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TS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3초

TTS기반 언어장애인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MLS 시스템 설계 (Desig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LS System for Language Disabilities Persons Based on TTS)

  • 오승훈;오진일;박성준;박석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38-124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AAC기술과 TTS기술을 조사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의 가장기본적인 기능인 전화와 문자전달 기능을 일반적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언어장애인들에게 보완 대체 의사소통의 수단을 제공하는 MLS시스템을 제안하고, Text to Speech기능과 의사소통기능, TTS전화기능, 설정기능을 설계하였다.

말기암 환자의 통증 치료에 있어 서방형 몰핀과 경피형 펜타닐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Controlled-release Oral Morphine with Transdermal Fentanyl in the Management of Terminal Cancer Pain)

  • 백승완;박두진;김인세;김해규;권재영;신상욱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1호
    • /
    • pp.60-66
    • /
    • 2000
  • Background: For terminal cancer pain management, controlled-release oral morphine (morphine sulfate tablet, MST) is a simple and convenient regimen. Recently, fentanyl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F-TTS, transdermal fentanyl) has been developed and became one of the alternative ways of providing adequate pain relief. This open p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nalgesic efficacy and safety of MST and transdermal fentanyl in the management of terminal cancer pain. Methods: In this open comparative and randomized study, 64 terminal cancer patients received one treatment for 15 days, controlled-release oral morphine (MST group) or fentanyl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F-TTS group). Daily diaries about the vital sign,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pain, opioids requirement, co-anagesics, adjuvant drugs and adverse effects were completed with 24 patients in MST group, 18 patients in F-TTS group. Results: The majority of patients in both treatment groups were late-stage cancer and their distribution was not different in both groups. Daily opioids requirement was 126.4 mg in MST uced in F-TTS group (P<0.05).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and constipation was lower in F-TTS group (P<0.05). Patients satisfaction was similar, but F-TTS patient group favored continous use of same treatment compared with MST group after the study was finished. Conclusions: Transdermal fentanyl seems to be safe and similar analgesic effect to controlled-release oral morphine fo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However, transdermal fentanyl provides a simpler and more convenient especially in respect to constipation, nausea & vomiting. To determine the exact analgesic effect, cost-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controlled trials should be followed.

  • PDF

형질전환 벼에서 Protoporphyrinogen Oxidase의 발현 위치가 제초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xpression Site of Protoporphyrinogen Oxidase Influences on Herbicide Resistance in Transgenic Rice)

  • 정선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5-232
    • /
    • 2010
  • 과산화계 제초제 oxyfluorfen이 처리된 비형질전환 벼와 형질전환 벼에서 Protox 발현 위치가 제초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Arabidopsis protoporphyrinogen oxidase(Protox; AP 계통)를 색소체에만 발현하는 형질전환 벼와 Myxococcus xanthus Protox 유전자를 색소체와 미토콘드리아에 모두 발현하는 형질전환 벼(TTS 계통)가 형질전환 시스템으로 사용되었다. Oxyfluorfen이 처리된 TTS4 계통은 AP 계통이나 비형질전환 벼에 비해 낮은 수준의 세포질 누출 및 malonyldialdehyde를 보여주었고, 높은 5-aminolevulinic acid 합성 능력을 유지하였다. Oxyfluorfen 작용 동안, TTS4 계통은 AP1 계통보다 높은 제초제 저항성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색소체만에서의 Arabidopsis Protox의 발현에 비해 색소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의 M. xanthus Protox의 쌍발현이 광역학적인 protoporphyrin IX의 축적을 더 효율적으로 억제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 결과들은 미토콘드리아 내 Protox의 발현이 Protox 저해형 제초제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에 크게 기여함을 의미한다.

자발적 약물 이상반응 보고 분석을 통한 수술 후 통증 조절에 사용된 Fentanyl의 약물사용적정성 (Fentanyl PCA Monotherapy and Fentanyl TTS Combination Therapy i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Analyses of Spontaneous Adverse Drug Reaction Reports)

  • 박수정;정경혜;김은영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1-87
    • /
    • 2018
  • Objective: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spontaneous adverse drug reactions to fentanyl at a regional pharmacovigilance center in the hospital. To assess the factors causing the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ed in patients receiving fentanyl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monotherapy or in combination with fentanyl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TTS) for acute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ith all patients prescribed fentanyl PCA for pain management after orthopedic surgery at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2012 to May 2013. We analysed the factors causing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ed by a spontaneous reporting system in patients receiving fentanyl PCA monotherapy and those receiving fentanyl TTS in combination with fentanyl PCA. Results: Based on the spontaneous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the risk ratio for the incidence rate of adverse drug reaction in the fentanyl TTS combination therapy group was 3.04 (95 % CI: 2.4-4.00, P < 0.0001), which was approximately 3-fold higher than that reported for fentanyl PCA monotherapy. Only 60 % of the adverse drug reactions were reported. Conclusion: It is inappropriate to add fentanyl TTS to fentanyl PCA to manage post-operative acute pain. There is a need to improve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We expect that regular analysis of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ed at regional pharmacovigilance centre would aid in appropriate drug utilization by patients.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모바일 신문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A Mobile Newspaper Application Interface to Enh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 이승환;홍성호;고승희;최희연;황성수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12
    • /
    • 2016
  • 최근 TTS(Text-to-Speech)기능을 활용한 시각 장애인의 스마트폰 사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TTS기능은 어플리케이션 내부의 문자 정보를 음성정보로 전환하며, 어플리케이션 내 정보를 순차적으로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플리케이션 내부의 버튼 및 콘텐츠의 배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 제안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특히 다양한 콘텐츠가 포함된 신문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TTS 사용 환경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전맹인 이외에도 저시력 장애인을 고려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시각장애인의 접근성과 요구를 반영한 모바일 신문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TTS 사용 환경을 고려한 버튼 배치 및 검색 기능 및 이미 읽은 기사 분류 기능을 통해 빠르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잘못 발음되는 단어를 필터링하고 버튼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시력 장애인을 위해 글자 크기 확대, 화면 반전 기능 등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인터페이스가 일반 신문 어플리케이션 및 기존에 제안된 시각장애인용 인터페이스보다 기사 검색 속도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적기계분석장치를 이용한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장기 성능 예측 (Long-Term Performance Prediction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Using Dynamic Mechanical Analyzer)

  • 차재호;윤성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78-8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동적기계분석장치(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와 시간-온도 중첩법(time-temperature superposition, TTS)을 이용하여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장기 성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일 진동수 시험, 다중 진동수 시험, 크리프 TTS 시험을 수행하였다. 단일 진동수(single-frequency) 시험과 다중 진동수(multi-frequency) 시험에서는 $-30^{\circ}C$에서 $240^{\circ}C$까지 $2^{\circ}C/min$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0{\mu}m$ 진폭의 사인(sine) 파형의 하중을 가하였으며 다중 진동수 시험에 적용된 진동수는 0.316, 1, 3.16, 10, 31.6 Hz이다. 크리프 TTS 시험에서는 $-30^{\circ}C$에서 $230^{\circ}C$까지 $10^{\circ}C$마다 15 MPa의 응력을 10분 동안 가하였다. 단일 진동수 시험을 통해 유리전이온도를 구하였으며 다중 진동수 시험을 통해 진동수 별 유리전이온도에서 활성화 에너지와 온도 별 저장탄성계수 선도를 구하였다. 또한 아레니우스 식(Arrhenius equation)을 통해 얻은 이동 인자를 적용하여 기준 온도에 대한 마스터 선도를 얻었다. 또한 크리프 TTS 시험을 통해서는 크리프 컴플라이언스 선도를 구하고 직접 이동 기법을 이용하여 구한 이동 인자를 적용하여 기준 온도에 대한 마스터 선도도 얻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마스터 선도를 이용하면 주어진 환경 조건에 대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의 장기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헬리콥터 응급의료서비스의 외상팀 탑승 여부와 외상환자의 생존율 (Effectiveness of the Trauma Team-Staffed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 김태연;이상아;박은철;허요;정경원;권준식;문종환;김지영;김주량;황경진;윤성근;이국종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1-422
    • /
    • 2018
  • Backgrou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outcomes for trauma patients transferring to the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HEMS) according to their previous team composition i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uma team-staffed-HEMS (TTS-HEMS) when transferring to a trauma center. Methods: A retrospective comparison was conducted on patients transported to a trauma center over a 6-year period by the TTS-HEMS and paramedic-staffed-HEMS (119-HEMS). Inclusion criteria were blunt trauma with age ${\geq}15years$. Patient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e 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TRISS) (30-day mortality)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ratio of mortality (in hospital). Results: There were 321 patients of TTS-HEMS and 92 patients of 119-HEMS. The TTS-HEMS group had a higher Injury Severity Score and longer transport time but a significantly shorter time to emergency surgery. The prehospital data showed that the trauma team performed more aggressive interventions during transport. An additional 7.6 lives were saved per 100 TTS-HEMS deployments. However, the TRISS results in the 119-HEMS group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the hazard ratio of mortality in the 119-HEMS group was 2.83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TTS-HEMS group. Conclusion: HEMS was likely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injured patients when physicians were involved in TTS-HEMS. Survival benefits in the TTS-HEMS group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trauma team performed both more aggressive prehospital resuscita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during transportation.

대용량 한국어 TTS의 결정트리기반 음성 DB 감축 방안 (UA Tree-based Reduction of Speech DB in a Large Corpus-based Korean TTS)

  • 이정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1-98
    • /
    • 2010
  • 대용량 음성 DB를 사용하는 음편접합 TTS는 부가적인 신호처리 기술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문맥을 반영하는 여러 합성유닛들을 결합해 합성음을 생성하기 때문에 높은 자연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연성, 개인성, 어조, 감정구현 등에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음성DB의 크기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음운환경과 음향적 특성이 유사한 다수의 음편들을 제거하여 음성DB의 크기를 감축하기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DB감축을 위해 결정 트리 기반의 새로운 음소 군집화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TTS용 합성단위음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클러스터링방법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서 언어 처리기, 운율 처리기, 음편 선택기, 합성음 생성기, 합성단위 음편데이터베이스, 음성신호 출력기로 구성되는 한국어 TTS 기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합성음을 생성하였고 트리 클러스터링 방법 CM1, CM2와 전체 DB (Full DB)와 감축된 DB(Reduced DB)의 4가지 조합별로 제작된 음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각 조합에 대한 MOS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전체 음성DB의 크기를 23%로 줄일 수 있었고, 청취실험 결과 높은 MOS를 보이므로 향후 소용량 DB TTS에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수중운동체의 목표추적시스템에 적합한 유도론 선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ance Law Suitable for Target Tracking System of an Underwater Vehicle)

  • 윤근항;이기표;여동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2권4호
    • /
    • pp.299-306
    • /
    • 2005
  • To determine a guidance law which is suitable for Target Tracking System(TTS) of an underwater vehicle, the performance (hitting probability) of TTS were calculated with four different guidance schemes, considering underwater vehicle's manoeuvr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seeking equipment such as sona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TS with each guidance law, numerous target-tracking simulations of underwater vehicle wer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target's various motion scenario. Furthermore, the effect of sonar characteristics to the performance of guidance law in TTS was studied by changing parameters of sonar such as frequency of ping and detecting error of target. The pursuit-tail guidance law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four different guidance laws. Complex motion of target from straight line to turning circle and zigzag movement, low frequency of sonar ping and large detecting error of target decreased the hitting probability.

스코폴라민의 흰쥐 피부투과에 대한 투과촉진제들의 영향 (Effect of Various Enhancers on Permeation of Scopolamine through Excised Rat Skin)

  • 정재영;감성훈;김건남;지상철;박은석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2호
    • /
    • pp.141-144
    • /
    • 2003
  • The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TTS) of scopolamine has various advantages over its oral dosage forms. The ideal scopolamine TTS requires high skin permeation rate in short time after it is applied on the skin. In order to increase the initial skin permeation rate of scopolamine from TTS, various permeation enhancers were employed. Enhancers employed were fatty acids (oleic and linolenic acids), cyclic monoterpenes (menthol, camphor, cineole and limonene) and others (isopropyl myristate, sodium lauryl sulfate and glyceryl monostearate). The concentration of enhancers in the base were fixed to 5% (w/w). While fatty acids had little enhancing effect on the skin permeation of scopolamine, cyclic monoterpenes, isopropyl myristate and sodium lauryl sulfate resulted in $1.5{\sim}2.6-fold$ higher skin permeation rate of the drug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lag time was not affected by enhancers stud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