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FT TYP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활엽수종의 도마티아 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omatia Structure of Broad-leaved Trees in Korea)

  • 김갑태;추갑철;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8-263
    • /
    • 2010
  • 활엽수종들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으로 선택하고 있는 도마티아의 전형적인 형태를 밝히고자 6수종의 잎을 대상으로 도마티아의 형태와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하였다. 도마티아 형태는 쌈지형, 털북숭이형, 호주머니형, 호주머니+털북숭이형 등의 형태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활엽수가 포식 응애와의 상리공생을 위하여 도마티아 구조를 발달시켜 왔다고 사료된다.

솔로몬제도에 생육중인 몇 활엽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Several Broad-leaved Tree Species in Solomon Islands)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11-616
    • /
    • 2010
  • 솔로몬제도의 열대우림에서 생육중인 활엽수종들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을 알아보고자 26수종의 잎을 대상으로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포식응애 서식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Guadalcanal 섬, New Georgia 섬, Tetepare 섬에 생육중인 개체목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10년 2월 25부터 3월 5일까지 채집하여 관찰,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26종 중에서 Terminalia catappa를 비롯한 6종, 23.08%만이 domatia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특이하게 Terminalia catappa는 쌈지형(pouch type) domatia와 구덩이-털북숭이형(pit+tuft type) domatia 두 종류가 관찰되었다. 관찰된 포식응애는 Terminalia catappa를 비롯한 세 수종에서만 관찰되었고, 그 개체수도 엽당 0.33~0.40 마리로 정도로 적었다. 수목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진딧물, 깍지벌레, 나비목 애벌레, 면충 등이었다. 개미는 진딧물 또는 깍지벌레와 공생관계를 이루고 식물을 가해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남반구에 속하는 Solomon Islands 열대우림의 수목들에서는 domatia가 중재하는 포식성 응애와 수목의 상리공생은 현저하게 적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호두나무와 가래나무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Juglans regia and J. mandshurica)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98-303
    • /
    • 2010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호두나무와 가래나무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치악산, 청태산, 중왕산, 경기도 남양주시, 원주시에 생육 중인 개체목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가래나무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호두나무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소엽 당 domatia 평균 갯수는 호두나무는 19.6개로 나타났고, 가래나무는 28.3개/엽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잎 표면의 털은 호두나무의 경우에는 맥액의 domatia 구조에서만 성모가 있으나, 윗면 아랫면 모두 털이 거의 없었다. 가래나무는 잎의 윗면에는 거의 털이 없으나, 뒷면에서는 맥상에는 밀도가 높고 엽신에도 성모(stellates)와 점액질을 분비하는 선모(glandula hairs)가 많이 분포하였다. 가래나무의 선모는 매우 유용한 직접적인 방어전략이라 사료된다. 엽에서 관찰된 엽당 포식응애의 개체수는 수종 간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가래나무가 호두나무 보다 포식응애의 개체수가 많았다. 가래나무에서만 엽맥의 말단부에 소량의 단물이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이 부분에서도 호두나무에 비하여 가래나무가 우월한 간접적 방어전략을 지녔다고 사료된다. 가래나무 잎 뒷면에 선모를 밀생시키고 있는 것은 초식에 대한 훌륭한 방어전략이라 평가되며, 재배하는 호두나무 품종개량에서 이 형질을 도입하는 것이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 사료된다.

Life on Leaves: Which Type of Domatia in Cornus Species is Most Preferred by Foliar Mites?

  • Ngondya, Issakwisa Bernard;Kim, Bong-Gyu;Ibrahim, Rashid Ismael Hag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19-23
    • /
    • 2011
  •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domatia; Tuft (T), Pocket-Tuft (PT) and Pocket (P) were observed on some species of the genus Cornus. Cornus officinalis Sieb & Zuee and C. florida Linnaeus possess T type, C. controversa Hemsl and C. walteri Wangerin possess PT type while C. alba Linnaeus possess P type. A total of 120 leaves were investigated for foliar mite's population. T type domatia was the habitat of 329 mites (48.89%), followed by PT type where 198 mites (29.41%) were found, and the least favored was the P type domatia that accommodated 146 mites (21.70%) out of 673 mites in total. The mean number of mites per domatia was $8({\pm}0.22)$, $4({\pm}0.95)$ and $3({\pm}0.70)$ for T, PT and P type, respectively. The alternative hypothesis that foliar mites prefer T type domatia as a habitat than PT and P type domatia was accepted based on these findings at a probability of P<0.05. Thus, it was concluded that foliar mites prefer T type domatia than the other two types. This could be due to the nature and efficiency of T type domatia in ensuring mites protection from predators and unfriendly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the presence of denser tufts lowers the risks of predation and unfriendly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results in a higher number of mites.

충남 태안군에서 생육중인 활엽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Broad-leaved Tree Species Growing in Taean-gun, Chuncheongnam-do)

  • 김갑태;추갑철;류동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5
    • /
    • 2012
  • 이 연구는 충청남도 태안군에 생육중인 활엽수종들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을 탐색하고자 67종의 활엽수를 대상으로 방어전략을 결정하는 잎의 형태적 특성, domatia구조, 초식곤충 및 포식응애의 서식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67종 중에서 46종(68.7%)의 활엽수가 domatia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참가시나무와 태산목 등을 비롯한 21종의 활엽수에서는 domatia 구조가 없었으며, 황매화와 서어나무를 비롯한 31종의 활엽수에서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난티잎개암나무와 떡갈나무를 비롯한 12종의 활엽수에서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왕벚나무와 팥배나무에서는 pocket type domatia를 지녔으며, 아왜나무에서는 pouch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잎 뒷면의 털을 이용한 방어전략으로 태산목에서의 밀융모, 은백양과 포도에서의 밀면모, 보리수나무에서 비늘털 밀생, 칡의 강모 밀생 등이 밝혀졌다. 화외밀선(花外蜜腺; extrafloral nectary, EFN)을 이용한 방어전략은 조사대상 중에서 23종(34.3%)의 활엽수가 이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로 앵두나무, 무화과, 가막살나무 및 서어나무 등이었다. 조사 대상 중에서 40종(59.7%)의 활엽수에서 포식응애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잎에 서식하는 응애 개체수 평균은 떡갈나무에서 23.4마리로 가장 많았다. 잎을 가해하는 미소 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깍지벌레, 혹응애, 총채벌레등이었으며, 총 개체수는 혹응애, 깍지벌레, 진딧물, 총채벌레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포식응애, 말벌, 무당벌레류와 그 애벌레, 진딧벌 등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온대 활엽수종에서 상리공생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어전략이 활용되는 경우가 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풍나무류 8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A Study of the Defense Mechanism against Herbivores of 8 Species of the Genus Acer)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11-417
    • /
    • 2009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8종의 단풍나무속 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수목들은 강원도 치악산, 청태산, 방태산, 태백산과 윈주시에 생육 중인 8수종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4월부터 7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단풍, 고로쇠 및 복장나무의 domatia는 tuft type, 단풍나무, 신나무, 복자기와 시닥나무는 pocket+tuft type, 산겨릅나무는 pocket type 임이 밝혀졌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겨릅나무에서 20.2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신나무에서 4.2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표면의 털은 단풍나무, 당단풍, 신나무 및 복장나무는 응모(villous), 고로쇠나무와 복자기는 연모(pilose), 시닥나무는 강모(strigose)였다. 일반적으로 털의 밀도는 잎 뒷면이 앞면보다 높았다. 단풍나무, 당단풍, 산겨릅나무 및 시닥나무에서만 엽맥의 말단부에 소량의 단물이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체수 평균은 시닥나무가 9.2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복장나무, 당단풍, 복자기가 순이었다. 단풍나무류 잎을 가해하는 미소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나무이, 혹응애, 매미충 등이었으며, 총개체수는 혹응애, 진사진딧물, 나무이, 단풍알락진딧물, 매미충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육식성 응애, 말벌, 그 약충, 광대노린재 약충, 등이 확인되었으며, 고동털개미와 곰개미는 진딧물과 상리공생을 하여 단풍나무류의 초식피해를 가중시킴을 확인하였다. 육식성 응애가 진사진딧물을 공격하여 체액을 빨아먹는 것을 확인하였으면, 이는 domatia가 중재하는 응애와 식물의 상리공생의 증거라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에서 이러한 응애와의 상리공생이 보편화되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가스터어빈형 연속유연소기의 유동에 관한 연구(I) - 연소기의 설계 및 시작 -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Gas Turbine Type Combustor)

  • 이근오;김형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7-43
    • /
    • 1987
  • The combustion process in gas turbine combustor mainly influenced by flow pattern in combustor, and especially the flow pattern near the nozzle and the shape of recirculation zone affect strongly on the flame stabilizati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combustion efficiency in combustor. In this paper, the author h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ransparent simplified model combustors on the basis of K. Suzuki's combustor design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wirl number and secondary air hold arrays in axial position on the flow characteristics by adopting the tuft method and 5 hole pitot tube.

  • PDF

가스터어빈형 연속류연소기의 유동에 관한 연구(II) -연소기내의 유동특성- (A Study on Flow Characterstics of Gas Turbine rvpe Combustor (II) - Flow Characteristics in Combustor -)

  • 이근오;지용욱;김형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9-70
    • /
    • 1989
  • This paper deals with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 straight flow can type combustor which has been used for high pressure ratio gas turbine combustor. The author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wirl number and secondary air hole arrays in axial position on the flow characteristics by adopting the tuft method and 5-Hole Pilot Tube. From these experiments, as the swirl number increases, the results obtained is that the area of recirculation zone becomes wide and the position of vortex-core region approaches to the near of fuel nozzle in the model combustor. The most favourable penetration is obtained when secondary air jet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holes distributed in the form of paralled two rows in axial position of model combustor.

  • PDF

Life History and Systematic Studies of Pseudothrix borealis gen. et sp. nov. (=North Pacific Capsosiphon groenlandicus, Ulotrichaceae, Chlorophyta)

  • Hanic, Louis A.;Lindstrom, Sandra C.
    • ALGAE
    • /
    • 제23권2호
    • /
    • pp.119-133
    • /
    • 2008
  • We cultured a tubular marine green alga, originally identified as Capsosiphon groenlandicus (J. Agardh) K.L. Vinogradova, from Amaknak Island, Alaska. The alga had an alternation of heteromorphic generations in which tubular monoecious fronds produced quadriflagellate zoospores and/or biflagellate isogametes. The gametes fused to produce cysts or Codiolum-like zygotes with long, tortuous stalks. Cysts and codiola produced 8-16 aplanospores, which germinated in situ to yield upright fronds. Fronds arising from both aplanospores and zoospores displayed a distinctive development in which non-septate colorless rhizoids from the base of the initially uniseriate, Ulothrix-like filament were transformed into septate uniseriate Ulothrix-like photosynthetic filaments. These transformed filaments then developed new basal non-septate rhizoids. This pattern of rhizoids becoming filaments, which then produced new rhizoids, was repeated to yield a tuft of up to 50 fronds. Periclinal and longitudinal divisions occurred in each filament, starting basally, until the mature tubular thallus was achieved. Pyrenoid ultrastructure revealed several short inward extensions of chloroplast lamellae, each of which was surrounded by pyrenoglobuli. Analysis of ribosomal SSU and ITS sequences placed this alga in the family Ulotrichaceae, order Ulotrichales, together with but as a distinct species from North Atlantic Capsosiphon groenlandicus. Analysis of a partial ITS sequence from authentic Capsosiphon fulvescens, the current name of the type of the genus Capsosiphon, indicated that neither our material nor C. groenlandicus belongs in that genus, and we propose a new genus, Pseudothrix, to accommodate both species. We propose P. borealis for the North Pacific entity formerly called C. groenlandicus and make the new combination P. groenlandica for the Atlantic species.

Granulosicoccaceae fam. nov., to Include Granulosicoccus antarcticus gen. nov., sp. nov., a Non-phototrophic, Obligately Aerobic Chemoheterotroph in the Order Chromatiales, Isolated from Antarctic Seawater

  • Lee, Ki-Young;Lee, Hong-Kum;Choi, Tae-Hwan;Kim, Kyung-Mi;Cho, Jang-Ch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9호
    • /
    • pp.1483-1490
    • /
    • 2007
  • A Gram-negative, motile by tuft flagella, obligately aerobic chemoorganoheterotrophic, sphere-form bacterium, designated $IMCC3135^T$, was isolated from the Antarctic surface seawater of King George Island, West Antarctica. The strain was mesophilic, neutrophilic, and requiring NaCl for growth, but neither halophilic nor halotolerant. Th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rain was most closely related to genera of the order Chromatiales in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The most closely related genera showed less than 90%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and included Thioalkalispira (89.9%), Thioalkalivibrio (88.0%-89.5%), Ectothiorhodospira (87.9%-89.3%), Chromatium (88.3%-88.9%), and Lamprocystis (87.7%-88.9%), which represent three different families of the order Chromatiales. Phylogenetic analyses showed that this Antarctic strain represented a distinct phylogenetic lineage in the order Chromatiales and could not be assigned to any of the defined families in the order. Phenotypic characteristics, including primarily non-phototrophic, non-alkaliphilic, non-halophilic, and obligately aerobic chemoheterotrophic properties, differentiated the strain from other related genera. The very low sequence similarities (<90%) and dist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ain and members of the order suggested that the strain merited classification as a novel genus within a novel family in the order Chromatiales. On the basis of these taxonomic traits, a novel genus and species is proposed, Granulosicoccus antarcticus gen. nov., sp. nov., in a new family Granulosicoccaceae fam. nov. Strain $IMCC3135^T\;(=KCCM42676^T=NBRC\;102684^T)$ is the type strain of Granulosicoccus antarcti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