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L Curv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3초

방사선 조사된 터머릭의 혼합비율에 따른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및 Thermoluminescence 분석 특성 (Detection of Different Ratios of Gamma-irradiated Turmeric by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and Thermoluminescence)

  • 이지애;정형욱;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48-652
    • /
    • 2010
  • 방사선 조사된 터머릭의 혼합비율에 따른 조사여부 확인을 위하여 물리적 방법(PSL, TL)을 이용하여 검지특성을 분석하였다. PSL 분석 결과, 비 조사시료와 조사시료의 PCs값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방사선 조사여부를 판별할 수 있었으며, 방사선 조사된 원료를 함유한 혼합시료는 1과 10 kGy 조사시료를 0.7% 이상 혼합하였을 때 intermediate 또는 positive의 결과를 나타내어 TL 확인시험으로 조사여부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료의 TL분석 결과, 방사선 조사되지 않은 시료는 자연방사선에 의해서 $300^{\circ}C$ 부근에서 최고 peak를 가지는 glow curve를 나타낸 반면, 1과 10 kGy 조사구에서는 $150-250^{\circ}C$의 부근에서 특유의 glow curve를 나타내었다. TL ratio의 산출 결과 비 조사시료에서는 0.001보다 작은 값을, 조사시료에서는 0.355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어 이미 설정한 TL ratio 기준에 따라 조사여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혼합시료의 TL 특성은 glow curve의 온도범위는 조사시료와 동일하게 나타나지만, glow curve의 형태와 intensity는 다소차이를 보였다. 조사시료를 2% 혼합하였을 때 1 kGy 시료는 비조사구의 glow curve를 나타낸 반면 10 kGy 시료에서는 조사구 특유의 glow curve를 나타냈다. 그리고 4% 이상 혼합하였을 때에는 1과 10 kGy 시료에서 모두 조사구의 glow curve를 나타내었다. 방사선 조사된 혼합시료의 TL ratio는 0.1 이하의 threshold value를 나타내어 방사선 조사된 혼합시료는 TL glow curve 형태와 온도범위로서 방사선 조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rmoluminescence(TL)를 이용한 농산물의 방사선 조사유무 확인 (Detection of Irradiated Agricultural Products by Thermoluminescence(TL))

  • 우시호;이상덕;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25-530
    • /
    • 2000
  • 국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방사선 조사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TL을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의 first glow curve는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TL intensity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당근, 생강, 감자, 고구마의 상관계수는 0.8522, 0.9968, 0.9612, 0.9071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first glow curve의 최대발광온도점은 $176.16{\sim}190.08^{\circ}C$사이에 있었고, second glow curve는 $143.84{\sim}146.56^{\circ}C$ 사이에서 나타났다. Glow curve ratio 1은 감자와 고구마를 제외하고 모두 0.1보다 작은 수치를 보여 비조사시료로 확인되었으며, 감자(0.1840)와 고구마(0.1655)는 0.1보다 큰 수치를 보였으나 독특한 first glow curve가 나타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비조사시료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모든 시료의 glow curve ratio 2는 0.7159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조사시료로 확인되었다. Glow curve의 모양을 분석한 결과 second glow curve의 모양이 first glow curve의 유사하였고, 더 낮은 온도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glow curve ratio와 glow curve의 모양에 의해 정확하게 조사유무를 확인할 수 있었고 TL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된 농산물의 검지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광자극발광법과 열발광법을 이용한 국내 방사선 조사 허용 외 식품에 대한 실태 조사 (Monitoring on the Foods not Approved for Irradiation in Korea by PSL and TL Detection Method)

  • 조준일;이지애;이순호;황인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3-78
    • /
    • 2010
  • 영 유아용이유식, 견과류, 조미건어포류, 천연향신료, 건조과실류, 과 채가공품, 곡류가공품, 수산물가공품 등 국내 방사선 조사가 허용되지 않은 8품목에 대하여 PSL과 TL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 325건의 식품을 대상으로 방사선 조사여부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가 수행된 천연향신료, 과 채가공품 및 수산물가공품을 제외한 5개의 식품군에 대하여 PSL과 TL 시험법 적용 가능성 검토 결과, PSL의 경우 비조사구는 모두 700 count보다 낮아 음성 시료로 나타났고 1 kGy로 조사 시 중간 및 양성 시료로 확인되었다. TL 분석결과 비조사구는 모두 자연방사선에 의해서 $300^{\circ}C$ 부근에서 peak를 가지는 비 특이적 glow curve를 나타냈고 TL ratio는 0.1보다 낮게 나타나 음성 시료로 확인되었다. 1 kGy로 조사 시 TL ratio는 영 유아용이유식을 제외하고 모든 시료에서 0.1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150{\sim}250^{\circ}C$ 사이에서 peak가 나타나는 특이적 glow curve를 보여 확인 시험법으로 적용 가능하였다. 또한 영 유아용이유식은 2가지 이상의 원료가 혼합되어있어 TL ratio가 비록 0.1 이하지만 $150{\sim}250^{\circ}C$ 사이에서 peak가 나타나는 특이적 glow curve를 통해 조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방사선 조사 허용 외 식품 8품목에 대하여 PSL과 TL 시험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한 후 325건의 식품에 대하여 실태조사 결과, PSL 경우 15건에서 중간시료가 나타났으나 TL 분석 시 TL ratio가 0.1 이상이거나, $150{\sim}250^{\circ}C$ 부근에서 최대강도를 보이는 glow curve를 나타내는 양성시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L, ESR및 DNA Comet분석에 의한 원산지별 땅콩의 방사선 조사 검지 특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L, ESR and DNA Comet for Irradiated Peanuts by Origins)

  • 이은영;정재영;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76-1081
    • /
    • 2001
  • 현재 중국으로부터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는 땅콩을 대상으로 국산과 중국산 시료의 TL, ESR, DNA comet(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분석을 실시하여 원산지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Density separation 방법으로 추출한 미네랄의 TL측정 결과, 감마선 조사되지 않은 시료는 25$0^{\circ}C$ 부근에서 intensity가 낮은 glow curve를 나타내었고, 조사 시료는 18$0^{\circ}C$ 부근에서 아주 강한 intensity의 glow curve를 보여주었다. 첫 번째 측정된 glow curve(TL$_1$)의 normalization을 위하여 재조사 방법에 의해 TL$_2$를 측정하여 TL ratio(TL$_1$/TL$_2$)를 비교해 본 결과, 비조사 시료는 0.05 이하, 조사 시료는 0.2이상으로 방사선 조사 여부의 판별이 가능하였다. 땅콩껍질을 사용한 ESR 측정에서는 조사 유래의 특이적인 signal이 나타나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낮았다. DNA comet assay 결과, 비조사 시료는 tail이 없거나 아주 짧은 전형적인 intact cell을 나타낸 반면, 조사 시료는 long tail을 가진 comet을 나타내면서 선량 의존적으로 (r=0.761/Korean, r=0.768/Chinese) tail length가 증가하여 조사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원산지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땅콩의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에는 TL 분석 및 DNA comet assay가 적용 가능하였다.

  • PDF

Thermoluminescence (TL) of Minerals Separated from Irradiated Mussel

  • Yi, Sang-Duk;Oh, Man-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7-21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detection of minerals separated from irradiated mussel could be could be done by thermoluminescence (TL) method. After the minerals were separated by sodium polytungstate solution (2.0 g/mL) from irradiated mussel, organic compounds remaining in the minerals were removed by acid-base treatment and dried at 50℃ overnight, and then the minerals were measured through TL. The TL intensities of separated minerals at different irradiation doses during storage conditions of room and darkroom were obtained. TL intensity of first glow curves for minerals separated from irradiated mussel showed linear increase from the control to 5 kGy and slight increase from 5 kGy to 10 kGy. Since glow curve ratios of G2, G3 and G4, calculated from re-irradiated minerals measured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and after storage of three months were over 0.5, detection of irradiation was possible. G1, which showed the glow curve ratios above 0.1, was classified as non-irradiated samples because the unique first glow curve was not found within the recommended temperature interval (150-230℃). Hence, on the basis of TL intensity, and glow curve ratio and shape, it is possible to correctly identify irradaited mussels after mineral separation during storage.

불순물 $MgCl_2$를 첨가한 LiF 분말의 열형광 (Thermoluminescence of $MgCl_2$-Activated LiF Powder)

  • 이계철;이상수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4호
    • /
    • pp.269-272
    • /
    • 1970
  • 순도 99.98%의 LiF 분말에서 열형광을 검출하였으며 이 때 glow curve의 Peak는 12$0^{\circ}C$, 22$0^{\circ}C$ 및 30$0^{\circ}C$에 있다. 이 LiF 분말에 중량비로 2%(mol 비로 4%)의 MgC1$_2$를 첨가하여 소결시킨 LiF 분말은 비약적으로 강한 열형광을 발휘하였으며 그 flow curve의 특성이 상세하게 조사되었다. 열형광선량계로서 이용되고 있는 LiF는 Mg, Mn 등의 불순물에 의한 전자 trap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 실험결과는 이들 불순물중의 하나인 Mg가 확실히 LiF의 결정내에 확신된 것을 시사한다. 소결시간의 효과를 glow curve에서 명확하게 검출하였고 또한 원료인 MgC1$_2$도 열형광을 발휘한다는 것이 이 glow curve를 얻음으로써 확인되었다.

  • PDF

Observation of Several Detection Factors Derived from Thermoluminescence of Mineral Separated from Irradiated Korean Sesame and Perilla Seeds Stored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Oh, Man-Jin;Yi, Sang-Duk;Yang, Jae-Se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88-19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changes in several detection factors derived from thermoluminescence (TL) of minerals separated from irradiated Korean perilla and sesame seeds during storage under normal room and darkroom conditions. The TL intensities of the first glow curves increased from 0 to 5 kGy but only slightly increase from 5 to 10 kGy. Maximum TL temperatures of the first glow curves in all irradiated samples were around 20$0^{\circ}C$, ranging from 150 to 25$0^{\circ}C$. Since the control (0 day of storage) glow curve ratios of G3 and G4, calculated from re-irradiated (1 kGy) sample were over 0.5, detection of irradiation was possible. However, because Gl ratios were below 0.1, they were classified as non-irradiated. There was n unique first glow curve shape that could be clearly seen in all irradiated samples, regardless of storage conditions, that was never seen in non-irradiated samples. In all samples, the maximum TL temperatures and shape of the second glow curve was in a lower temperature range than that of the first glow curve. Therefore, detection of irradiated Korean perilla and sesame seeds was possible fur up to 3 months after irradiation, regardless of storage conditions, by examining several TL detection factors; including TL intensity, glow curve ratios maximum TL temperatures, and the shapes of glow curves.

Changes in Thermoluminescence of Mineral Separated from Irradiated Shellfish under Various Storage Conditions

  • Yi, Sang-Duk;Yang, Jae-Se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1호
    • /
    • pp.23-28
    • /
    • 2001
  • A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detection method of irradiated shellfish through thermoluminescence (TL). The TL intensity of first glow curves for irradiated bloody, freshwater, and short-neck shellfish increased from control until 5 kGy and increased slightly room 5 kGy until 10 kGy. Maximum TL temperatures of all irradiated samples tested were below 23$0^{\circ}C$, within temperature interval of 150~25$0^{\circ}C$ recommended for evaluation. Since just in control, glow curve ratios of G3 and G4 calculated from re-irradiated (1 kGy) bloody, freshwater and shortneck were over 0.5, detection in control was possible. However, as glow curve ratios after three months were below 0.5, detection by glow curve ratios after three months was impossible. Gl, which calculated from unirradiated samples, exhibited below 0.1, they were classified as unirradiated. In all samples, all the irradiated shellfish could be classified correctly as irradiated by hemaximum TL temperatures and shape of the second glow curve because those were shown in a lower temperature region than those of the first glow curve.

  • PDF

전자선 조사 처리한 마늘분말 첨가 불고기소스의 혼합비와 살균처리에 따른 열발광 판별특성: 실험실 교차 검증시험 (Identification of Bulgogi Sauce Added with Low Quantity of Electron Beam-Irradiated Garlic Powders by Thermoluminescence Analysis: An Inter-Laboratory Study)

  • 안재준;이정은;백지영;정일윤;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57-1863
    • /
    • 2013
  • 전자선 조사된 마늘분말을 혼합하여 불고기소스를 제조한 후 살균처리($85^{\circ}C$, 30 min)와 혼합비(1, 3, 5%)에 따른 열발광(thermoluminescence, TL)특성을 서로 다른 연구기관에서 확인하였다. 비 조사 마늘분말이 혼합된 소스의 TL 발광곡선은 자연방사선에 의해 $300^{\circ}C$ 이후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원료(1 kGy, 10 kGy)가 혼합된 소스의 경우 $150{\sim}250^{\circ}C$에서 나타났으며, 원료의 혼합량 및 조사선량이 낮을수록 발광곡선의 강도는 감소하였다. TL ratio($TL_1/TL_2$)는 조사 원료가 혼합된 시료구에서도 모두 0.1 이하로 나타나 조사여부 판정은 어려웠으며, 살균 처리 후에는 발광강도는 감소하고 발광온도범위는 고온영역으로 이동하여 낮은 혼합시료(1 kGy 조사 마늘분말, 1%)에서는 판별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원료가 소량 혼입된 가공식품의 판별 시에는 TL 발광곡선의 형태와 최대 발광온도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사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방사선 조사된 현미, 대두 및 참깨의 저장기간에 따른 방사선 조사여부의 이화학적 판별 특성 (Physicochemical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Brown Rice, Soybean and Sesame Seeds during Storage)

  • 이정은;안재준;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46
    • /
    • 2012
  • 현미, 대두 및 참깨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1, 4, 7 kGy)에 따른 판별특성을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thermoluminescence (TL) 및 hydrocarbon 분석에 의해 확인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마커안정성을 관찰하였다. PSL 분석결과, 비조사구에서는 시료 모두 700 이하의 photon counts 값을 나타내었고, 조사된 대두 및 참깨는 5,000 PCs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설정된 negative (700) 및 positive (5,000) 기준에 맞게 비조사구와 조사구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PSL 값은 감소하였으나, 대두는 6개월, 참깨는 12개월까지도 조사여부 스크리닝이 가능하였다. TL 분석결과, 0.5 kGy 이상으로 조사된 세 시료 모두 $150^{\circ}C$ 전후에서 TL glow curve ($TL_1$)을 나타내었고, 12개월 저장 후에도 발광강도만 감소하였을뿐 glow curve의 온도범위는 거의 변화가 없이 조사여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glow curve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TL ratio ($TL_1/TL_2$)를 축정한 결과, 비 조사구는 0.1 이하, 조사구는 0.1 이상을 내타내어 측정값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Hydrocarbon 분석에서는 oleic acid와 linoleic acid로부터 유도된 $C_{16:1}$, $C_{16:2}$,$C_{16:3}$, $C_{17:1}$, $C_{17:2}$ 생성이 확인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선량에 따라 생성된 hydrocarbon류는 0.5 kGy 이상 조사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저장 1년 후에도 조사여부 판별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