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D UP AND GO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4초

근에너지 기법과 스트레칭 기법의 발목관절 적용이 발등굽힘 제한이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발목 관절가동범위, 균형 능력,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pplying Muscle Energy Techniques Versus Stretching Techniques to the Ankle Joint on Ankle Joint Range of Motion, Balance Ability and Gait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 허태현;김선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9-7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the muscle energy technique (MET) and stretching technique on ankle dorsiflexion passive range of motion, balance, and gait ability of stroke patient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METHODS: Forty-four post-stroke patients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into the MET group (METG; n = 22) and the stretching group (STG; n = 22). The METG was subjected to the MET to relax the dorsiflexion, while the STG was subjected to the dorsiflexion stretching technique. Both groups completed standard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for 30 min per sessio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ive times a week over 3 weeks for a total of 15 times. All participants underwent ankle dorsiflexion passive range of motion measurement and Berg Balance Scale score determination and completed a 10-m walking test and the timed up and go tes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fter the 3-week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intervention (p < .05). METG participant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ankle dorsiflexion passive range of motion and 10-m walking test results compared to STG participants (p < .05). CONCLUSION: Both interventions improved ankle dorsiflexion passive range of moti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Moreover, the MET was superior to ankle dorsiflexion passive range of motion on the 10-m walking test.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Balance and Cognition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 Cheol-Jin Kang;Sung-Min Son;Se-Hee Park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6권2호
    • /
    • pp.61-66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OT) on the balance and cogni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2 participants each). The 5-week intervention involved 45 minutes sessions, three times a week. Both groups did 30 minutes of general physical exercises, followed by the experimental group watching a 5 minutes video featuring functional movements and imitating them for 10 minutes. The control group watched a scenic video and did functional training for 10 minutes, mimicking the experimental group.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Functional Reaching Test (FRT), Berg's Balance Scale (BBS), and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within-group chan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0.05 for all variabl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within-group changes in the TUG test, FRT, BBS, and K-MMSE (p<0.05).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FRT and K-MMSE (p<0.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he change in the TUG test, BBS, and K-MMSE after the interventions (p<0.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OT and repetition of actual movements, led to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alance and cognitive abil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observed scenic landscapes.

Effects of Inspiratory Training on Respiratory Function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Ku Man;Park Dae-S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26-35
    • /
    • 2024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using inspiratory training affects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We also plan to compare the results with a control group that does not receive the intervention.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In this study, 27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ontrol group (n=14) or an experimental group (n=13). Both groups underwent six weeks of common interventions involving standard physiotherapy and treadmill training.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spiratory training. Respiratory function and balance were evaluated using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MIP), Maximal Expiratory Pressure (MEP), Peak Expiratory Flow (PEF), Five times Sit-to-Stand (FTSTS), Seated Center of Pressure (S-COP), and Timed Up and Go (TUG) tests. Results: Respiratory function and balance were compared with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inspiratory train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VC (0.26±0.18), FEV1 (0.35±0.32), MIP (11.54±12.39), PEF (1.12±1.52), and TUG (-3.39±2.45) compared to pre-intervention values (p<0.05). When comparing changes between groups post-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s in FVC, FEV1, MIP, PEF, and TU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P, FTSTS, and S-CO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 positive effect of inspiratory training on chronic stroke pati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ith further research involving a larger sample size and enhanced intervention methods, inspiratory training could be employed positively i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이 대학생의 평발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ratainment Taping and Footpad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Flat Foot in a University Student)

  • 이정욱;윤영제;고선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69-375
    • /
    • 2019
  • 본 연구는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이 대학생의 평발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발배뼈 하강 검사를 통해 유연성 평발 테이핑군(13명), 유연성 평발 발바닥 운동군(14명), 강직성평발 테이핑군(12명), 강직성 평발 발바닥 운동군(13명)으로 나누었다.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을 1시간 적용 후, 발배뼈의 높이 변화, 균형 능력, 자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발배뼈 높이 변화는 중재 전-후의 높이를 측정하고, 균형 능력은 timed up & go test를 측정하였으며, 자세 안정성 평가는 어깨넓이 두발지지, 두발모음 자세, 발뒤꿈치-발끝서기 자세에서 안정성 한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발배뼈 높이 변화에서 유연성 평발 테이핑군의 왼발과 오른발, 유연성 평발 운동군의 오른발, 강직성 평발 태이핑군의 오른발에서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균형 능력 평가에서는 군간과 군내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세 안정성 평가에서는 유연성 평발 운동군과 강직성 평발 테이핑군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발뒤꿈치- 발끝서기 자세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중재 후 비교에서 유연성 평발 운동군이 강직성 평발 운동군에 비해 발뒤꿈치-발끝서기 자세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이 대학생의 평발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평발의 개선을 위해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의 적용을 권장한다.

수중 경사로 보행 훈련이 제2형 척수성근위축증 아동의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개별실험연구 (Effect of Aquatic Ramp Exercise on Gai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Child With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II: Single Subject Research)

  • 성윤희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2
    • /
    • 2016
  • 본 연구는 수중 경사로 보행 훈련이 제2형 척수성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type II) 아동의 넙다리네갈래근 활성화와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5세의 제2형 척수성근위축증으로 진단받은 아동이었다. 본 연구는 단일 대상자 반전 연구 설계(A-B-A)를 이용하여 일주일에 3번 12회기 실행하였고 기초선 설정기간(A), 실험 적용기간(B), 관찰기간(A)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기초선 설정기간, 관찰기간에서는 일반적인 수중 치료가 적용되었고 실험 적용기간에는 일반적인 수중 치료와 수중 경사로 보행훈련(60m 경사로 걷기)이 추가되었다. 제2형 척수성근위축증 환자의 보행에 큰 영향을 끼치는 넙다리네갈래근 활성화 측정을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가 실시되었고, 동적인 기능평가를 위해 일어나 걷기 검사와 일상생활 기능평가(ACTIVLIM)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초선 설정기간에 비해 실험 적용기간에서 넙다리네갈래근의 활성화가 감소하였고 보행 시간도 감소하였다. 일상생활 기능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관찰기간동안 다시 넙다리네갈래근의 활성화 증가, 보행시간 증가, 일상생활 기능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수중 경사로 보행 훈련이 본 아동에게 기능적으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균형훈련과 테이핑 융복합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경직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nvergence balance training and taping on spasticity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박신준;김태현;고준혁;윤봉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97-306
    • /
    • 2017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균형훈련과 동시에 장딴지근에 테이핑을 적용하여 발목관절 경직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된 연구이다. 뇌졸중 환자 25명은 장딴지근에 테이핑을 적용한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한 연구군 14명, 거짓 테이핑을 적용한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한 대조군 11명으로 나뉘었다. 경직 평가는 수정된 ashworth 척도로 점수화 하였고, 균형능력 평가는 기능적 팔뻗기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TETRAX를 이용하여 눈 뜨고 감은 상태에서의 안정성 지수(stability index), 왼쪽 오른쪽 체중지지도, 앞 뒤 체중지지도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군은 경직, 기능적 팔뻗기, 일어나 걸어가기, 눈 뜨고 감은 상태에서의 안정성 지수, 왼쪽 오른쪽 체중지지도, 앞 뒤 체중지지도에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두 군간 비교에서는 연구군이 대조군보다 기능적 팔뻗기, 일어나 걸어가기, 눈 뜬 상태에서 안정성 지수, 왼쪽 오른쪽 체중지지도, 눈 감은 상태에서 왼쪽 오른쪽 체중지지도 앞 뒤 체중지지도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테이핑 적용상태에서 단기간의 균형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경직 및 균형능력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피부에 손상 및 이상이 없는 뇌졸중 환자라면 균형재활에 있어 장딴지근 테이핑 적용을 적극 권고하는 바이다.

A Study on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raining by Meta-analysis -Focused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orke

  • Jeun, Young-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145-152
    • /
    • 2022
  • 뇌졸중은 균형 장애와 보행능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에게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을 적용하여 균형과 보행 능력을 평가하는 모든 무작위 배정 연구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에서 있어서 꼭 필요한 프리즈마 가이드 라인을 준수하였다. Cochrane library, CINAHL, Pubmed에서 2021년 11월까지 발행된 연구를 포함하였고, 그 연구들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적용한 무작위 배정 연구들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1091개의 논문 중 18개의 연구를 메타분석을 시행하였고, 메타분석은 R 프로젝트 4.0.2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전체 효과 크기는 0.56으로 중간 정도로, 균형과 보행에 관한 척도에 대한 효과 크기도 중간정도 산출되었다. 무작위 배정 정도를 나타내는 페드로 점수는 18점 만점에서 6.63으로 비뚤림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NF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Program Using a Video Game on the Muscle Strength,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the Elderly)

  • 송창호;신원섭;이경진;이승원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61-1275
    • /
    • 2009
  • 노화로 인한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감소가 노인의 신체활동 저하를 일으킨다. 가상현실운동은 노인의 기능적 균형과 움직임을 회복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VR)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48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VR군(남자 11명, 여자 14명, 나이 68.4세)과 대조군(남자 10명, 여자 13명, 나이 67.6세)으로 무작위 추출하였다. VR군은 가상현실 운동을 8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특별한 운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은 준비운동(10분), 가상현실프로그램(40분), 정리운동(10분)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상현실프로그램은 상하지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시청각피드백을 제공하는 플레이스테이션 아이토이플레이로 수행되었다. 운동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지의 근력, 힘판을 이용한 정적균형능력, 기능적 팔 뻗기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로 구성된 동적균형능력과 10m 보행검사와 6분 보행검사로 이루어진 보행능력을 사전, 사후로 측정하였다. VR군은 하지 근력과 정적균형능력, 동적균형능력, 보행능력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결론적으로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 해면상 혈관종 출혈로 인해 발생한 하지 강직감을 동반한 보행 장애에 대한 한의학 치료의 효과: 증례보고 (Korean Medicine for Gait Disturbance Accompanying Lower Limb Rigidity Caused by Bleeding of Spinal Cavernous Hemangioma: A Case Report)

  • 최현진;유승호;안상준;김세윤;신우철;조재흥;정원석;송미연;김형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3-249
    • /
    • 2023
  • 해면상 혈관종(cavernous hemangioma)은 인체 내 다양한 장기나 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관기형으로, 순수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pure epidural cavernous hemangioma)은 해면상 혈관종의 드문 경우에 속한다. 해면상 혈관종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증상에 한의학 치료를 적용한 연구가 드물게 보고되었으나, 순수 해면상 혈관종의 출혈로 인한 증상에 대한 것은 없었기에 관련 임상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척추의 순수 해면상 혈관종으로 진단받은 51세 남성이 2022년도에 해면상 혈관종 출혈로 인해 발생한 보행장애에 대해 치료를 받기 위해 한방병원을 방문하였다. 척추의 순수해면상 혈관종 출혈로 인해 발생한 보행장애 환자는 침 치료, 전기 침 치료, 온침 치료, 한약, 추나, 뜸, 부항 치료를 시행 받았다. 평가지표는 25 foot walk test (25FW), timed up and go test (TUG), comfortable gait speed tests (CGS), 요통과 하지 통증에 대한 numeral rating scale (NRS), Berg balance score (BBS), Tinneti-score, manual muscle test (MMT), EuroQol-five dimension (EQ-5D), EQ-5D visual analog scale (EQ-5D VAS)이었으며, 25FW, TUG, CGS, NRS, BBS, EQ-5D (VAS)에서는 치료 후 호전을 보인 반면, Tinetti Score, MMT, EQ-5D의 지표는 치료 후에도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한의학은 척추 해면상 혈관종의 출혈로 인해 발생한 보행장애나 하지 강직감에 대한 치료의 한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중창의 높이가 건강한 젊은 남성들의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e Insole Height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mong Healthy Young Men)

  • 송근찬;박민지;조수연;김미래;조은진;강순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9-57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young men were influenced by the different height of insoles in their shoes. Methods : Eighteen healthy young men (mean $20.61{\pm}1.38yea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static and dynamic balance were assessed while wearing three different height' insoles (0cm, 2cm, 3cm) in their tennis shoes. Anterioposterior (AP) and mediolateral (ML) sway velocity was measured for 20 seconds using a force plate (Good balance system, Finland) under four conditions including normal standing with eyes open and with eyes closed, and tandem standing with eyes open and with eyes closed. The Functional Reach Test (FRT) and Timed Up & Go (TUG) were also performed for each subject under each condition. Results : 1) ML and AP sway velocities in young 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sole in normal standing with eyes open and eyes closed. 2) ML and AP sway velocities in young men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sole in tandem standing with eyes open. 3) ML sway velocities in young 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sole in tandem standing with eyes closed, whereas AP sway velocities did not differ by height of the insole in tandem standing with eyes closed. 4) FRT scores in young 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sole. 5) TUG scores in young me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sole. Conclusions : This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young men can be influenced by shoe insole he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