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O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초

Ba-페라이트 분말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 특성 (CO2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Ba-ferrite powder)

  • 남성찬;박성열;정순관;윤여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57-53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소 배기가스로부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다시 일산화탄소 또는 탄소로 전환하여 산업에 다시 활용하고자 하는 탄소순환형 기술개발이 목적이다. 그러나 이산화탄소는 안정한 화합물로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한 금속계 산화물(활성화제)이 필요하며, 가능한 낮은 온도에서 분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륨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CO_2$를 CO나 C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바륨페라이트는 산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상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분말과 수열합성을 이용해 제조된 분말을 사용하여 각각 이산화탄소 분해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의 분해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TPR/TPO와 TGA 장치를 사용하였다. TPR/TPO를 이용한 수소에 의한 환원곡선 면적과 $CO_2$에 의한 흡착분해 곡선면적을 측정한 결과 수열합성을 이용해 제조된 바륨페라이트 분말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GA를 이용한 실험결과에서는 $500^{\circ}C$에서 고상법에 의해 제조된 시료가 수소에 의한 흡착환원이 21.96wt% 발생하였고, $CO_2$에 의한 산화량도 21.24wt%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분해 효율이 96.72wt%로 우수한 산화 환원 특성을 나타내었다.

Fidelity of Transgene Transmission and Expression in the Transgenic Mice

  • Zheng, Z. Y.;Y. M. Han;Y. K. Kang;K. B. Oh;W. J. Shin;Lee, K. K.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89-89
    • /
    • 2002
  • In this study, we examined transmission efficiency and expression level of the transgenes in the transgenic mice. The transgenic lines secreting a considerable amount of human lactoferrin(LF) thrombopoietin(TPO), interleukin-10(IL-10) into their milk were subjected to access the inheritance and maintenance of transgenic phenotype. They were bred through three generations. The transmission frequency for each generations(F9, F10, F11) of 3 lines was 38.03±10.43%(13/35), 48.33±3.76%(19/39) and 31.83±8.88%(9/28) in the LF line, 51.33±18.98%(20/38), 63.70±35.71%(12/20) and 29.57± 15.05%(8/26) in the TPO line, 38.27±17.74%(15/37), 47.47±29.88%(14/28) and 50.87±5.85%(14/28) in the IL-10 line, respectively. (omitted)

  • PDF

수소 저장 및 방출을 위한 Fe 계 산화물 매체의 환원-산화 반응: Rh, Ce 및 Zr 첨가제의 협동 효과 (Redox reaction of Fe-based oxide mediums for hydrogen storage and release: cooperative effects of Rh, Ce and Zr additives)

  • 이동희;박주식;김영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89-198
    • /
    • 2008
  • Cooperative effects of Rh, Ce and Zr added to Fe-based oxide mediums were investigated using temperature programmed redox reaction (TPR/TPO) and isothermal redox reaction in the view point of hydrogen storage and release. As the results of TPR/TPO, Rh was a sale additive to remarkably promote the redox reaction on the medium as evidenced by the lower highest peak temperature, even though its addition was to accelerate deactivation of the mediums due to sintering. On the other hand, Ce and Zr additive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suppress deactivation of the medium in repeated redox cycles. The medium co-added by Rh, Ce and Zr (FRCZ) exhibited synergistic performance in the repeated isothermal redox reaction, and the amount of hydrogen produced in the water splitting step at 623 K was highly maintained at ca. $17\;mmol{\cdot}g^{-1}-Fe$ during three repeated redox cycles.

Accumulation of the Carbonaceous Species on the Ni/Al2O3 Catalyst during CO2 Reforming of Methane

  • Lee, Jae-Hee;Joo, Oh-Shim;Baek, Young-Soon;Yu, Yong-Ho;Jung, Kwang-Deo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11호
    • /
    • pp.1623-1626
    • /
    • 2003
  • The dependency of the rate of $CO_2$ reforming of methane on the catalyst loading and the reactor size was examined at a fixed temperature of $750\;^{\circ}C$ and a fixed GHSV of 18000 mL(STP)/$g_{cat}.h$. The conversion of methane in $CO_2$reforming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reactor size. The catalyst was severely deactivated with increase in the catalyst amount. The amount of carbonaceous species combustible below $550\;^{\circ}C$, determined by TPO experiments with the used catalyst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catalyst amount, which was again confirmed by XRD and TEM experiments. The increase of the carbonaceous species combustible below $550\;^{\circ}C$ may be due to the suppression of the reverse Boudouard reaction, since the $CO_2$ reforming of methane, a highly endothermic reaction, resulted in lowering the reaction temperature.

Chemical Poisoning of Ni/MgO Catalyst by Alkali Carbonate Vapor in the Steam Reforming Reaction of DIR-MCFC

  • 문형대;임태훈;이호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12호
    • /
    • pp.1413-1417
    • /
    • 1999
  • Chemical poisoning of Ni/MgO catalyst was induced by hot alkali carbonate vapor in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and the poisoned (or contaminated) catalyst was characterized by TPR/TPO, FTIR, and XRD analysis. Carbonate electrolytes such as K and Li were transferred to the catalyst during DIR-MCFC operation at 650 ℃. The deposition of alkali species on the catalyst consequently led to physical blocking on catalytic active sites and structural deformation by chemical poisoning. TPR/TPO analysis indicated that K species enhanced the reducibility of NiO thin film over Ni as co-catalyst, and Li species lessened the reducibility of metallic Ni by chemical reaction with MgO. FTIR analysis of the poisoned catalyst did not exhibit the characteristic ${\vector}_1$$(D_{3h})$ peaks (1055 $cm^{-1},\;1085\;cm{-1})$ for pure crystalline carbonates, instead a new peak (1120 $cm^{-1})$ was observed proportionally with deformed alkali carbonates. From XRD analysis, the oxidation of metallic Ni into $Ni_xMg_{1-x}O$ was confirmed by the peak shift of MgO with shrinking of Ni particles. Conclusively, hot alkali species induced both chemical poisoning and physical deposition on Ni/MgO catalyst in DIR-MCFC at 650 ℃.

코발트계 페라이트 분말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전환특성 (Characteristics of CO2 Conversion Using Cobalt Ferrite Powders)

  • 박성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08-1014
    • /
    • 2012
  • 국내의 경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연간 6억톤 이상으로 대기로의 방출을 막기 위해 이 중 일부를 포집하여 저장을 하여야 하나, 아직 적당한 저장소를 발견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포집된 이산화탄소의 일부를 다시 유용한 탄소원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한 이산화탄소를 보다 적은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유용한 탄소자원을 만드는데 있다. 이를 위해 환원가스와 금속계 산화물(활성화제)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원가스는 수소를 사용하였고, 활성화제로는 코발트계 페라이트를 사용하였다. 활성화제는 제법에 따라 물성에 대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고상법과 수열합성법을 이용해 제조된 분말을 사용하여 각각 이산화탄소 분해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의 분해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TPR/TPO와 TGA 장치를 사용하였다. TPR/TPO를 이용한 $CO_2$에 의한 흡착분해 곡선면적을 측정한 결과 고상법으로 제조된 활성화제 중 CoO의 함량이 5와 10 wt%일때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TGA를 이용한 실험결과에서도 고상법에 의해 제조된 시료가 수소에 의한 흡착환원이 29.0 wt% 발생하였고, $CO_2$에 의한 산화량도 27.5 wt%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CO_2$의 분해효율이 95%로 우수한 이산화탄소 전환 특성을 나타내었다.

광개시제, 올리고머 그리고 Talc 함량에 따른 아크릴계 코팅제의 UV경화 및 박리특성 (UV Curing and Peeling Characteristics of Acrylic Coating Ink with Various Amounts of Photoinitiator, Oligomer and Talc)

  • 양지우;서아영;이철우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499-506
    • /
    • 2013
  •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터치 패널용 강화유리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판유리 가공 공정 중 유리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UV경화형 코팅용액의 사용량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UV경화형 코팅은 열경화형에 비해 경화시간이 매우 짧고,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알칼리에 의한 박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산성 고분자 styrene-acrylic acid copolymer를, 모노머로는 아크릴기가 각각 1개, 2개, 6개인 2-hydroxyl methyl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그리고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를 사용하였다. 광개시제로는 HP-8, TPO 및 DETX 3종을 조합하여 사용하였고 올리고머로는 bisphenol A epoxy diacrylat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 고분자와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광개시제, 올리고머, 그리고 첨가제인 talc의 함량을 변화시키며 실험을 수행하여 광개시제에 따른 제반 물성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시험결과 두 가지 이상의 광개시제를 사용해야 경도를 4H 이상 얻을 수 있었고 특히 TPO를 첨가하면 코팅막의 박리 형태를 시트형태로부터 조각형태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올리고머 함량이 증가하면 경도와 접착성이 증가하지만 박리시간 역시 증가하였고 talc 함량은 20 wt%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Ni-페라이트 분말을 이용한 CO2 분해 특성 (CO2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Ni-ferrite powder)

  • 남성찬;윤여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76-538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소 배기가스로부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다시 일산화탄소 또는 탄소로 전환하여 산업에 다시 활용하고자 하는 탄소순환형 기술개발이다. 이산화탄소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분자로써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적합한 금속계 산화물(활성화제)의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Fe 전이금속산화물을 사용하여 $CO_2$를 CO나 C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고상법과 수열합성을 이용해 제조된 분말을 사용하여 각각 이산화탄소 분해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의 분해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TPR/TPO와 TGA 장치를 사용하였다. TPR/TPO를 이용한 수소의 환원면적은 NiO의 함량이 15wt%일 때 높게 나타났고, $CO_2$에 의한 흡착분해 곡선면적은 NiO의 함량이 5wt%일 때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GA를 이용한 실험결과에서는 고상법에 의해 제조된 시료 중 NiO의 함량이 2.5wt%일 때 수소에 의한 흡착환원이 28.47wt% 발생하였고, $CO_2$에 의한 산화량의 경우 26.95wt%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분해효율이 94.66%로 우수한 산화 환원 특성을 나타내었다.

성격유형검사와 QR코드 기반의 모바일 학급 웹앱 개발 (The Development of a Behavioral Assessments and QR Code Based Mobile Web Application for Classroom)

  • 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97-407
    • /
    • 2012
  • 스마트기기가 빠르게 보급되고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스마트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수준에서 스마트교육 활성화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모바일 학급 웹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이기종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검사 후 자료를 저장하면 자동으로 개개인의 모바일 홈페이지를 생성해준다. 여기에 교사가 댓글을 달고 학생이 내용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 페이지의 주소를 QR코드로 생성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들은 보다 쉽고 빠르게 해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다. 개발된 시스템은 학급 구성원들이 서로의 성격을 이해하고 소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개발된 시스템을 학생들에게 적용해 본 결과 교육 수요자의 TPO(Time, Place, Occasion)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여 교육주체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