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O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5초

Pathophysiology, classification, and complications of common asymptomatic thrombocytosis in newborn infants

  • Jeon, Ga 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5권4호
    • /
    • pp.182-187
    • /
    • 2022
  • We frequently encounter newborn infants with thrombocytosi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However, neonatal thrombocytosis is not yet fully understood. Thrombocytosis is more frequently identified in newborns and young infants, notably more often in those younger than 2 years than in older children or adults. The production of megakaryocytes (megakaryopoiesis) and platelets (thrombopoiesis) is mainly regulated by thrombopoietin (TPO). Increased TPO levels during infection or inflammation can stimulate megakaryopoiesis, resulting in thrombopoiesis. TPO concentrations are higher in newborn infants than in adults. Levels increase after birth, peak on the second day after birth, and start decreasing at 1 month of age. Initial platelet counts at birth increase with gestational age. Thus, preterm infants have lower initial platelet counts at birth than late-preterm or term infants. Postnatal thrombocytosis i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preterm infants than in term infants. A high TPO concentration and low TPO receptor expression on platelets leading to elevated plasma-free TPO, increased sensitivity of megakaryocyte precursor cells to TPO, a decreased red blood cell count, and immaturity of platelet regulation are speculated to induce thrombocytosis in preterm infants. Thrombocytosis in newborn infants is considered a reactive process (secondary thrombocytosis) following infection, acute/chronic inflammation, or anemia. Thrombocytosis in newborn infants is benign, resolves spontaneously, and, unlike in adults, is rarely associated with hemorrhagic and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Tetracycline-Inducible Expression System을 이용한 Human Thrombopoietin (hTPO) 형질전환 닭의 생산 (Production of hTPO Transgenic Chickens using Tetracycline-Inducible Expression System)

  • 권모선;구본철;김도향;김민지;김태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7-186
    • /
    • 2009
  • 형질전환 동물에 있어서 외래 유전자의 조절되지 않은 과다 발현은 생리적인 부작용이나 독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래 유전자 발현 조절 system인 tetracycline-inducible expression system(Tet system)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Tet system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은 system 자체의 구성 요소로 인한 미미한 leaky 현상 때문에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완벽한 외래 유전자의 발현 조절 system을 구축하기 위하여 rtTA 대신 진일보한 형태의 $rtTA2^SM2$를 도입하고 TRE 부분을 TRE-tight로 대체하였다. 확립된 retrovirus vector system을 이용하여 다양한 표적세포와 형질전환 닭으로부터 혈소판 생산의 일차적인 조절자이며, 조혈간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human thrombopoietin(hTPO)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In vitro 상의 연구에서, CEF 세포에서 발현되는 hTPO가 가장 높은 발현량과 발현 유도율을 나타내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hTPO나 다른 표적세포에서 생산된 hTPO에 비해 생물학적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농도로 농축한 재조합 retrovirus를 stage X단계의 계란의 배반엽 층에 미세주입하여 대리 난각 방법으로 배양한 결과, 미세주입한 138개의 계란 중 21일 후에 15개의 계란에서 병아리가 부화하였으며, 그 중 8마리가 형질전환 개체로 확인되었다. 이 형질전환 닭은 사료 1 g 당 0.5 mg의 doxycycline을 첨가하여 2주간 식이하였으며, 그 후 혈액을 채취하여 hTPO 농도를 측정한 결과 200ng/mL로 확인되었다. 또한 형질전환 개체 중 수컷의 정자에서 hTPO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germLine transmission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사람의 cytokine 단백질의 대량생산을 위한 생체반응기로서의 형질전환 닭의 생산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상용화제의 첨가에 따른 PP/PCL 블렌드와 TPO/PCL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 모폴로지 및 유변학적 물성 (Effect of Compatibilizers on the Morphological,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P/PCL and TPO/PCL Blends)

  • 이윤균;김민수;김우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3호
    • /
    • pp.342-34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PP)과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를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PCL)과 각각 블렌드할 경우 상용화제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TPO는 PP(80 wt%), EPDM(15 wt%) 그리고 Talc(5 wt%) 로 구성된 혼합체이며, 상용화제로는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PP-g-MAH)와 maleic anhydride grafted styrene-(ethylene-co-butene)-styrene copolymer(SEBS-g-MAH)를 사용하였다. PP/PCL 그리고 TPO/PCL 각각의 블렌드에서, PP-g-MAH 를 상용화제로 첨가한 경우 인장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충격강도의 경우에는 rubber 를 포함하고 있는 SEBS-g-MAH를 상용화제로 사용하였을 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P/PCL 블렌드에 PP-g-MAH 상용화제를 첨가한 결과 PCL의 droplet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변물성 측정결과 상용화제 첨가에 따라 각각 블렌드에서 복합점도 변화가 작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상용화제가 블렌드의 상용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 용융점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요약하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 모폴로지 및 유변학적 물성 측정 결과 PP/PCL과 TPO/PCL 각각의 블렌드에서 PP-g-MAH 상용화제는 PCL droplet 크기를 감소시켜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SEBS-g-MAH 는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두상 갑상선암의 수술후 재발예측인자로서 혈청 Thyroid Peroxidase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Serum Thyroid Peroxidase as a New Tumor Marker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fter Thyroidectomy)

  • 장항석;나재웅;정웅윤;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6-51
    • /
    • 1999
  • Background: Total thyroidectomy and postoperative radiodiodine ablation therapy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s enhance the reliability of serum thyroglobulin(Tg) levels and radioiodine scan in detecting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is. There have been, however, some limitations in using these methods under certain conditions. Recently, several reports have indicated that thyroid peroxidase(TPO)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umor marker. We aimed to 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erum TPO levels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orty-eight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thyroidectomy due to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and who had been followed-up for at least 3 yea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27 patients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in group 1; and 20 patients with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is in group 2. All patients were examined by radioiodine scans. Serum Tg, TSH,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d TPO were measured and the relationshi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131}I$ scan, serum Tg, and serum TPO were evaluated. Results: Serum Tg levels were $3.81{\pm}5.16ng/mL$ in group 1 and $147.02{\pm}193.75ng/mL$ in group 2. Only 2 patients in group 1 showed Tg levels exceeding 10ng/mL. In contrast, 4 patients in group 2 were under 10ng/mL. Serum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d TSH level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group 1, 16 patients showed negative serum TPO results, and 4 patients in group 2 showed negative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among serum Tg levels, antithyroglobulin antibody titers, and serum TPO levels in each group. In group 2, 4 patients with negative serum Tg levels showed positive TPO results and positive whole body scans. Two cases with false negative $^{131}I$ scans showed positive serum TPO and Tg results. In 4 cases showing false negative serum TPO levels, serum Tg levels and $^{131}I$ scans were positive. Conclusion: Serum Tg levels, radioiodine scans, and serum TPO levels can be clinically used as complementary methods in the diagnosis of recurrent or metastatic thyroid carcinomas. Serum TPO levels may be helpful when other methods fail to detect recurrences or distant metastasis in highly suspected patients.

  • PDF

Relationship between Cell Size and Specific Thrombopoietin Productivity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during Dihydrofolate Reductase-mediated Gene Amplification

  • Kim, Tae-Kyung;Chung, Joo-Young;Sung, Yun-Hee;Lee, Gyun-Mi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5호
    • /
    • pp.332-336
    • /
    • 2001
  • When parental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 clones that are capable of producing thrombopoietin (TPO) were subjected to high methotrexate (MTX) concentrations, clonal variations in cell growth were apparent. In the clones that had no significant enhancement in specific TPO productivity (q$\_$Tpo/)when a higher level of MTX was administered, their growth was not depressed significantly nor their cell size chang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those clones that showed a significant-enhancement in q$\_$Tpo/ at higher a MTX dosage, cell growth was depressed initially but recovered during successive sub-cultures. Furthermore, their cell size increased, which suggested that changes in cell size may be indicative of an enhanced q$\_$Tpo/. When the enhancement of the q$\_$Tpo/ of 9 clones after a high MTX dosage was plotted against the extent of the increase of their size, there was a linear correlation (γ$^2$=0.80, p<0.001, ANOVA), which suggested that an enhancement of q$\_$Tpo/ after high MTX administration can be measured by the increase in their cell size. Taken together, our data demonstrate that the selection of amplified CHO cell clones with enhanced q$\_$Tpo/ can be done upon their increased size and growth pattern. This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highly productive recombinant CHO cell lines.

  • PDF

Expression of Human Thrombopoietin in Insect Cells by Polyhedrin-gp64 Dual Promoter-Based Baculovirus Vector System

  • Koh, Yeo-Wook;Park, Sang-Kyu;Kim, Kun-Soo;Kim, Seong-Ryong;Lee, Jeong-Kug;Yang, Jai-M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318-322
    • /
    • 1999
  • A new baculovirus transfer vector (pPGP404) was constructed to increase the expression level of human thrombopoietin (hTPO) in insect cells. In pPGP404, hTPO was cloned next to the AcNPV polyhedrin-gp64 dual promoter and the leader sequence of hTPO was substituted with that of gp64. A recombinant baculovirus, AcPGP404, was constructed by using pPGP404 as a transfer vector. hTPO was expressed in AcPGP404-infected TN5 cells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hTPO in TN5 cells increased three-fold ($6.0 {\mu}g/ml^{-1}$) compared to the level expr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polyhedrin single promo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lyhedrin-gp64 dual promoter system would be useful for expression in large quantities of recombinant proteins in insect cells.

  • PDF

2-(trimethylammonium)ethyl (R)-3-methoxy-3-oxo-2-stearamidopropyl phosphate enhances thrombopoietin-induced megakaryocytic differentiation and plateletogenesis

  • Kim, Jusong;Jin, Guanghai;Lee, Jisu;Lee, Kyeong;Bae, Yun Soo;Kim, Jaesang
    • BMB Reports
    • /
    • 제52권7호
    • /
    • pp.434-438
    • /
    • 2019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e effects of 2-(trimethylammonium)ethyl (R)-3-methoxy-3-oxo-2-stearamidopropyl phosphate [(R)-TEMOSPho], a synthetic phospholipid, on megakaryocytic differentiation of myeloid leukemia cells. Here, we demonstrate that (R)-TEMOSPho enhances megakaryopoiesis and plateletogenesis from primary hematopoietic stem cells (HSCs) induced by thrombopoietin (TPO). Specifically, we demonstrate at sub-saturation levels of TPO, the addition of (R)-TEMOSPho enhances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megakaryocytes (MKs) from murine HSCs derived from fetal liver. Furthermore, we show that production of platelets with (R)-TEMOSPho in combination with TPO is also more efficient than TPO alone and that platelets generated in vitro with these two agents are as functional as those from TPO alone. TPO can thus be partly replaced by or supplemented with (R)-TEMOSPho, and this in turn implies that (R)-TEMOSPho can be useful in efficient platelet production in vitro and potentially be a valuable option in designing cell-based therapy.

재조합 hTPO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위한 Retrovirus Vector System의 구축 (Construction of Retrovirus Vector System for the Regulation of Recombinant hTPO Gene Expression)

  • 권모선;구본철;김도향;김태완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61-16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외래 유전자의 지속적인 발현에 의한 형질 전환 개체나 세포의 생리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hTPO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tetracycline-inducible retrovirus vector system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kTPO 유전자는 사람의 간암세포인 HepG2에서 분리한 RNA를 주형으로 하여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확보하였으며, 이 유전자를 MLV 유래의 vector에 도입하여 pLNChTPOW를 재조합하였다. 재조합한 vector는 GP2 293 포장세포에 도입하여 바이러스를 생산하였으며 이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감염시킨 여러 표적세포에서 hTPO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hTPO의 발현을 유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hTPO를 one vector 형태의 Tet-On vector system에 도입하였으며, 발현의 유도 조건에서 보다 강한 발현을 위하여 WPRE서열을 여러 위치에 도입하였다. 구축한 Tet system의 발현 조절 정도는 각 바이러스를 감염시켜서 구축한 CEF와 PFF 세포에서 RT-PCR과 Western blot, 그리고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CEF에서는 WPRE 서열이 hPTO유전자의 3'에 위치한 경우에서, PFF에서는 WPRE가 rtTA의 3'에 위치한 경우의 vector system에서 가장 높은 발현율과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Tet system에서의 hTPO 유전자 발현 조절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세포주에 따른 의존적인 조절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hTPO의 대량 생산을 위한 생체 반응기로서의 형질 전환 동물의 개발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면 적절한 Tet system이 선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IJ850으로 제조한 거봉포도주에서 75 mg/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국내 거봉포도로부터 분리한 S. cerevesiae IJ850는 포도주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균주로써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8%)가 우점 계통군으로 분포하는 계통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DNA추출법에 따라 토양 세균군집 구조의 계통학적 특성 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 muenchen (57.3%)과 S. enteritidis (22.7%)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인수공통병원균 중에서는 L. monocytogenes(43.5%), C. jejuni(37.4%), S. aureus(30.4%)의 순서로 분리되었으나, E. coli O157:H7은 국내 계육에서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도계육이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시판되기 위해서는 최종적인 도계공정 이후 다양한 유통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교차 및 추가오염의 기회를 줄이기 위한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 대책과 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성적을 통하여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가정교과교육학 문항내용의 포괄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육과정 문항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 문서상에 표면적으로 제시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 다양한 교육과정 원리를 활용하는 문항내용 등과 같이 좀 더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수학습법 문항내용은 특정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교수학습법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에 관한

형질전환 생쥐에서 제10세대까지 TPO 유전자의 안정적 전이와 지속적인 발현 (Stable Transmission and Expression of TPO Transgene up to 10 Generation in the Transgenic Mice)

  • 정진우;오건봉;한용만;이경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4
    • /
    • 2003
  • 형질전환 동물의 유선에서 특이적으로 인간 TPO가 발현되도록 고안된 pBT-L 외래유전자가 삽입되어 한 계통으로 확립된 형질전환 생쥐에서 이 유전자가 장기 세대까지 안정적으로 전이되고, 또한 발현 수준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조사 하였다 이를 위해 제 5세대의 수컷 pBT-L 형질전환 생쥐를 실험에 공시하였고, 제 10세대까지의 전이율과 인간 TPO의 발현수준을 분석하였다. 제 8세대 생쥐의 계대 번식에 의한 자손 중 51.3$\pm$18.98%가 형질전환 생쥐로 판명되었다. 또한 제9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3.8$\pm$18.98%이었고, 제 10세대에서는 71.4$\pm$26.98%의 전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pBT-L 형질전환 생쥐는 그 외래유전자의 유전적 손상이 없이 장기 세대까지 안정적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 9세대외 10세대의 3마리의 암컷 형질전환 생쥐로 부터 유즙내 인간 TPO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때, 그 농도는 모두 평균 1.1 mg/ml의 수준에서 측정되었다. 이러한 수준은 제 2세대의 것과 유사한 결과로 pBT-L 형질전환 생쥐에서 인간 TPO 유전자의 발현은 최소한 10세대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더 긴 장기 세대까지도 발현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계통으로 확립된 형질전환동물에 부여된 새로운 유전형질은 장기 세대까지 유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