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B 이론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디지털 융복합 시대에 회계정보수업의 TPB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Accounting Information Classes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 이신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169-175
    • /
    • 2015
  • 융복합 학문이 중요시 되는 21세기에 교수학습방법도 이론 중심의 강의보다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이 높은 학습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 4년제 대학생 중 회계정보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회계정보수업에서 인식적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회계정보수업의 TPB 변수들은 인식적 참여에 있어서 본질적 호기심에 유의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기술의 활용학습이 회계정보수업에서 학습 태도, 인지된 행위통제, 주관적 기준이 높을수록 인식적 참여 중 본질적 호기심이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둘째, 회계정보수업의 TPB 변수 중 주관적 기준이 즐거움에 정(+)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TPB가 인식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심리상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회계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향후에는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인식적 참여에 대한 다양한 변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아이폰 이용자를 통해 본 스마트폰의 이용의도 예측모형 비교: 기술수용모형(TAM), 계획된 행동이론(TPB) 및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Comparison on Predictive Model of Intention to Use Smartphones through iPhone User: Centered on TAM, TPB & Integrated Model)

  • 주지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89-97
    • /
    • 2013
  • 한국사회에 아이폰이 소개된 이후 일어난 아이폰 열풍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받아들여졌고 이에 따라 모바일 업계나 연구자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아이폰 열풍 이후 한국사회는 스마트폰이 견인하는 소위 스마트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 소비자의 스마트폰 수용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력 높은 모형을 탐색 구축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TPB, TAM 및 통합모형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PB가 TAM 보다 높은 설명을 보였으며, 통합모형은 근소하지만 TPB보다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새로운 정보통신기기 연구에서 널리 차용되는 TAM 보다 사회적 영향력과 개인적 속성을 고려한 예측력 높은 모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적용을 통한 해양스포츠 체험 활성화 탐색 (Explore the Activation of Marine Sports Experience by Applying the Extended Planned Action Theory)

  • 김성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09-118
    • /
    • 2020
  •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 체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계획행동이론(TPB), '사전지식' 변수를 추가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의 상대적 유용성을 검증하고, '사전지식' 정도별 사람들의 계획행동이론의 구성변인들(태도, 주관적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재방문의도)의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S시에서 진행된 해양스포츠 체험 참여자 4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편향되거나, 불성실한 자료 35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85부의 설문지를 코딩하였다. 코딩한 자료는 SPSS 21.0 및 AMOS 21.0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였다.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개념신뢰도, AVE값,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계획행동이론(TPB)에서 세 개의 예측변인이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으로 '사전지식'을 추가하여 재방문의도를 네 개의 예측변인 중 지각된 행동통제를 제외한 태도, 주관적 규범, 사전 지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을 살펴보면 계획행동이론이 43.5%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51.8%(계획행동이론보다 8.3% 증가, p=.000)로 나타났다. 사전지식이 새로운 변인으로 추가될 때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전지식변수를 고, 저 집단으로 분류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구성 변수에 평균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Internet Banking A Comparison of Theoretical Models

  • 옥석재;손지현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3호
    • /
    • pp.81-103
    • /
    • 2007
  • 인터넷의 확산과 함께 금융 산업에서 인터넷뱅킹의 등장은 은행 산업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터넷뱅킹은 더 이상 단순한 정보시스템이 아닌 은행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국내 인터넷뱅킹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은행에서는 기존 인터넷뱅킹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인터넷뱅킹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전략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연구 분야에서 기술 수용에 대한 많은 연구들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던 계획적 행동 이론(TPB)과 기술 수용 모델(TAM)을 인터넷뱅킹 이용의도 분석에 적용시켜 인터넷뱅킹 이용 행위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인터넷뱅킹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TPB 모형과 TAM 모형을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인터넷뱅킹 이용의도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은행의 적극적인 인터넷뱅킹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에 따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여가행동의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Leisure Behavior Inten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Followed by TPB)

  • 오세숙
    • 한국웰니스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2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tential predictors of leisure behavior intention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 convenience sample of 369 participants was obtained from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America.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potential predictors of leisure behavior intention wer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categories: attitude, subject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group conformity and face saving.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ynamics of the TPB process that influenced leisure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o test the TPB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attitude, subject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fluenced to leisure behavior intention of both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and face saving influenced to leisure behavior inten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However, group conformity did not influence to leisure behavior intention of either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For future study, more specific and decomposed factors are recommended to understand leisure behavior intention in theoretical way.

과속운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적인 요인들 (Main Psych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Speeding)

  • 신용균;류준범;강수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5-94
    • /
    • 2006
  • 과속운전은 교통심리학에서 안전과 관련한 중요한 관심사이다. 사망사고와 관련하여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위반행동 중의 하나이며 성, 연령, 주행거리와 같은 운전자 변인들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러한 인구통계적 변인들은 운전자들이 과속운전을 하는 심리적 기제를 충분히 밝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 안전교육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인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중심으로 인구통계적 변인들을 통제하고도 과속운전 행동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 및 행동통제력 지각이 과속의도와 과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과속운전과 같은 운전행동은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습관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거행동이나 습관과 같은 변인들과 당위, 운전분노 및 충동성을 예측변인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TPB 변인들로 과속운전 의도와 행동의 예측이 유의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위와 운전분노를 제외하고 추가 변인들 모두 과속운전 의도와 행동의 설명변량 증분이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과속운전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의식 연구 : COVID 19 팬데믹 이후를 중심으로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use of mobile home training : Changes in fitness after Covid-19)

  • 김주원;김우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63-973
    • /
    • 2021
  •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 TPB)을 바탕으로 코로나-19 환경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과 참여의사 및 참여행동에 관하여 인과 관계(SEM)를 적용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을 탐색하고, 생활체육 종목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 1일 ~ 2021년 5월 1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모바일 프로그램인"서베이 몽키"를 사용하여 총 267명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결과 계획행동이론는 생활체육 참여의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PB는 생활체육 참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의사는 생활체육 참여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의 소셜 커머스 행동의 이해: 기술준비도, 기술수용모형 및 계획된 행동이론의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Korean College Students' Social Commerce Behavior through an Integrated Model of Technology Readines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주지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99-107
    • /
    • 2015
  • 새로운 정보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연구자와 실무자는 이 기술을 어떻게 보급할 것인가에 대해서 탐구하고 있다. e-커머스 분야에서 소셜 커머스는 최근에 나타나 현상으로, 소셜 커머스 현상을 이해하려는 많은 연구가 다양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술준비도(TR), 기술수용모형(TAM), 계획된 행동 이론(TPB)를 통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PLS 경로모형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TPB의 주관적 규범-의도 경로를 제외한 모든 가설적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 커머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기술의 수용을 이해하는데 통합모형이 유용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미래 연구를 위한 함의와 제안을 제시하였다.

정보보안 정책준수에 대한 메타분석: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종기;모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69-176
    • /
    • 2020
  •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보안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정보보안의 근본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조직 구성원이 따라야 하는 규정과 지침을 다루는 보안정책은 보안관리의 핵심적인 요소이며, 조직 구성원의 보안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며, 여러 문헌연구에 따르면 계획된 행동이론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다양한 연구결과를 정량적으로 종합하는 메타분석 기법 중의 하나인 TSSEM을 적용하여 정보보안 정책준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실증분석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세가지 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인지된 행동통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도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소비자의 핀테크 수용 모형의 탐색: 기술수용모형의 분해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Acceptance of Fintech Service in Korea: Focused on Decomposed TPB into TAM)

  • 주지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171-179
    • /
    • 2017
  • 이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 도입되고 있는 새로운 금융서비스인 핀테크의 확산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행동과 새로운 기술수용을 설명하는데 각각 자주 인용되고 있는 이론인 계획행동이론(TPB)과 기술수용모형(TAM)을 검토하여 이를 융합한 분해계획행동이론(DTPB, Decomposed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연구모형으로 제안하고 PLS 경로모형분석을 통해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TAM 경로 중 하나인 인지한 용이성-태도(PEOU-ATT)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고, 모형의 설명력은 57.3%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핀테크 확산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가 제안한 DTPB가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