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LR3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4초

개똥쑥 추출물의 항여드름 효능확인 (Anti-acne Properties of Artemisia annua Extract In Vitro)

  • 유지영;노경백;오세영;정용택;박덕훈;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7-254
    • /
    • 2021
  • 여드름은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와 관련된 만성 염증 피부 질환으로, 여드름 병변에서는 피지 과다분비(hyperseborrhea)나 이상분비(dysseborrhea), 염증반응, 그리고 다른 피부상재균들에 비해 증가된 Cutibacterium acnes (C. acnes)로 인한 피부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이 관찰된다. 이 연구는 개똥쑥 추출물(Artemisia annua extract: AAE)의 항여드름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피부 미생물 균총의 균형유지와 관련된 항균효과와 염증반응의 억제, 과도한 피지 분비의 감소 측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C. acnes와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를 AAE와 공동배양 하였을 때, S. epidermidis의 성장률은 저해되지 않았지만 C. acnes의 성장률은 저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AE를 처리하여 배양한 C. acnes 배양배지를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터루킨-1β(IL-1β), 종양괴사인자-α(TNF-α)와 인터루킨-6(IL-6) 같은 사이토카인 분비의 감소와 TLR2 활성 억제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피지세포에 AAE를 처리한 결과, 팔미트산에 의해 유도된 피지형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은 AAE가 다양한 타깃을 지닌 천연추출물로써 여드름의 주요 원인들인 C. acnes의 선택적 성장저해와 C. acnes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과도한 피지형성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여드름을 완화시키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쑥부쟁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ster yomena in RAW 264.7 Macrophages)

  • 김성옥;정지숙;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77-985
    • /
    • 2019
  • 쑥부쟁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 쑥부쟁이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쑥부쟁이 잎 에탄올 추출물(EEAY)의 항산화 효능이 항염증 효능과 연관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EEAY는 $H_2O_2$ 처리에 의한 RAW 264.7 세포의 세포 독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이는 Nrf2 및 HO-1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EEAY는 $H_2O_2$에 의한 apoptosis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는 caspase-3의 활성 억제에 따른 PARP의 분해 차단과 연관성이 있었다. 그리고 EEAY는 대표적인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 및 생산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의 TLR-4 및 Myd88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아울러 EEAY는 LPS에 의한 염증성 매개인자인 NO의 생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EEAY에 의한 NO 생성의 억제 효과는 HO-1 유도제인 hemin에 의해 더욱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EEAY에 의한 산화적 및 염증성 스트레스에 대한 RAW 264.7 대식세포의 보호 효과에 최소한 Nrf2/HO-1 신호 경로의 활성화가 관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Effects of Vitamin C or E on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Heat Shock Protein 70 and Antioxidant Status in Broiler Chicks under Summer Conditions

  • Jang, In-Surk;Ko, Young-Hyun;Moon, Yang-Soo;Sohn, Sea-Hw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749-756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s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heat shock protein (HSP) and antioxidant status in broiler chicks under summer conditions. A total of 162, 3-d-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basal diet (CON) and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vitamin C (200 mg/kg diet, VCD) or vitamin E (100 mg/kg, VED) until 35 day of age. All birds were exposed to summer diurnal heat stress at average daily fluctuations of temperature between $32^{\circ}C$ to $34^{\circ}C$ at day to $27^{\circ}C$ to $29^{\circ}C$ at night for the entire feeding peri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feed to gain ratio and the relative organ weight except the thymus in response to dietary vitamin C or E supplementation. However, the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beta}$, IL-6, interferon (IFN)-${\gamma}$, Toll like receptor (TLR)-4 and HSP70 in the liver of birds fed diet containing vitamin C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birds fed basal diet. Dietary vitamin E also showed a significant (p<0.05) decrease in the mRNA expression of IL-6 and HSP70 compared with a basal diet.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in serum of birds fed vitamin C supplemented die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with than that in birds a basal diet. Lipid peroxidation in serum and liver resulted in a significant (p<0.05) decrease in response to dietary vitamin C or E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ntioxidant vitamins, especially vitamin C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HSP70, and higher antioxidant parameters than that of birds on the basal diet under summer conditions.

두부자세에 따른 두경부 근활성 및 교합접촉양태의 변화 (Effects of Head Posture on Resting EMG Activity of Craniocervical Muscles and on Occlusal Contacts)

  • Chang-Kweon Song;Kyung-Soo Han;Chan Ch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89-101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fluence of the changes of head posture on resting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in anterior temporalis, masseter,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rapezius, and on status of occlusal contacts. For this study twenty-nin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and thirty dental students without any masticatory symptoms were selected as patients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EMG activity($\mu$V) at rest was observed in four kind of head postures such as natural or normal head posture(NHP), forward head posture(FHP), upward head posture(UHP), downward head posture(DHP), and in NHP and FHP, EMG activity with flat occlusal splint was also checked. BioEMG$^\textregistered$(Bioelectromyograph, Bioresearch Inc., USA) was used to record EMG activity in the above four muscles with eight locations on both sides. The author used T-Scan$^\textregistered$(Tekscan Co., USA) system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oclusal contats on clenching in the four head postures about number, force, time(duration) and total left-right statistis(TLR, occlusal stability crossing left-right dental arch on clenching). For taking in upward or downward head posture, head was inclined $10^{\circ}$ upward or downward and CROM$^\textregistered$ (cervical-range-of motion, Performance attainment Inc., USA) was used to maintain same posture during the proced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For resting EMG activity, anterior temporali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y change of head posture, but masseter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showed higher value of EMG activity in FHP and UHP, and trapezius showed higher value of EMG activity in FHP and DHP. 2. EMG activity of trapezius wa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muscles in NHP, FHP, and DHP, but in UHP, the activity was the lowest reversely. 3. Patients group showed higher EMG activity than control group did in all the muscles in NHP.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lso observed in anterior temporalis in FHP,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in UHP, and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rapezius in DHP with higher activity in patients group. 4. There was no change of EMG activity in NHp with splint, but EMG activity in anterior temporalis and masseter was decreased in FHP with splint. 5. In general, status of occlusal contacts was not changed with head posture in all subjects, and difference between patients group and control group was only noted for number and force of tooth contact in UHP and DHP with more value in control group. 6. Correlationship between EMG activity and number ad force of tooth contacts was shown negatively with regard to masseter in NHP, and trapezius in UHP and DHP.

  • PDF

자어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사육 밀도에 따른 기형 발생과 스트레스 및 면역 유전자 발현 분석 (Effects of Rearing Density Stress on Malformation and Stress and Immune Related Gene Express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상현;박종원;정민환;정효선;김주란;김우진;이정호;이다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80-387
    • /
    • 2023
  • Stocking density is associated with Paralichthys olivaceus growth; thus, fish should be rapidly reared at high densities for commercial reasons. Studies have reported that high stocking density retards growth; however, few have investigated the malformations caused by stocking density stress. This study compared the growth and malformation rates of P. olivaceus at different densities and stress- and immune-related gene expression between malformed and normal fish. Forty days post-hatching, fish (total length, 1.49±0.02 cm) were reared at 800 (low density; LD), 1500 (medium density; MD), and 4000 (high density; HD) fish/m2, and the growth rate was measured weekly. On day 30, RNA was extracted from the kidneys, and the expression of stress-, immune-, and malformation-related genes was analyzed using qRT-PCR. The malformation rate in the HD groups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62%) than that in the LD and MD groups (approximately 20%), and growth was lower regarding length and weight. The stress-related (HSP70 and GPX) and immune-related (PIR and IgM) genes showed higher mRNA expression in the HD group and malformed fish than in the LD group and normal fish. However, TLR3 showed the opposite results. In summary, high stocking density suppressed growth and increased malformation risk in P. olivaceus.

다얼성 옥수수 연구 III. 분얼발생의 습성 및 형태 (The Maize with Multiple Ears and Tillers (MET) III. Developmental Habit and Morphology of the Tillers)

  • Choe, Bong-Bo;Lee, Hee-Bong;Lee, Won-Koo;Kang, Kwon-Kyoo;Jong, Seung-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29
    • /
    • 1989
  • 분얼하는 옥수수에서 분얼의 발생시기 발생부위, 개체당분얼수, 분얼각, 근계, 크기등에 대해 조사 보고된 바가 없기에 이들 특성을 알기 위해 국내 재래종에서 순계분리한 자식계통 및 교잡종을 중심으로 1987년과 2988년에 포장조사한 것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일차분 시기는 충남의 유성에서 5월 11일경 파종시 주경의 제일본엽이 지하에 출현후 18일 내지 20일이었고, 제일차분얼은 일차분얼이 있은 후 4~5일 후였다. 자식계통들 사이와 교잡종들 사이에는 분얼의 발생시기에 큰 차이가 없었고 교잡종 자식계통보다 2일 정도 빨랐다. 2. 분얼들의 발생부위는 거의 모든 시험계통들이 주경의 지하절에서 였다.(예외 : Tlr 계통) 3. 개체당 분얼수는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계통 및 교잡종에 따라 달랐다. IK나 IRI같은 자식계토은 개체당 분얼수가 2~3개로 정해졌으나 왜성과 같은 계통은 5내지 10개가 되기도 하였다. (IK$\times$IRI)F$_1$은 3~4개였다. 4. 주경과 분얼이 가지는 분얼각도 유전적 특성으로 대략 3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1군은 분얼각이 없거나 매우 적은 것, 2군은 분얼각이 45$^{\circ}$정도 되는 것, 3군은 분얼각이 45$^{\circ}$이하되는 것들이다. 5. 분얼의 크기(길이, 직경)는 유효경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데 대부분 재래종 계통이나 이들로 만들어진 교잡종은 60cm$\times$30cm의 재식밀도하에서 유효경 비율이 90% 이상되었다. 6. 분얼의 크기(길이, 직경)는 유효 경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데 대부분 재래종 계통이나 이들로 만들어진 교잡종은 60cm$\times$30cm의 재식밀도하에서 유효경 비율이 90% 이상되었다.^{\circ}C$처리기간중에는 근의 부위에 관계없이 Rf치가 낮은 쪽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높은 쪽에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인삼근에 있어서 신아의 휴면타파 및 맹아는 ABA와는 별로 관계가 없고 온도숙건에 지배되어 나타나는 GA의 생합성 능력과 그 생합성에 의한 활성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0.2045, 0.1208, 0.2248로 추정되었다. 산란율과 난중과의 관계는 0.6233, -0.2259, 0.2973, 500일영 체중과는 0.2417, 0.0774, - 0.4787로 추정되었다. 산란지수와 난중과의 관계는 0.6171, -0.2706, 0.4579,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 0.3082, -0.0792, -0.3368로 추정하였다. 난중과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는 0.2742, 0.2205, 0.1354로 추정되었다.)에서 47.4%의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고 다음 성계(1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18) 인건비가 생산비의 15∼20%의 비율이며 또한 사람 구득난이라 가족노동을 최대한 활용, 관리를 하고 있으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자동화되어 가고 있었다. 애정과 정성심있는 관리로 닭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가족관이, 기계자동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19) 시설기구와 육성상각비를 줄이기 위해 관리자의 변동이 없고, 종신직장으로서 긍지와

  • PDF

미세먼지(PM2.5)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 잎의 in vitro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against PM2.5-induced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cells in vitro)

  • 김민지;강진용;박선경;김종민;문종현;김길한;이효림;정혜린;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23-43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두충 잎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PM2.5)로 유도한 in vitro 뇌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EFEL은 우수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지질과산화물 억제활성에서 양성대조군인 catechin과 동일한 농도에서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EFEL은 미세먼지로 유도된 해마세포(HT22), 뇌신경세포(MC-IXC) 및 미세아교세포(BV-2) 내의 ROS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었으며, 세포 생존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미세먼지로 활성화된 BV-2에서 EFEL은 세포 활성화와 관련된 세포막 수용체인 TLR4와 p-JNK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caspase-3 활성화 전 단계인 procaspase-3와 세포 생존 경로에 관여하는 p-Akt 발현의 증가된 수준을 나타냈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써 증가된 TNF-α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EFEL의 생리활성 물질을 HPLC로 분석한 결과, rutin과 chlorogenic acid가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두충 잎의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우수한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미세먼지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사멸 및 염증반응을 조절하여 뇌 신경세포를 보호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EFEL은 미세먼지로 유도된 염증성 뇌신경세포 관련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