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P-1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초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spThp1 유전자 결실돌연변이의 제조와 특성 조사 (Construction of Schizosaccharomyces pombe spThp1 Null Mutants and its Characterization)

  • 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9-152
    • /
    • 2006
  • 분열효모인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지는 spThp1 유전자의 결실돌연변이주(deletion mutant)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배체(diploid) 균주의 한 spThp1 유전자를 결실시킨 후 4분체분석(tetrad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이 유전자는 생장에 필수적이지 않았다. 또한 결실돌연변이주는 mRNA 수송도 큰 결함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spThp1 는 mRNA의 운반체를 암호화하고 있는 spMex67와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를 보였다. 이 결과는 분열효모의 spThpl도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인체단핵세포주 THP-1세포에서 Human Cytomegalovirus의 잠복감염과 재활성화 (Latent Infection and Reactivation of Human Cytomegalovirus from Human Monocyte THP-1 Cells)

  • 윤상임;문명숙;이찬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5-150
    • /
    • 2001
  • Human cytomegalovirus (HCMV)의 잠복감염으로 부터의 재활성환느 면역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높은 치사율을 가져오며, 재활성화가 기전의 규명은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의 하나이다. HCMV의 잠복감염 부위 중 하나라고 생각되고 있는 인체단핵세포에 대한 HCMV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 분화 단계에 있는 THP-1과 HL-60 세포에 HCMV를 감염시킨 후 생존 세포의 수와 형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HL-60 세포가 HCMV 감염에 의해 세포 생존이나 형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좀 더 분화된 세포인 THP-1은 HCMV 감염에 의해 생존 세포의 수가 감소하였고, 형태적 변화도 나타났다. 이러한 형태적 변화는 세포의 응집력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HCMV 감염에 따른 THP-1 세포 표면의 CD11b 발현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P-1 세포에 HCMV를 감염시킨 후 잠복감염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고, 세포 분화 유도제인 TPA와 hydrocortisone을 처리하였을 경우 방러스가 재활성화하여 증식하는지 알아보았다. 바이러스 감염 2일째에 분화시킨 THP-1 세포에서는 분화 5일째부터 다량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감염 17일째 분화시킨 세포에서는 분화 후 15일째부터 바이러스가 검출됨을 관찰하였다. 이는 HCMV를 THP-1 세포에 감염 후 분화를 시키면 잠복감염해 있는 HCMV가 재활성화 되는 것이라 생각되고, 감복해 있던 기간이 길어질수록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정도는 지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HCMV에 감염된 TBP-1 세포에서 세포간 부착분자-1 발현 촉진물질의 방출 (Secretion of Cytokine Stimulating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l Expression from THP-l Cells Infected with Human Cytomegalovirus)

  • 김미숙;이현아;이찬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0-146
    • /
    • 2008
  • 다양한 염증 질환을 유발하는 사람세포거대바이러스(Human cytomegalovirus: HCMV)는 단핵구 세포주인 THP-1 세포에서 염증반응의 중요한 매개체인 세포간부착분자-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1) 발현을 촉진한다. ICAM-1 발현은 자외선으로 불활화시킨 HCMV (UV-HCMV)에 의해서도 촉진되므로 이 과정에 HCMV 유전자발현은 꼭 필요하지는 않은 것 같다. HCMV에 감염된 THP-1 세포 배양액을 감염되지 않은 THP-1 세포에 처리하거나 공유하게 하였을 시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서도 ICAM-1 발현이 증가하였다. 감염된 세포 배양액에 의한 ICAM-1 발현 증가는 $NF-{\kappa}B$ 경로를 거친다. UV-HCMV에 감염된 세포의 배양액은 ICAM-1 발현을 촉진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HCMV에 의한 THP-1 세포에서 ICAM-1 발현 증가는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감염된 세포에서 ICAM-1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분비하는 과정에는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단핵구 THP-1의 염증반응 및 장관상피세포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퉁퉁마디 추출물 분획의 영향 (Modulation of the inflammatory process and interaction of THP-1 monocytes with intestinal epithelial cells by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s)

  • 최유미;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78-38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추출물의 용매 분획을 통해 얻은 Fr.H, Fr.E, Fr.EA, Fr.B, 및 Fr.W, 분획의 인간 단핵구 THP-1 세포에 대한 면역조절 활성과 정상 장관계 세포 및 장관계 암세포를 이용하여 면역세포와 장관상피 세포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HP-1 세포는 PMA에 의해 분화가 진행되었으며 분화된 THP-1 세포는 LPS에 의해 활성화되어 COX-2 단백질 발현이 유도 되었다. 퉁퉁마디 분획은 분화된 THP-1 세포에서 COX-2, iNOS, 및 $cPLA_2$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분획 중 Fr.E는 LPS에 의해 유도된 COX-2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분화된 THP-1에서 퉁퉁마디 분획을 처리하여 얻은 배양액은 INT-407 정상 장관계 세포의 성장을 촉진한 반면, HT-29 대장암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성장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HP-1에 LPS를 처리한 배양액은 HT-29 세포의 COX-2 발현을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LPS의 효과는 Fr.E의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세포와 장관계 세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퉁퉁마디 분획의 영향을 조사하여 이를 통한 면역조절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으며, 면역조절 기능성 소재로서의 퉁퉁마디의 이용성 확대를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과나무잎말이나방의 성 페로몬 합성과 생물활성시험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Test of the Pheromone of the Asiatic Leafroller Moth)

  • 강석구;구민숙;노광현;이정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76-581
    • /
    • 1987
  •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의 성 유인물질인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1)와 (E)-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2)를 합성하여 생물활성시험을 수행하였다. 10-브로모데칸-1-올과 DHP에서 얻어지는 10-브로모데칸-1-올 THP에테르를 아세틸렌소디움음이온과 알킬화시켜 11-도데신-1-올 THP에테르를 합성하였다. 이것을 부틸리튬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리튬음이온을 브로모에탄과 반응시켜 11-테트라데센-1-올 THP에테르를 얻었다. 이것을 $Pd/BaSO_4$하에서 수소환원시켜 (Z)-11-테트라데센-1-올 THP에테르를 얻었고, $Na/NH_3$와 금속환원시켜 (E)-11-테트라데센-1-올 THP에테르를 얻었다. (Z)-와 (E)-형의 화합물을 보호기를 제거한 후 아세트산무수물로 아세틸화하여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와 (E)-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를 각각 얻었다. 합성된 성 페로몬에 대한 사과무늬잎말이나방 숫컷의 성 유인력을 시험해 본 결과 활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THP-1 세포주에서 Leptin에 의한 케모카인 유전자 발현 (Effect of Leptin on the Expression of Chemokine Genes in THP-1 Cells)

  • 최진희;박호선;이태윤;김성광;김희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29-141
    • /
    • 2003
  • Background: Leptin is a 16-KDa non-glycosylated peptide hormone synthesized almost exclusively by adipocytes. The well-known function of leptin is regulation of food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Leptin also plays a regulatory role in immune and inflammatory process including cytokine p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ptin on the expression of several chemokine genes(RANTES, IL-8, MCP-1, IP-10, Mig, MIP-$1{\alpha}$, MIP-$1{\beta}$, and GRO-${\alpha}$) in THP-1 cell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RNA of THP-1 cells were prepared by Trizol method, and then stimulated with the leptin(250 ng/$m{\ell}$) or LPS(100 ng/$m{\ell}$). We examin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various chemokine mRNAs in THP-1 cell lines by RT-PCR and Northern blot. Results: Leptin did not induce the expression of chemokine mRNAs in THP-1 cells. The expression patterns of RANTES, IL-8, MCP-1, IP-10, and Mig mRNAs in THP-1 cells stimulated with leptin and LPS simultaneously was almost same to the patterns of LPS alone-induced chemokine mRNAs. RANTES mRNA expression was in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s of leptin. Although leptin did not have strong effect on the expression of RANTES, IL-8, MCP-1, IP-10, Mig, MIP-$1{\alpha}$, MIP-$1{\beta}$, and GRO-${\alpha}$ mRNAs in THP-1 cells, leptin could induce the expression of long isoform of leptin receptor(OB-RL) mRNA, and its expression was elevated in simultaneous stimulation of leptin and LPS.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leptin is able to induce OB-RL in THP-1 cells, however, leptin has littl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hemokine genes.

  • PDF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 페로몬 합성과 생물활성 시험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Test of the Sex Pheromone of the Summer Fruit Tortrix Moth)

  • 강석구;안상순;김정한;이정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5-70
    • /
    • 1988
  •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 유인물질 (Z)-9-인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1)와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2)를 합성하여 생물활성시험을 수행하였다. 1,8-옥탄디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8-브로모옥탄-1-올 THP 에테르를 1-헥신의 리튬음이온과 알킬화시켜 9-테트라데신-1-올 THP 에테르를 얻었다. 이를 Pb/BaSO4 촉매하에서 수소환원시킨 후 PPTS로 보호기를 제거하여 (Z)-9-테트라데센-1-올을 얻었으며 이를 아세틸화시켜 (Z)-9-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1)를 합성하였다. 한편 1,10-데칸디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10-브로모데칸-1-올 THP 에테르를 아세틸렌나트륨음이온과 알킬화시켜 11-도데신-1-올 THP 에테르를 얻는다. 이를 다시 부틸리튬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리튬음이온을 브로모에탄과 반응시켜 11-테트라데신-1-올 THP 에테르를 형성시켰다. 이를 Pd/BaS$O_4$ 하에서 수소환원, 보호기제거 후 (Z)-11-테트라데신-1-올을 거쳐, 아세틸화시켜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 (2)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성 페로몬에 대한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숫컷의 성 유인력을 시험해본 결과 활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PET Imaging of Click-engineered PSMA-targeting Immune Cells in Normal Mice

  • Hye Won Kim;Won Chang Lee;In Ho Song;Hyun Soo Park;Sang Eun Kim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61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the targeting ability against PSMA in cell therapy using metabolic glycoengineering and biorthogonal chemistry and to visualize cell trafficking using PET imaging. Cellular membranes of THP-1 cells were decorated with azide(-N3) using Ac4ManNAz by metabolic glycoengineering. Engineered THP-1 cells were conjugated with DBCO-bearing fluorophore (ADIBO-Cy5.5) for 1 h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analyzed by 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y and flow cytometry. For PSAM ligand conjugation to THP-1 cells, Ac4ManNAz treated THP-1 cells were incubated with DBCO-PSMA ligand (ADIBO-GUL) at a final concentration with 100 µM for 1 h. To evaluate the effect on cell recognition, PSMA ligand conjugated THP-1 cells(as effectors) were co-cultured with PSMA positive 22RV1 (as target cells) at 3 : 1 a effector-to-target cell (E/T) ratio. The interaction between THP-1 and 22RV1 was monitored by 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y. For preparing the radiolabeled THP-1, the cells were treated at the activity of ~ 740 kBq of [89Zr]Zr(oxinate)4/5 × 106 cells. Radiolabeled cells were analyzed for determination of cell-associated radioactivity by gamma counting and viability using MTS assay. In the cytotoxicity assay, THP-1 cells did not have any cytotoxicity even when the Ac4ManNAz concentration was 100 µM. In confocal microscopy and flow cytometry, THP-1 cells were efficiently labeled ADIBO-Cy5.5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dose of 100 µM was the optimal concentration for the following experiments. The clusters of PSMA ligand-conjugated THP-1 cells and 22RV1 cells were identified, indicating cell-cell recognition over the cell surface between two types of cells. Cell radiolabeling efficiency was 54.5 ± 17.8%. THP-1 labeled with 0.09 ± 0.03 Bq/cell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compared to unlabeled THP-1 up to 7 days. We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Ac4ManNAz treated cells were efficiently conjugated with ADIBO-GUL for preparing the PSMA-targeting cells, and [89Zr]Zr(oxinate)4 could be used to label cells without toxicity. It suggested that PSMA-ligand conjugated cell therapy could be improved cell targeting and be monitored by PET imaging.

AURKA Suppresses Leukemic THP-1 Cell Differentiation through Inhibition of the KDM6B Pathway

  • Park, Jin Woo;Cho, Hana;Oh, Hyein;Kim, Ji-Young;Seo, Sang-Beom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5호
    • /
    • pp.444-453
    • /
    • 2018
  • Aberrations in histone modifications are being studied in mixed-lineage leukemia (MLL)-AF9-driven acute myeloid leukemia (AML).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regulation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MLL-AF9 type AML cell line THP-1. We observed that, upo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treatment, THP-1 cells differentiated into monocytes by down-regulating Aurora kinase A (AURKA), resulting in a reduction in H3S10 phosphorylation. We revealed that the AURKA inhibitor alisertib accelerates the expression of the H3K27 demethylase KDM6B, thereby dissociating AURKA and YY1 from the KDM6B promoter region. Using Flow cytometry, we found that alisertib induces THP-1 differentiation into monocytes. Furthermore, we found that treatment with the KDM6B inhibitor GSK-J4 perturbed the PMA-mediated differentiation of THP-1 cells. Thus, we discovered the mechanism of AURKA-KDM6B signaling that controls the differentiation of THP-1 cells, which has implications for biotherapy for leukemia.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Monocytes by Human Cytomegalovirus is Related with Calcium Increase

  • Moon, Myung-Sook;Lee, Gyu-Cheol;Lee, Chan H.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224-229
    • /
    • 2002
  • The effect of human cytomegalovirus (HCMV) on three human monocyte cell lines at different stages of differentiation was investigated. While the viability of HL-60 cells or U-937 cell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HCMV infection, the viability of THP-1 cells was reduced. Acridine orange/ethidiurn bromide staining revealed that the reduction of THP-1 cell viability was due to increased apoptotic death following HCMV infection. Apoptosis in HL-60 cells was not affected by HCMV infec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of U-937 cells by HCMV was intermediate between HL-60 and THP-1 cells. Since HL-60 cells are the least differentiated and THP-1 cells are the most differentiated, the induction of apoptosis of human monocytes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degree of cell differentiation. Flow cytometric and confocal microscopic studies using fluorescent calcium indicator Fluo-3 sugges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racellular free calcium concentration ([Ca$\^$2+/]i) in THP-1 cells undergoing apoptosis by HCMV infection. Again [Ca$\^$2+/]i in HCMV-infected HL-60 cells was not critically altered, and that in HCMV-infected U-937 cells was intermediate between THP-1 cells and HL-60 cells. Calcium influx blockers such as verapamil and nifedipine partially reversed HCMV-induced apoptosis in THP-1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