로 인한 간섭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