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경희(2009).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80-591.
|
2 |
Schmidt, D. A., Baran, E., Thompson, A. D., Mishra, P., Koehler, M. J. & Shin, T. S. (2009).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2(2), 123-149.
DOI
|
3 |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DOI
|
4 |
Solomon, G. & Schrum, L. (2007). Web 2.0: New tools, new schools. 엄우용, 최명숙, 박은실 역(2009). 웹 2.0과 교육.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
5 |
강훈식, 김은경, 최숙영, 노태희(2010). 교육실습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61-274.
|
6 |
강훈식, 유지연, 김경순, 이정순, 노태희(2009).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50-462.
|
7 |
교육과학기술부(2011).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8 |
교육부(2000).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 지침-해설서(교육과정 자료 2000.12). 서울: 교육부.
|
9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9). 서울: 교육부.
|
10 |
나지연, 송진웅(2014). 테크놀로지 도입에 대한 과학교육학 연구동향의 분석 및 과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내용지식(TPCK)을 위한 시사점. 교사교육연구, 53(3), 511-524.
|
11 |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
12 |
배성아, 안정희(2014).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393-417.
|
13 |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
14 |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
15 |
윤혜경, 심재규, 박승재(1997). 물리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육실습 과정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89-299.
|
16 |
임병노, 임정훈, 성은모(2013).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9(3), 459-489.
|
17 |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
18 |
최무영(2008).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서울: 책갈피.
|
19 |
Bergman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
20 |
Angeli, C. & Valanides, N. (2009).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conceptualizati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ICT-TPCK: Advances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Computers & Education, 52(1), 154-168.
DOI
|
21 |
Jimoyiannis, A. (2010).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integrated technological pedagogical science knowledge framework fo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uters & Education, 55, 1259-1269.
DOI
|
22 |
Koehler, M. J. & Mishra, P. (2008). Introducing TPCK. In AACTE Committee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Ed.), Handbook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for Educators (pp. 3-29). NY: Routledge.
|
23 |
McCrory, R. (2008). Science, technology, and teaching: The topic-specific challenges of TPCK in science. In AACTE Committee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Ed.), Handbook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for Educators (pp. 193-206). NY: Routledge.
|
24 |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 teachers'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 1017-1054.
DOI
|
25 |
Niess, M. L. (2009). Mathematics teacher TPACK standards and revising teacher preparation. From http://math.unipa.it/-grim/21_project/Niess445-449.pdf
|
26 |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010). Fre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Retrieved April 28, 2015, from http://www.p21.org/about-us/p21-framework.
|
27 |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