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ACK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17초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들이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수업 실행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in Teaching Practice)

  • 나지연;장병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1호
    • /
    • pp.98-1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needs in the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The participants were nin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had practical training at an elementary school and took classes related to technology, pedagogy, and science knowledg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mi-constructed and in-depth interviews. The documents such as participants' guidance plans, daily records produced in teaching practice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Pre-service teachers have usually used the technology as a secondary transfer media to convey the knowledge. We found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15 difficulties in the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In addition, they needed a class to focus more on teaching them by integrating technology knowledge, pedagogy knowledge, and science knowledge, and by sharing a real case of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기하 수업에서 중등 수학교사가 경험한 공학도구 사용의 어려움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색 (An Exploratory Study with Grounded Theory o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Difficulties of Technology in Geometry Class)

  • 전수경;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387-407
    • /
    • 2014
  • 본 연구는 중등 수학교사들이 공학도구를 사용하는데 겪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Strauss & Corbin(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이용하였다. 2014년 1월 여덟 개 지역에서 실시된 공학도구 활용 연수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중등 수학교사 178명이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였고, 자료는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공학도구 사용에서 새로운 학습과 변화에 의한 저항을 경험하며, 공학도구에 관한 지식과 공학도구에 대한 인식이 상호작용하여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도구의 사용은 '접근-저항-비수용적 사용-수용'의 단계를 거치며, 공학도구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교사는 '접근불가, 수용거부, 사용중단, 수용'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학도구 사용의 어려움을 겪는 교사를 이해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교사교육에도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농촌 초등학교에서 디지털격차 해소를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quitable Access to Quality Technology Uses in a Low-Resourced Rural Elementary School)

  • 한승연;한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24-23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의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한 초등학교 1인 학급 환경에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이 학습의 향상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수업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인과 교사 1인이었으며 교사 및 학생 인터뷰와 교실 수업 관찰, 학생 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할 뿐 아니라 1인 학급 상황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존 도구의 창의적 활용과 다양한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활용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적응적 학습의 제공, 다른 지역 학생과의 협력학습, 교육과정의 재설계 등 학습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을 통해 디지털격차를 극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원과 예산 부족, 학생 수 경감에 따른 농촌 지역 학교의 위기에서 새로운 대안과 효과적 학습경험 제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