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LD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7초

PC를 이용한 TLD 판독장치의 제작과 특성조사 (Construction of the TLD Readout System Using the Personal Computer and Its Characteristics)

  • 우홍;강희동;김도성
    • 센서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342-349
    • /
    • 1998
  • 방사선 선량판독과 함께 열형광 현상의 연구가 가능한 다목적 TLD 판독장치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TLD에서 방출되는 열형광은 광전증배관과 전류-주파수 변환장치로 측정하였으며, 백금 열판을 사용하여 TLD를 가열하고 가온율을 선형적으로 변화시켰다. 개인용 컴퓨터와 interface board를 이용하여 전 장치를 제어하고 glow 곡선을 측정하였으며, 제어 소프트웨어로 자동이득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 제작한 TLD 판독장치는 선형적인 선량판독이 가능하였고 검출하한은 약 $10\;{\mu}Gy$였다.

  • PDF

The efficiency and robustness of a uni-directional tuned liquid damper and modelling with an equivalent TMD

  • Tait, M.J.;Isyumov, N.;El Damatty, A.A.
    • Wind and Structures
    • /
    • 제7권4호
    • /
    • pp.235-250
    • /
    • 2004
  • The current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program conducted on a structure fitted with a liquid damper (TLD) and subjected to harmonic excitation. Screens were placed inside the TLD to achieve the required inherent damping.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reduced scale models of the building-TLD systems were tested under two levels of excitation. The efficiency of the damper was assessed by evaluating the effective damping provided to the structure and comparing it to the optimum effective damping value, provided by a linear tuned mass damper (TMD). An extensive parametric study was then conducted for one of the three models by varying both the excitation amplitude and the tuning ratio, defined as the ratio of the TLD sloshing frequency to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The effectiveness and robustness of a TLD with screens were assessed. Results indicate that the TLD can be tuned to achieve a robust performance and that its efficiency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vel of excitation. Finally, the equivalent amplitude dependent TMD model, developed in the companion paper is validated using the system test results.

252Cf 중성자장에서 열형광선량계(TLD)를 이용한 중성자 방사선량 측정 (Neutron Dose Measurements Using TLDs in a 252Cf Neutron Field)

  • 장인수;김상인;이정일;김장렬;김봉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8권1호
    • /
    • pp.37-43
    • /
    • 2013
  • TLD를 이용하여 중성자 선량을 측정할 경우, TLD는 중성자 에너지에 대한 반응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현장 중성자장의 스펙트럼 특성에 맞는 에너지 반응도 보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실험에는 소형으로 가공된 TLD 소자를 사용하여 $^{252}Cf$ 중성자장에 설치된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좁은 Long-Counter (중성자 검출기) 내외부에서의 중성자 주위선량당량(ambient dose equivalent)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입자수송해석코드(MCNPX)를 이용한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TLD 교정 선원인 $D_2O$ 감속 $^{252}Cf$만으로 교정하여 판독한 결과값은 전산모사 계산값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bare 및 $D_2O$ 감속 $^{252}Cf$ 선원을 사용하여 생산한 두 교정인자를 혼용한 판독값은 계산값과 비슷하였다. 결과적으로, TLD 소자는 사용 현장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는 중성자장에서 교정되어야지만 올바른 선량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DAP(Dose Area Product)를 이용한 TLD와 PLD의 선량 측정 비교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TLD and PLD by Dose Area Product)

  • 최재호;강구준;장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44-250
    • /
    • 2012
  • 본 연구는 현재 법령 개인선량계인 PLD와 TLD의 선량 분석을 통해 성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동판독장치를 이용해 PLD와 TLD의 적산선량을 판독 후 선량 교정 과정을 거친 두 소자의 값은 70kVp, 200mA, 0.012sec와 42kVp, 100mA, 0.012sec의 각각의 촬영조건에서 TLD는 PLD 측정 시와 통계적 차이를 나타냈다(각각 p<0.001, p<0.001). DAP와 두 소자의 측정값 차이는 70kVp, 200mA, 0.012sec 촬영조건에서 TLD는 DAP 평균값보다 $44.2mGy{\cdot}cm^2$이 낮은 값이 나타났고, PLD는 DAP 평균값에 $15.5mGy{\cdot}cm^2$이 낮은 $246.8mGy{\cdot}cm^2$으로 나타났다. 42kVp, 100mA, 0.012sec 촬영조건에서는 TLD는 DAP 평균 값의 $17.9mGy{\cdot}cm^2$이 낮은 값을 보였으며, PLD는 DAP 평균값에 $7.6mGy{\cdot}cm^2$이 낮은 $82.6mGy{\cdot}cm^2$으로 나타나 PLD가 DAP에 더 근접한 값을 보였다. 또한 PLD에 비해 TLD는 10개의 각 소자마다 측정된 선량 값에서 소자 상호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1개의 소자를 반복 측정한 재현성 실험에서 PLD는 ${\pm}1%$ 이내로 TLD ${\pm}2%$ 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PLD가 TLD에 비해 선량 측정 능력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고, 진단용 방사선영역에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개인피폭 관리에 PLD가 더욱 적합하고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단방사선의 노출 조건에 따른 열형광선량계와 광자극형광 선량계의 선량값 상대비 (Relative ratio about dose value of thermoluminescence and optical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according to exposed condition in diagnostic radiation)

  • 강영한;권순무;김부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499-505
    • /
    • 2012
  • 개인피폭선량계인 열형광선량계(TLD)와 광자극형광선량계(OSLD)를 진단방사선 영역에서 사용할 때 에너지와 조사 횟수, 투시촬영 시간, 산란선 노출 일 수 등에 따라 측정값이 차이가 있는지를 상대비와 상대비 간격으로 알아보았다. 에너지에 따라서는 TLD의 상대비($1.81{\pm}0.41$)가 OSLD의 상대비($1.40{\pm}0.26$)보다 높았고, 조사 횟수에 따라서는 TLD의 상대비($2.10{\pm}0.10$,)보다 OSLD의 상대비($2.33{\pm}0.09$)가 더 높았다. 투시촬영 시간에 따른 상대비와 산란선 노출일수에 따른 상대비는 두 선량계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산란선 노출일수에 따른 상대비의 간격이 0.2 이내로 나타나 직접선의 상대비 간격보다 좁았다. 이는 직접선의 측정결과보다 산란선의 측정에 있어 TLD와 OSLD의 결과값에 신뢰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피폭상황에 따라 선량계 간에 상대비가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선량계를 이용하여 교차평가를 함으로써 선량 측정 결과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Use of TLD and MTLD for Control of Wind-Induced Vibration of Tall Buildings

  • Kim, Young-Moon;You, Ki-Pyo;Ko, Nag-Ho;Yoon, Sung-Won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9호
    • /
    • pp.1346-1354
    • /
    • 2006
  • Excessive acceleration experienced at the top floors in a building during wind storms affect the serviceability of the building with respect to occupant comfort and discomfort. Tuned liquid damper (TLD) and multiple tuned liquid damper (MTLD), which are passive control devices consisting of a rigid tank filled with liquid, are used to suppress vibration of structures. These TLD and MTLD offer several potential advantages-low costs, easy installation in existing structures and effectiveness even for small-amplitude vibrations. This study carries out a theoretical estimation of the most effective damping ratios that can be achieved by TLD and MTLD. Damping by TLD an MTLD reduced the frequency response of high-rise buildings by approximately 40% in urban and suburban areas.

1 개의 TLD 를 이용한 건물의 양방향 진동제어 (Bi-directional response control of a building using one TLD)

  • 민경원;이성경;박은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119-124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tuned liquid column sloshing damper(TLCSD) and presents experimental results to evaluate its control performance. The proposed damper acts as a tuned liquid column damper(TLCD) and a tuned liquid damper(TLD), respectively, in both principal axes of building structures. Shaking table test was performed to grasp its dynamic characteristics. Testing results showed that under inclined incident excitations, a TLCSD used in this study have dynamic characteristics coupled by both TLCD and TLD.

  • PDF

TLD와 MTLD을 이용한 고층건물의 풍응답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 of Wind Response of Tall Building Using TLD and MTLD)

  • 유기표;고낙호;김영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73-80
    • /
    • 2005
  • Serviceability of buildings is affect by excessive acceleration experienced at the top floors in wind storms tha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occupants. Tuned liquid damper(TLD) and multiple tuned liquid damper(MTLD) are passive control devices that consists of rigid tank filled with liquid to suppress the vibration of structures. This TLD and MTLD are attributable to several potential advantages - low costs; easy to install in existing structures; effective even for small-amplitude vibrations. In this paper, the behavior of TLD and MTLD are investigated analytically and wind tunnel test of high-frequency force balance.

  • PDF

$Mg_2SiO_4$:Tb(MSO-S) TLD의 광감수성과 방향의존성 (The Light Sensitivity and Angular Dependence of the $Mg_2SiO_4$:Tb(MSO-S) TLD)

  • 김도성;박명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59-63
    • /
    • 1998
  • $Mg_2SiO_4$:Tb(MSO-S) TLD의 사용에서 부정확한 선량평가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광감수성과 방향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200 lux의 형광등과 백열등 하에서 8시간씩 노출한 경우 각각 약 11 mR과 3 mR의 조사선량에 해당하는 광감수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수직입사($0^{\circ}$)에 대한 ${\pm}80^{\circ}$ 의 각도로 입사하는 경우의 열형광강도 비가 MSO-S는 약 0.8, badge형의 MSO-L은 약 0.15로서 방향의존성이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raffic Light Detection (TLD) as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for Elderly Drivers

  • Roslan, Zhafri Hariz;Cho, Myeon-g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2호
    • /
    • pp.24-29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traffic light detection (TLD) method as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for elderly drivers. Since an increase in traffic accidents is associated with the aging population and an increase in elderly drivers causes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provision of ADAS for older drivers via TLD is becoming a necessary(Ed: verify word choice: necessary?) public service. Therefore, we propose an economical TLD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black box (built in camera) and a smartphone in the near future. The system utilizes a color pre-processing metho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stop and go signals. A mathematical morphology algorithm is used to further enhance the traffic light detection and a circular Hough transform is utilized to detect the traffic light correctly. From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computer vision and image processing based on a proposed algorithm on Matlab, we found that the proposed TLD method can detect the stop and go signals from the traffic lights not only in daytime, but also at nigh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 rate by recognizing the traffic signal and informing the elderly of how to drive by vo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