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KA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합병증이 병발된 슬관절 치환술에 시행한 관절경술의 효용성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y in Complicated Knee Arthroplasty)

  • 김경태;이송;고동오;김관수;김태우;박순열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5
    • /
    • 2009
  • 목적: 슬관절 치환술 후에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 관절경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5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후 합병증으로 인하여 관절경적 치료를 받았던 25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5예 중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았던 경우가 19예,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았던 예가 6예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을 시행하기 전에 합병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이학적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관절액 천자 및 혈액학적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과: 관절경술 시행 시 진단으로는 전치환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감염 11예, 관절의 유착 및 섬유화로 인한 운동 제한 6예, 연부 조직의 충돌 2예 등이 있었으며,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반월상 연골 파열, 유동성 치환물의 아탈구, 혈관절증, 관절 내 시멘트 유리체, 연부 조직 충돌 및 슬관절 강직으로 인한 운동 제한이 각각 1예 씩 총 6예가 있었다. 감염이 있던 11예 중 9예에서 관절경술만으로 치료가 되었고, 관절 강직이 있던 7예는 평균 슬관절 운동 범위가 술 전 $65^{\circ}$에서 최종 추시 시 $105^{\circ}$로 향상 되었으며, 나머지 예에서도 관절경술로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보였다. 결론: 슬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로 시행한 관절경술은 적절한 환자의 선택 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불안정 지면에서 복합 균형 운동이 무릎 전치환술 환자의 기능적 능력과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lex balance exercise on unstable surfaces on functional ability and daily living ability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 임수기;유원종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88-97
    • /
    • 2021
  • Purpose: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TKA) have impaired balance and movement control. Exercise interventions have not targeted these impairments in this popul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lex balance exercises on unstable ground, on the gait, balance, and daily living ability of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0 patients placed into two groups of 15 each: a experimental group (complex balance exercise) and a control group (physical therapy exercise). Both group exercise was applied for 3 times a week for 30 minutes for four weeks. Force plate for balance ability and Timed up and go (TUG) test were the primary outcome measures. The secondary outcome measures included 10-m walk test (10MWT) and the daily living ability using the Knee Outcome Survey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KOS-ADL).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UG and 10MWT than the control group, and bal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CEA, CPL, and CAV.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liv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hysical therapy with complex balance exercise on unstable surfaces has positive effects on balance, gait and daily living ability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complex balance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was more effective in improvement gait, balance and daily living ability in total knee arthroplasty. From this study, physical therapy with complex balance exercises on unstable ground may be proposed as an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improving gait, balance, and daily living ability in patients with early total knee arthroplasty.

CT 영상을 이용한 대퇴체부 휨의 3차원적 곡률 분석 (Three Dimensional Curvature Analysis of Femoral Shaft Bowing based on CT Images)

  • 임기선;오왕균;이태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13-320
    • /
    • 2013
  •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관절 질환이나 내반 변형 등을 동반한 환자에게 정형외과적으로 인공슬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데 수술용 금속정을 삽입할 때 대퇴체부의 휨 정도로 인해 대퇴피질부에 손상을 주거나 2차 골절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때 대퇴체부의 중심 좌표값을 알면 금속정이 해부학적 모양의 중심으로 삽입될 수 있어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슬관절 치환술이 필요한 10명의 환자와 대퇴골 질환이 없는 정상군 10명의 대퇴부 단층촬영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좌표값을 찾은 후 Matlab을 이용하여 중심좌표값을 찾아 해부학적 모양을 반영한 그래프를 얻었고, 구간별 3차원 곡률반경 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대퇴골 평균 곡률반경과 표준편차는 $758.15{\pm}206.3mm$로 측정되었고, 정상군은 $1672.97{\pm}395.6mm$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해 f-검정을 실행하여 두 집단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실험군의 대퇴체부 휨 정도가 더 심함을 확일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영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중심점을 찾는다면 인공슬관절 치환술 같은 정형외과적 수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