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IBC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15 seconds

아스파르트산 킬레이트 철분의 철분 결핍쥐에서의 생물학적 유용성 (Bioavailability of Aspartic Acid Chelated Iron on Iron-deficient Rats)

  • 박명규;하태열;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20-17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파르트산, 탄산칼슘 및 황산철을 반응시켜 아스파르트산 킬레이트 철분(aspartic acid chelated iron, Asp-Fe)을 제조하고 Asp-Fe의 철분결핍 쥐(iron-deficient rat, ID)에서의 생물학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시험군은 철분이 함유된 식이를 섭취한 정상군(NC), 철분 결핍식이를 1개월간 투여하여 철분 결핍 상태를 유도한 쥐(ID)에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결핍 대조군(ID+C), 철분 결핍 쥐에 햄철(heme-Fe) 투여군(ID+heme-Fe) 및 Asp-Fe 투여군(ID+Asp-Fe)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 장기무게, 체중증가 정도에서 각 군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간 투여 후 혈액 중 철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결핍쥐에 Asp-Fe 투여군(175.2 ${\mu}g$/dL)과 heme-Fe 투여군(140.8 ${\mu}g$/dL)은 결핍 대조군(96.1 ${\mu}g$/dL)보다 유의적인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총 철분 결합능(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를 측정한 결과 Asp-Fe 투여군(735.4 ${\mu}g$/dL)은 결핍 대조군(841.9 ${\mu}g$/dL)보다 유의적 수준으로 정상화되었다. 헤마토크리트(HCT) 수치를 측정한 결과에서 Asp-Fe 및 heme-Fe 모두 결핍 대조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은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흡수율에서는 heme-Fe의 경우 21.3%인 반면에 Asp-Fe의 경우 50.2%로 약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청에서의 철분농도 및 transferrin saturation(TS)는 heme-Fe 투여군 및 결핍 대조군에 비하여 Asp-Fe 투여군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아미노산 킬레이트 철분은 heme-Fe과 유사한 수준의 생체 이용율을 가지고 있으며, 철분 결핍을 회복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보충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유자돈에 있어 δ-아미노레불린산의 식이 내 첨가가 성장 밑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δ-Aminolevulinic Acid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Changes in Weaned Pigs)

  • 민병준;홍종욱;권오석;강대경;김인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06-1610
    • /
    • 2004
  • 본 실험은 자돈식이내 $\delta$-아미노레불린산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3원 교잡종 자돈 75두(평균체중 7.21$\pm$0.02 kg)를 공시하였다. 시 험 설계는 1) NC(negative control; 무항생제 기초식이), 2) PC(positive control; NC diet+0.1% Apramycin+0.1% Oxytetracycline),3) ALA0.1 (NC diet+0.1% $\delta$-아미노레불린산), 4) ALA0.2(NC diet+0.2% $\delta$-아미노레불린산),5) ALA + AB (PC diet+0.2% $\delta$-아미노레불린산)의 5개 처리를 하였다. 총 사양시험기간동안, 일당증체 량은 ALA+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나(p<0.05), PC, ALA0.1 그리고 ALA0.2처리구와는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당식 이섭취량과 식이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시험 개시 후 20일령 에 측정한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 ALA+AB처리구가 NC 처리구 및 ALA0.1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다(p<0.05). 또한, 혈청내 total protein의 농도에 있어서는 ALA+AB처리구가 NC 처리구 및 PC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청내 iron의 농도는 $\delta$-아미노레불린산을 첨가한 처리구가 NC 및 PC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청내 TIBC에 있어서는 ALA+AB 처리구가 NC, PC 그리고 ALA0.1 처리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Hb 및 HCT의 농도는 ALA0.2 처리구와 ALA+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P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RBC와 WBC의 농도는 ALA0.2 처리구와 ALA +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lymphocyte는 $\delta$-아미노레불린산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자돈식 이내 $\delta$-아미노레불린산의 첨가는 자돈의 성장 및 소화율을 향상시키며, 혈액 내 total protein, iron, hemoglobin, lymphocyte의 수준을 증가시켰다. 또한, $\delta$-아미노레불린산과 항생제의 혼합급여는 자돈의 성장 능력에 있어 상승효과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급성 감염성 질환을 가진 영유아에서 철결핍 진단 지표로서의 망상적혈구혈색소량 (Reticulocyte hemoglobin content for the diagnosis of iron deficiency in young children with acute infection)

  • 김존수;최준석;최두영;유철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8호
    • /
    • pp.827-833
    • /
    • 2008
  • 목 적 : 영유아기에 발생하는 철 결핍성 빈혈은 성장,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철 결핍을 조기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고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혈청 ferritin이나 iron 대신 염증이나 만성질환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철 결핍 상태를 진단하는데 비용이나 혈액채취량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망상적혈구혈색소량을 다른 철 결핍 지표들과 함께 비교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을지대학병원 소아과에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입원한 생후 6개월에서 24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맥혈을 채혈하여 ADVIA 120 (Bayer Diagnostics, NY, USA)을 이용하여 Hb, MCV, MCH, CH, CHr, RDW를 검사하였고, 철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iron, iron binding capacity, ferritin을 측정하였다. 혈색소 11 g/dL, Tfsat 20%를 기준으로 철 결핍성 빈혈군, 철 결핍군, 철 결핍이 없는 군을 나누었다. 결 과 : 총 69명의 영유아 중 철 결핍이 있는 환아가 47명, 이중 17명이 철 결핍성 빈혈군에 해당되었으며 철 결핍이 없는 군이 22명이었다. 빈혈을 포함한 철 결핍이 있는 집단과 철 결핍이 없는 군과는 MCH (P<0.01), CH (P<0.01), RDW (P<0.05) 및 CHr (P<0.01)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지만, ferritin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P=0.109). CHr은 철결핍에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LRT=71.25; odds ratio=0.67 [95% 신뢰구간, 0.47-0.97]; P<0.05). 철 결핍군을 빈혈이 있는 집단과 빈혈이 없는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MCV, MCH, CH, RDW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모두 P<0.05). 또한 CHr, iron, TIBC, ferritin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CHr의 cutoff 27.4 pg을 기준으로 전체 집단을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경우에는 Hb, MCH, CH, Tfsat, iron (모두 P<0.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MCV (P=0.188), RDW (P=0.138), ferritin (P=0.730), TIBC (P=0.700)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CHr은 일부 기종에 국한되어 제공되는 사항이고 적절한 참고치의 설정이 필요하지만, 6개월에서 24개월령의 유소아에서 철 결핍 상태를 진단하는데 급성염증반응에 영향을 받지 않고, 비용이나 혈액채취량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새로운 지표로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위절제술 후 빈혈에 있어서 Iron Sucrose의 효과 (Efficacy of Intravenous Iron Sucrose for Treating Anemia after Gastrectomy)

  • 권인규;송재원;강욱호;오성진;형우진;최승호;노성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262-266
    • /
    • 2008
  • 목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게 있어서 빈혈은 흔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빈혈의 교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빈혈의 치료로서 정맥용 철분제제인 Iron sucrose 사용의 유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외래추적관찰시 헤모글로빈 수치가 11 g/dl 이하인 4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Iron sucrose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후 1주,2주,3주,3개월,6개월 뒤에 각각 혈색소(Hgb), 적혈구용적률(Hct), 혈청철(Serum iron), 총철결합능(TIBC), 혈청페리틴(Serum ferritin), 트란스페린(Transferrin)을 측정하여 효과를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47명의 환자 중 처방대로 치료를 받은 36명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고 남자가 11명, 여자가 25명이었다. Hgb은 치료 전과 비교하여 치료 후 1주, 2주, 3주, 3개월, 6개월 후에는 0.6, 0.8, 1.3, 2.1, 2.2 g/dl 상승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각각 P<0.001). 그리고, 각 기간별로 비교하였을 때 3개월까지는 의미 있는 상승을 보였으나 3개월과 6개월 사이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6명(72%)에 있어서는 Hgb이 12 g/dl 이상까지 상승하였다. 한 명의 환자에게 있어서 일시적인 오심이 발생하였고 다른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보고되지 않았다. 결론: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빈혈환자에 있어 정맥용 철분제제인 Iron sucrose 투여한 경우 투여 후 일주일 이내에 Hgb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적어도 3개월까지는 지속적인 Hgb의 상승을 보인다. 위절제술 후 빈혈의 치료로 Iron sucrose는 안전하면서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빈혈을 교정할 수 있다.

  • PDF

식이로 유도된 철 결핍성 빈혈 흰쥐에서 참 당귀 열수추출물이 혈액학적 빈혈지표에 미치는 영향 (Hematological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Cham-Dang-Gui on Dietary Induced Iron Deficient Anemia Rat)

  • 우정화;최인영;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5호
    • /
    • pp.428-43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무철분식이로 철분결핍성 빈혈 유발을 시킨 흰쥐에게 3주간 무철분식이를 섭취시키면서 saline, 참당귀 추출물 및 철분보충제를 투여한 후, 무철분식이를 일반식이로 대체하여 다시 3주간 같은 처리를 한 후 혈액학적 빈혈지표를 조사하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동물의 체중은 무철분식이군에서 일반식이군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무철분식이로 인한 저체중은 참당귀 추출물과 철분 보충제에 의해서 회복되지 않았다. 2) 혈액분석 결과 무철분식이는 모든 혈액 빈혈지표를 저하시켰으며, 철분보충제의 투여는 헤모글빈, 헤마토크릿, 평균 혈구 부피, 평균 혈구혈색소, 평균 혈구혈색소 농도, 총철결합능력이 유의적으로 회복시켰다. 무철분식이와 함께 투여한 참당귀 추출물은 혈액지표를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한편, 일반식이와 함께 섭취하였을 경우,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평균 혈구부피, 평균 혈구혈색소, 평균 혈구혈색소 농도, 총철결합능력 모두 유의적인 회복효과를 보였으나 일반식이만을 섭취한 군에서도 같은 회복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철분 섭취가 불량할 경우, 체중증가가 지연되며 후에 철분을 보충할 경우에도 체중의 회복은 개선되지 않았다. 철분결핍으로 인한 저체중의 경우, 철분보충제의 복용은 체중을 만회시키지 못하였으나 혈액학적 빈혈 지표들은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결핍 빈혈에서 식이철분이 부족할 경우, 참당귀의 회복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철분결핍 빈혈의 치료를 위한 생약제의 다양한 작용을 밝히기 위하여서는 영양학적인 관점에서 체내 이용률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nemia and Iron Deficiency according to Feeding Practices in Infants Aged 6 to 24 Months

  • 김순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1호
    • /
    • pp.96-101
    • /
    • 1998
  •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in later infancy and the toddler years(25% to 40% at 1 year of age) has not decreased remarkably , except in Wester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feeding practices and iron status, and 2) assess compliance to infant feeding instructions. Two groupsof infants were examined. The first group of 302 infants aged 6 to 24months was seen at a well baby clinic while the second group of 135 infants of the same age group was assessed by venipuncture. Cutoff values for laboratory tests were as follows ; hemoglobin<11g/dL, mean corpuscular volume (MCV) <72fl ; red cell distribution width(RDW)>15% ; serum ferritin level<10ng/ml ; and transferrin saturation (serum iron(TIBC)<10%. The diagnosis of iron deficiency anemia (IDA) was made when a low hemoglobin level was associated with either low ferritin orlow transferrin saturation . Of the 302 children brought to the well baby clinic , 12.3%(n=37) were found to have anemia (hemoglobin<11.0/dL). In terms of children grouped according to feeding practices, it was found that children with anemial comprised 32.0% (24/75) of the prolonged breast-fed group (Group A), significantly more than the 4.0%(7/176) of the artificial milk feeding group(Group B). and 3.9%(2/51) of the switched from breast milk to iron -fortified weaning foods group(Group C).Among the 107 children with IDA , iron deficiency in 105 children(98.1%) was suggested by their dietary histories ; exclusive or prolonged breast-feeding for more than 6 months without iron fortification in 98 infants ; cow's milk consumption> 500ml/day without iron fortification during infancy(n=12), or >800ml without iron-fortified foods after infancy(n=15) ; and the use of unfortified forumula or unbalanced diets, mainly limited to rice gruel. Despite the relatively high (79.6%) motivation on the part of the infants mothers and supervison by professional personnel, the poor results in the infants receiving iron fortified foods were due to poor compliance(85.75). Among the mothers of 98 IDA patients who were contacted by telephone , it was revealed that 29% did not give the oral iron preparation for more than 2 months. Furthermore, negligence or disregard by the parents occurred in 14% of the case , discontinuance of the oral iron preparation by the parents due to side effects occurred in 6%, and the children's refusal or poor oral intake and no further trial occurred in 6%. The dietary history of a large group of infants was highly predictive of their risk for anemia . Continued consumption of breast milk until the age of 1 year is not warranted unless iron-fortified foods are given concomitantly. Because there is a problem with compliance, more successful and safe strategies for preventing iron deficiency woold included dual coverage in the from of therapeutic iron supplementation as well use of iron-fortified foods for teddlers who are at risk of iron deficiency.

  • PDF

제 1형 당뇨병 소아 청소년의 하지불안증후군 (Restless Legs Syndr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 양우석;유재호;천상명;김성환;최병무;김우진;방영롱;박재홍
    • 수면정신생리
    • /
    • 제22권1호
    • /
    • pp.20-24
    • /
    • 2015
  • 목 적 : 제 1형 당뇨병을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들을 대상으로 RLS를 평가하고 RLS를 동반하는 환자군과 RLS를 동반하지 않은 환자군 간의 임상적 변인과 수면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소아 청소년과에서 제 1형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7세 이상 18세 이하의 소아 청소년 55명을 대상으로 면담, 설문조사, 임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RLS 진단은 IRLSSG 진단기준을 따랐으며 설문은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rating scale (IRLSRS)를 이용하였다. 결 과 : 55명의 대상자 중 RLS 빈도는 13명으로 23.6%였다. RLS 관련 변인으로 BMI, Hb, Iron, ferritin, TIBC, creatinine, GFR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LS 환자 13명 중 RLS 가족력을 가진 환자는 7명으로, RLS가 없는 환자의 경우와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RLS를 동반한 환자군이 RLS를 동반하지 않은 군에 비해 ESS, IRLSRS 결과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제 1형 당뇨병을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은 RLS가 흔히 동반되었다. 임상적으로 당뇨 소아 청소년의 RLS 동반여부와 수면의 질을 평가하여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보다 객관적인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미숙아 빈혈에 대한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의 효과 : 예비연구 (Effect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in the Anemia of Prematurity : a Pilot Study)

  • 이경아;신손문;박용훈;하정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15-126
    • /
    • 1994
  • 1991년 1월부터 1993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았던 12명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대조군과 rHuEPO투여군으로 나누어 체중 kg당 100unit의 rHuEPO을 1주간 3회씩 4주동안 피하주사하고 rHuEPO투여 시작과 같이 체중 kg당 3mg의 elemental iron을 매일 경구투여 하였고 출생 후 수유가 가능할 때 부터 25unit씩의 비타민 E를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망상적혈구, 혈색소치,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철, ferritin, 총 철결합능, erythropoietin농도, 활력징후, 체중, 간기능, 신장기능 및 피하주사부 위의 국소 부작용을 비교해 본 결과 치료 시작전 erythropoietin의 농도는 대조군과 rHuEPO투여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으며 모두 정상 범위에 속했고 rHuEPO투여군에서는 치료 1주에서 3주사이에 급격한 망상적혈구의 경향이 관찰되었고 전반적으로 혈색소치,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철, ferritin, TIBC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체중증가 및 활력증상, 간기능, 신장기능에서도 대조군과 rHuEPO투여군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고 rHuEPO 투여 기간 동안 계속 정상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연구에서는 rHuEPO치료로 뚜렷한 혈색소치 및 헤마토크리의 증가를 볼 수 없었지만 망상적혈구가 치료 초기에 증가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치료로 인한 특이할 만한 부작용이 없었으므로 첫째, 치료 기간 중의 예견할 수 없이 발생하는 패혈증, 무시할 수 없는 채혈량과 spontaneous endogenous erythropoietin생산이 rHuEPO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둘째. rHuEPO의 가장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한 보다 적절한 투여용량, 기간 및 rHuEPO의 투여를 출생 후부터 바로 예방 목적으로 할 것인지 또는 출생 몇 주 후부터 rescue therapy로 할 것인지 투여 시작 시기, 셋째, 용량의 증가 및 감소에 동반되는 부작용의 정도등을 고려해서 앞으로 더 많은 미숙아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한다면 rHuEPO을 이용해 더욱 더 활발하고 효과적으로 미숙아 빈혈을 치료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Iron Nutritional Statu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the Seoul Area

  • Um, Sung-Sin;Ahn, Hong-Seok;Kim, Soon-Ki;Ha, Jung-Hun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3-1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ron nutritional status by investigating dietary intake and analyzing the hematological iron status indices including serum transferrin receptor (sTfR) in 8 to 28 month old infants md young children taking supplementary foods. The nutrient intake of 60 healthy infants and young children from 8 to 24 months of age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a 24-hour recall method,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8- 12 months and 13-28 months) according to age. Venous blood samples from these groups were collected and measured for the following : hemoglobin(Hb), hematocrit(Hct) , mean corpuscular volume (MCV),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serum ferritin, serum iron,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and sTfR. Anemia is defined as hemoglobin < 11g /dl , serum ferritin level < 10ng1m1 for iron deficiency , serum transferring receptor(sTfR) > 4.5mg / 1 for iron deficient erythropoiesis. Total daily calorie intake was 934.6 ${\pm}$ 284.5kcal (98.32% of RDA) on average. Average daily iron intake in infants aged 8 to 12 months was 8.92 ${\pm}$ 3.32mg. The mean daily iron intake in infants aged 13 to 28 months was 7.15 ${\pm}$ 3.35mg (90% of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Mean values for Hb, Hct sew ferritin and sTfR were 12.10 ${\pm}$ 0.77g141,36.02 ${\pm}$ 2.31%,20.91 ${\pm}$ 11.58ng/m1 and 3.78 ${\pm}$ 1.47mg /1, respectively. In the young children from 13 to 28 months of age, the prevalence of anemia was 5.6%.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was 9.5% in those from 8 to 12 months of age, and 27.8% in those from 13 to 28 months of age.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t erythropoiesis was 16.7% in infants aged 8 to 12 months and 44.4% in those aged 13 to 28 months. The prevalence of both serum ferritin level < 10ng/m1 sTfR > 4.5mg/1 was 22% in the young children aged 13 to 28 months. The measureand ment of sTfR may be a promising new tool in diagnosis of iron deficiency in early childhood when the iron deficiency is prevalent. It seems appropriate to emphasize nutritional education and evaluation to promote the iron nutritional statu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인천지역 청소년 여자 운동선수의 식행동, 체형에 관한 인식 및 영양상태평가 (Eating Behaviors, Perception of Body Image, Hematological Indices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 Female Athletes in Incheon)

  • 정선희;성현이;김순기;김광회;조미혜;장경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51-96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behaviors, the self-perception of body images, the hematological indices and the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 female athletes in Incheon. The subjects were 112 female athletes(track and fleld: n=32, target shooting: n=27, fencing n=29, swimming: n=14, badminton: n=10)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a sol(-administered questionnaire.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for hemoglobin (Hb), hematocrit (Hct), ferritin, serum iron, mean corpuscular volume (MCV),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MCHC), unsaturated iron binding capacity (UIBC),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and transferrin saturation (TS). Nutrient intakes obtained by means of the 3 day-recall method were analyzed using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Most of the female athletes had dietary problems such as eating unbalanced meals, skipping meals, and preferences for processed foods. More than 60% of the female athletes skipped breakfast. As for perception of their body images, track and field athletes in particular, controlled their weight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 athletes (p<0.05). With regard to their physical exertion during exercise, 56.3% of the swimmers and 31.3% of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answered “very hard”, which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01). More than 80% of the female athletes experienced vertigo during exercise (p< 0.01). Also more than 50% of the female athletes, with the exception of the badminton players, had experienced irregular menstruation (p<0.05). The average serum iron levels (p<0.05), the serum ferritin levels (p<0.05) and TS (p<0.05) of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was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athletes. The nutrient intakes of the female athletes, with the exception of Vitamin B$_{6}$, niacin and phosphorus were lower than the Korean Recommended Daily Allowances (RDA). In particular, the calcium and iron intakes of the female athletes were under 50% of the Korean RDA. Therefore,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and supplementation are required for female athletes to encourage desirable eating habit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exercise performan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