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G 용접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2초

초정밀 직류 TIG 펄스 용접기 (High Precision Control of DC TIG Pulse Welders)

  • 김동욱;이영남;김규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102
    • /
    • 2002
  • 플랜트, 가스용기 등의 압력용기 제작 및 스텐레스, 알미늄 등의 특수금속용접에서 TIG 용접은 매우 중요한 기술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용접에서 현재까지는 국내에서 노동 집약적인 수동 TIG 용접이 적용되고 있으나 인건비의 상승, 3D 산업으로 인한 숙련자의 부족으로 자동화가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A 이하에서도 용접이 가능한 극 정밀 직류 TIG 펄스 용접기에 관한 연구결과를 다룬다.

  • PDF

티타늄 합금 용접부에 대한 TIG Dressing 재용접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TIG Dressing on titanium alloy weldment)

  • 양해진;이희준;이정수;오명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03-306
    • /
    • 2011
  • 티타늄 용접부의 기공 형성은 용접 중 대기중으로부터 유입되거나 모재 표면의 산화막으로부터 확산과정을 통해 유입되는 산소 혹은 수소로 인해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용접부 기공은 용접부의 피로 수명과 인성을 저하시키며 취성 파괴의 원인이 된다. 이에 용접 후 비파괴 검사를 통해 용접부 기공을 확인하고 있으며 확인된 기공등의 결함은 재용접을 통해 제거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계적 가공 방법에 의해 기공을 제거한 후 재용접 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TIG Dressing 공법을 이용하여 용접부에 형성된 기공을 제거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용접부 노치 인성을 확인하였다. 시험 결과 TIG Dressing에 의한 기공 제거 효과와 노치 인성을 확인하였다.

  • PDF

연료전지로 구동되는 TIG-용접기용 DC-DC 컨버터 개발 (Development of TIG-Welder DC-DC Converter Based on Fuel Cell Stack)

  • 민명식;박상훈;전범수;원충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48-56
    • /
    • 2009
  • 본 논문은 연료전지스택을 입력전원으로 하는 TIG-용접기용 전력변환장치를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TIG-용접기의 전원공급장치는 상용전원을 이용한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회로를 사용한다. 이런 회로의 경우 다이오드 정류기와 용량이 큰 캐패시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부피가 커지고, 입력전류는 맥동성분과 고조파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TIG-용접기는 상용전원의 사용이 여의치 않은 도서산간지역이나 특수한 환경에서는 소형 경량의 이동성이 수월한 전원장치 및 전력원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TIG-용접기용 전력변환장치는 고체고분자형연료전지(PEMFC)를 입력전원으로 사용하고, 부스트 컨버터의 기능과 인버터 용접전원의 기능을 하나의 풀-브리지 컨버터로 구성하였다. 제안한 연료전지를 이용한 TIG-용접기용 전력변환장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필러와이어를 쓰는 TIG용접에서 용착금속의 높은 용융효율을 얻기 위한 공정개발 (Development of Process for High Deposited Metal Melting Efficiency in TIG Welding Using Filler Wire)

  • 신희섭;함효식;서지석;조상명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41-41
    • /
    • 2010
  • 에어컨용 냉매 압축기, 냉장고용 냉매압축기 및 자동차 샷시 부품들은 주로 겹치기 필릿용접을 GMAW 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용접 시 스패터 발생으로 인한 추가공수가 요구되며 작업환경 또한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가의 고생산이면서 용접비드의 외관이 미려하고 스패터, 소음 그리고 Fume 이 발생되지 않는 청정한 TIG 용접이 있지만, 용접속도가 수십 cpm 이하로 제한되어 생산성이 낮다는 기술적 모순을 가지고 있다. TIG 용접에서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재와 와이어를 고속 용융 시키려면 전류를 높여 입열량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증가된 전류로 인하여 상승된 아크력이 험핑비드와 언더컷이 발생되는 물리적 모순을 가진다. 또한 필러와이어를 사용한 기존의 TIG 용접에서 필러 와이어는 주로 원형 단면 와이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와이어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비표면적은 감소하여 용융효율이 낮아지므로 $\Phi$1.2 이하의 필러와이어를 송급하여 용접하였다. 그러나 요구되는 용착량이 큰 경우 필러 와이어를 고속으로 송급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필러 와이어 용융이 곤란하거나 송급상의 문제가 자주 생겨 용접속도를 고속으로 하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필러와이어를 사용한 TIG 용접에서 용착금속의 용융효율을 높게 함으로서 전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용접속도를 높일 수 있는 용접 공정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용착금속의 높은 용융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개발된 와이어와 기존의 $\Phi$3.2 일반와이어 및 를 이용하여 BOP TIG 용접에 비교 실험하였으며, 개발된 와이어와 기존의 $\Phi$1.2 필러와이어를 이용하여 필릿용접부에 적용 실험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와이어의 경우 적절한 비드를 형성하였으나 3.2 일반와이어의 경우 과도한 볼록비드와 불용착부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필릿용접 비교실험에서는 각각 200cpm과 50cpm에서 적절한 비드가 형성되어 더 높은 용착금속 용융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직류고전압 아크스타트방식의 펄스인버터 TIG 용접기 (Pulse Inverter-type TIG Welders Using DC High Voltage Arc Start Method)

  • 임용식;김규식;원충연;최규하;목형수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38-245
    • /
    • 2000
  • 본 논문은 펄스 인버터용 TIG(Tungsten Inert Gas) 아크 용접기를 구현하는 용접전원장치의 성능에 관하여 알아본다. 용접전류는 펄스형태로 제어되고 또한 안정된 아크와 좋은 용접성능을 얻을 수 있다. DC 고전압 아크 스타트 시스템을 채용한 TIG 아크용접기에 대해 토치와 용접전원 사이의 연장 케이블이 50m 나 되어도 아크 스타트이 실패 없이 용접을 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DC 고전압 아크 스타트방식을 이용한다면 용접 전원장치와 용접장이 멀리 떨어져 있는 조선소와 같은 장소에서 요용하리라 생각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행하였다.

  • PDF

다양한 용접기술을 적용한 선박용 알루미늄합금의 기계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Characteristic of Al Alloy for Ship's Welded with Various Welding Techniques)

  • 김성종;장석기;한민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3-228
    • /
    • 2007
  • 본 논문은 선박용 알루미늄 합금에 대하여 TIG, MIG 그리고 로봇을 이용한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용접기술을 적용하여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TIG 용접을 실시하였을 경우는 항복강도, 인장강도 그리고 연신율은 모재에 비하여 각각 83.9%, 64.6% 그리고 21.9%를 나타냈다. MIG 용접은 ER5356 용접봉을 사용하여 용접한 경우 ER5183 용접봉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기계적 특성이 대략 2-4% 정도 개선된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로봇을 이용한 용접을 실시한 경우는 5456-H116 모재에 비하여 5083O 모재의 경우가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냈다.

  • PDF

TIG용접에서의 실드가스 혼합비에 따른 에너지 분포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Energy Distribution by Shield Gas Mixing ratio in TIG Welding)

  • 오동수;김영식;조상명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60-62
    • /
    • 2004
  • TIG 용접에서 용입과 비드가 형성되어 가는 물리적 아크 현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아크 압력은 매우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다$^{1.2)}$ . 기존의 연구에서는 저전류나 중전류 영역의 TIG 용접에서 텅스텐 전극의 선단각과 용입 형태와의 관계를 플라즈마 기류 등에 고찰하였고, 최대 아크압력에 미치는 전극형상의 영향 등을 연구하였다. (중략)

  • PDF

횡방향 TIG 용접된 Al6013-T4알루미늄 합금 용접부의 피로균열전파거동에 미치는 PWHT의 영향 (Influences of Post Weld Heat Treatment on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of Transverse TIG Welded Al6013-T4 Aluminum Alloy Joint)

  • 구나완;김선진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6-73
    • /
    • 2012
  • 본 연구는 횡방향 TIG 용접된 Al6013-T4 알루미늄 합금 용접부의 피로균열전파거동에 미치는 용접후열처리(PWHT)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기초적으로 인장시험, 경도 및 미세조직이 조사되었으며, 피로균열전파거동을 고찰하기 위한 피로 시험은 모두 중앙균열인장(CCT) 시험편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T82열처리에 있어서 시효시간은 피로균열전파율, 인장강도 및 경도에 대단히 민감함을 나타내었으며, 모재와 열영향부재의 경우가 용접재보다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였다. 횡방향 TIG 용접한 Al6013-T4 시험재의 용접후열처리 조건에 따라서 피로균열전파 저항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24시간 인공시효 PWHT-82 시험편이 피로균열전파 저항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2APU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부위의 부식특성에 관한 전기화학적 평가 (Electrochemical Evaluation on Corrosion Property of Welding Zone of 22APU Stainless Steel)

  • 문경만;김윤해;이성열;김종도;이명훈;김진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8호
    • /
    • pp.1162-1169
    • /
    • 2009
  • 22APU 스테인리스강에 대해서 두가지의 용접법이 적용 되었으며, 그중 한 방법은 레이저 용접법이며 다른 하나는 TIG 용접법이다. 이 경우 상기한 두 용접을 적용할 경우 용접부의 부식특성의 차이점에 대해서 전기화학적인 방법 예를 들면 부식전위, 분극곡선 및 사이클릭볼타모그램 등의 측정에 의해서 고찰되어졌다. 레이저용접의 경우 모든 용접부(용접금속,열영향부, 모재부)의 경도가 TIG용접의 경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모든 용접부의 부식전류밀도 역시 TIG용접에 비해서 낮은 값이 관찰되었다. 특히 모재부의 부식전류밀도는 용접방법에 관계없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레이저용접의 경우 부식된 모든 용접부에서 입계부식이 관찰 되지 않았으나, TIG용접에서는 용접금속부와 열영향부에서 입계부식이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크롬카바이드의 형성에 의한 크롬결핍이 감수성온도영역에 있는 용접금속부와 열영향부에 나타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들 영역은 더욱 활성화된 양극으로 부식되기쉽다. 결과적으로 22APU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부의 내식성은 레이저용접에 의해서 확실히 개선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자동 오비탈 TIG 용접기술을 이용한 배관 용접 (The Use of Orbital TIG Welding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and the Repair of Field Piping)

  • 정인철;심덕남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27-29
    • /
    • 2004
  • Orbital TIG welding process being used fur the new construction, the repair of nuclear piping system ana other critical piping. When weld quality is important or there are a large number of similar weld to be made or when access is restricted with manual torch, Orbital TIG welding is most effective process because of practical for out-of-position and high weld quality. Furthermore, typically superior to manual TIG welding process where the pipe remains in place and the tungsten electrode orbits the weld. As smaller and more compact welding head is being developed, could operate in tight spaces and lend itself to this type of application better than any other welding process. Orbital TIG welding has become more and more field practical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