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N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35초

한우거세우 비육후기 배합사료의 적정 조단백질 및 에너지함량 규명에 관한 연구 (Effects of Level of CP and TDN in the Concentrate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during Final Fattening Period)

  • 정준;성낙일;황일기;이선복;유명상;남인식;이명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4호
    • /
    • pp.305-312
    • /
    • 2010
  • 한우 거세 비육우에 출하 전 163일간 LPLT구(CP 12%, TDN 73%)와 LPHT구(CP : 12%, TDN : 75%), HPHT구(CP : 14%, TDN : 75%)로 배합사료를 급여한 사양시험결과 일당증체량은 LPHT구에 비하여 대조구와 HPHT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증체가 많았던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사료요구율 역시 LPHT구에 비하여 LPLT구와 HPHT구의 사료이용효율이 좋았던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도체율은 영양소의 추가적인 급여가 영향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수송감량에서는 HPHT구의 수송감량이 대조구와 LPHT구에 비하여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등지방두께와 배최장근단면적에서 HPHT구가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냉도체중 및 육량지수에는 영향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육량등급의 수취에서 등지방두께와 정의 영향을 주는 배최장근단면적이 높았던 HPHT구가 LPLT구와 LPHT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육질형질 중 근내지방도는 대조구와 LPHT구에 비하여 HPHT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 영향으로 육질등급의 수취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어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그러나 다른 육질에 영향하는 항목들에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지육경락가격은 LPLT구(17,904원)와 LPHT구(18,094원)에 비하여 HPHT구(18,899원)가 유의하게 수취금액이 높았다(P<0.01). 특히 최종 육질등급 출현율을 살펴보면 1등급이상 출현율에서 대조구는 79.2%로 나타난 반면 LPHT구는 72.7%가 출현되었고 HPHT구는 90.8%의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배최장근단면적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서 대조구와 LPHT구 및 HPHT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는 없었다. 다만 HPHT구의 조지방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88). 등심 중의 지방산의 조성변화는 포화지방산의 경우 stearic acid 함량이 HPHT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불포화지방산은 Myristoleic acid 및 ole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나 LPHT구에 비하여 HPHT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는 단일불포화 지방산함량 대비 포화지방산의 비율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육성적에서 HPHT구가 개선되었고 도체등급에서도 HPHT구가 현저히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도체의 지방산조성에서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한우 거세우에서 수행한 본 연구의 이 같은 발육성적과 도체의 성적을 고찰함에 있어서 비육용 배합사료의 원가 분석과 함께 시판되는 농후사료의 단가체계 등에 대한 고찰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Selection of Promising Forage Crops and Variety for Forage Production in Paddy Field 1. Middle region(Suwon))

  • 서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7-216
    • /
    • 2004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 및 품종을 선발하고자 경기 수원 축산연구소에서 보리(3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 등 4작목 11품종을 공시하여 $1999{\sim}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5월 1일, 유숙기는 5월 15일경,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초장은 87cm, 건물수량은 ha당 $7.30{\sim}9.58$톤, TDN 수량은 $4.75{\sim}6.24$톤이었으며, 알보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밀은 보리에 비해 출수가 1주일 가까이 늦었으나 수량성이 높고 사료가치가 우수하여(TDN $66.5\%$)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8.17{\sim}10.82$톤, TDN 수량은 $5.33{\sim}7.31$톤이었다. 호밀의 출수기는 4월 $27{\sim}29$일이었으며, 초장이 127cm로 개화이후 도복이 관찰되었고, 공시작목 중 사료가치는 가장 낮았으며, 개화기 기준 건물수량은 10.18톤, TDN 수량은 6.03톤이었다. 중만생 IRG는 출수가 늦어 답리작용으로 권장하기 어려웠으며, 조생 IRG는 5월 7일에 출수되어 개화기 전후(5월 중순경) 수확이 유리하고, 이때 건물수량은 4.48톤, TDN 수량은 2.96톤이었다. 본 시험에서 벼 이앙시기, 건물생산성, 출수기, 사료가치, 도복 등을 종합고려한 유망작목은 호밀과 보리였으며, 5월 중순 벼 이앙시 적작물은 5월 상순에 수확이 가능한 호밀, 5월 하순 벼 이앙시에는 호밀과 보리(알보리)가 추천되었고, 조생 다수성 IRG의 도입이 적극 검토되었다

파종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 생산능력 (Forage Performance Evaluation of Rye Cultivars with Different Sowing Dates)

  • 김수곤;김종덕;권찬호;하종규;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8
    • /
    • 2006
  • 본 연구는 파종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생산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배치는 동일한 포장에서 10처리 3반복의 분할구배치로 주구에는 9월 15일과 9월 30일의 파종시기를, 세구에는 'Kodiak', 'Koolgrazer', 'Danko', 'Homil22', 'Olhomi1' 품종을 두었다. 조기파종시의 건물(DM) 함량은 각각 19.7%로 만기파종시의 17.8% 보다 높았으나, 조단백질(CP) 및 가소화영양소총량 (TDN) 함량에 있어서는 만기파종시 보다 낮았다. 조생품종인 Koolgrazer 및 Olhomi1 품종의 건물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건물수량은 높았으나, CP 및 TDN 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낮았다. ADF, NDF 및 cellulose 함량은 조기파종이 만기파종시 보다 높았으며, ADL 및 hemicellulose 함량은 조기파종이 만기파종시 보다 낮았다. ADF 및 cellulose 함량은 조생품종인 다른 품종보다 높았으나 ADL 및 hemicellulose 함량은 만생종이 Danko가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 조기파종시의 DM, CP 및 TDN 수량은 각각 10,742, 1,774 및 6,571 kg/ha로 만기파종시의 7,770, 1,288 및 4,882 kg/ha 보다 높았으며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론은 사초용 호밀의 파종시기를 고려할 때 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조생호밀품종에 조기파종을 조합하는 사초생산 기술이다.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사초 수량 및 품질 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 김종덕;권찬호;김호중;박진길;이병생;빙기선;문승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7-302
    • /
    • 2002
  • 본 시험은 수단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사료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1년 연암축산원예대학의 부속시험농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한 품종은 농협중앙회의 추천 품종으로 출수형 품종인 'SXl7' 및 '877F'과 비출수형 품종인 'TE Evergreen' 및 'Turbo 9'을 공시하였다. 수단그라스 품종의 당도는 출수형 품종인 SXl7 및 877F 품종이 비출수형인 TE Evergreen 및 Turbo 9 품종보다 높았다. 내병성과 내충성은 공시품종 모두가 높았으나, 내도 복성은 SXl7 품종이 가장 높았다. 수단그라스의 건물 및 TDN 수량은 출수형이 비출수형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중에서 건물 및 TDN 수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877F 품종으로 각각 21,007 및 12,276㎏/ha 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Turbo 9 품종이 10.5%로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 ADF 함량은 비출수형 품종이 출수형 품종보다 높았으나, ADF 및 ADL 함량은 출수형이 비출수형 품종보다 높았다. TDN 함량은 비출수형이 출수형 품종보다 높았다. CDOMD도 비출수형이 출수형 품종보다 높았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생육특성과 사료수량은 출수형 품종이 비출수형 품종보다 우수하였으며, 사초의 품질은 비출수형이 출수형보다 우수하였다.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 생산능력 (Forage Yield and Quality in Rye Cultivars with Different Harvesting Dates)

  • 김수곤;김종덕;권찬호;하종규;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04
    • /
    • 2006
  • 본 연구는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생산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4월 20일과 4월 30일의 수확시기를, 세구는 'Kodiak', 'Koolgrazer', 'Danko', 'Homil22', 'Olhomil' 품종으로 하였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함량은 각각 17.8%로 만기수확시의 20.0% 보다 낮았으나,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는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건물,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ADF, NDF, ADL 및 cellulose 함량은 조기수확이 만기수확시 보다 낮았으나, hemi-cellulose 함량은 조기수확이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의 섬유소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조단백질, IVDDM 및 TDN 수량은 각각 7,839, 1,468, 6,077 및 5,128kg/ha로 만기 수확시의 11,003, 1,813, 8.032 및 6,857kg/ha 보다 낮았으며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시험에서 얻어진 결론은 사초용 호밀의 수확시기를 고려할 때 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조생호밀품종에 만기수확을 조합하는 사초생산기술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Yield and Quality of Silage Corn as Affected by Hybrid Maturity, Planting Date and Harvest Stage

  • Kim, J.D.;Kwon, C.H.;Kim, 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2호
    • /
    • pp.1705-1711
    • /
    • 2001
  • Silage corn (Zea mays L) is grown extensively in livestock operations, and many managements focus on forage yie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Experimental Livestock Farm, Suwon in 1998. We determined the effect of planting date and harvest stage on forage yield and quality responses of corn hybrids (five relative maturity groups). The five maturity groups (100 d, 106 d, 111 d, 119 d and 125 d) were planted on 15 April and 15 May, and harvested at maturity stages (1/3, 1/2 and 2/3 kernel milkline). Whole plant dry matter (DM) and ear percentag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rn hybrids. Ear percentages of early maturing corns (100 d and 106 d) were higher than for other hybrids. Ear percentage at the early planting date was higher than that at the late planting date for all corn hybrids. The DM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of the 106 d and 111 d corn hybrids were higher than other hybrids, and the DM and TDN yields at the early planting date were higher than that at the late planting date.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percentages were greater for the late maturity corn hybrids. For plants of the early planting date, the ADF and NDF percentages were lower than for those of late planting date for hybrids. From the comparison among harvest stages, ADF and NDF percentages were decreased as harvest stage progressed. The TDN, net energy for lactation (NEL), and cellulase digestible organic matter of dry matter (CDOMD) were decreased as maturity of corn hybrid delayed. The TDN, NEL, and CDOMD values at the early planting date were higher than those at the late planting date among for corn hybrids. From the comparison among harvest dates, TDN, NEL, and CDOMD values were increased as harvest stage progres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DM percentage of grain at harvest with DM and TDN yields were 0.68*** and 0.76***, respectively.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r percentage with ADF, NDF, and CDOMD were -0.81***, -0.82*** and 0.73***, respectively. Our study showed differences of silage corn in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resulting from hybrid maturity, planting date, and harvest stage. We believe that for the best silage corn, selection of the hybrid and best management practices are very important.

급여수준에 따른 한우 암소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Evaluation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According to the Intake Levels of Total Mixed Rations of Hanwoo Cow)

  • 김두리;하재정;김종택;송영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75-480
    • /
    • 2011
  • 최근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국제적인 관심이 대두되면서 반추가축의 가스발생을 조절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실험은 섬유질배합사료를 TDN의 유지수준과 섭취수준별 가스 발생량의 증가 정도 및 절식시 감소량을 측정함으로써 반추위내 장내발효에 의한 호흡가스의 정확한 산출근거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43개월 령의 평균체중 $372{\pm}11.2$ kg의 Fist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를 공시하여 한우사양표준(2007)에 의거하여 TDN (kg)유지수준의 성장, 200 g/일 및 400 g/일 증체수준으로 TMR 사료를 각각 2회에 걸쳐 급여하였으며 물과 mineral block은 자유 섭식하도록 하였다. 온실가스 측정은 NDIR (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 센서를 이용한 가스다중검출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및 메탄가스를 측정하였으며, 호흡챔버 내 환경온도는 $20^{\circ}C$를 유지하였다. 실험결과 급이 수준별 TDN가가 높을수록 가스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에서는 유지수준에 비해 200 g/일에서 21.1%, 400 g/일에서 40.6% 수준으로 가스 발생량을 나타내었다. 메탄 발생량은 유지수준에 비해 200 g/일에서 33.5%, 400 g/일에서 69.6% 수준의 가스발생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절식 대사시 3일차부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8%와 51% 수준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메탄발생량은 각각 15%와 37%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위 결과는 향후 축산분야의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사양체계 및 절식대사를 통해 한우의 장내발효에 의한 가스발생조절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숙기가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파종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e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corn Four Maturity Groups)

  • 김동암;이광녕;신동은;김종덕;한건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7-337
    • /
    • 1996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SNU Experimental Livestock Farm, Suweon in 1995 to determine effect of planting date on forage performance of wm hybrids of four different maturity groups. A split-plot design replicated three times was used, with com hybrids representing four maturity groups (115, 118, 121 and 125 days) being the main plots and planting dates (3124, 415, 415, 425, 515 and 5/15) the sub-plots. 1. Days to emergence and percent emergence from the March 24 planting were, on the average, 36 days and 58%, respectively, but those from the April 5 to May 15 planting averaged 12 days and 92%, respectively. 2. Plant and ear heights increased gradually as the dates of planting were delayed except the May 15 planting, however, percent ear was decreased as the dates of planting were delayed. There was a trend for the mean lodging percentage of the hybrids to be higher as the planting date was delayed. 3. The 115-and 118-day mediumearly maturing hybrids harvested on August 18 produced silages with a dry matter content between 27 and 30% at all planting dates except the May 15 planting, while the 121-and 125-day medium-late maturing hybrids produced silages with a dry matter wntent less than 27% regardless of any planting date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dry matter yield among the hybrids, but significant mean TDN yield differences were found. The 115-, 118- and 125-day hybrid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TDN yield than the 121-day hybri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dry matter and TDN yields among the planting dates. The mean dry matter and TDN yields from the April 5, 15 and 25 planting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lanting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TDN yield among the April 5, April 15 and April 25 plantings. No significant planting date $\times$ maturity interactions were found for both the dry matter and TDN yields. 5. Mean stover NDF and ADF contents of the 115- and 118day hybrid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121- and 125-day hybrids, but the reverse was true for mean stover IVDMD and RFV. Mean stover NDF an ADF contents increased with earlier plantings, but mean stover IVDMD and RFV increased when planting was delayed.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for corn planting in central and northern areas of Korea, early to mid-April may be the right time with the 115-to 118-day maturity hybrids when silage making before August 20 is taken into consideration.

  • PDF

청보리-옥수수 작부체계시 조사료 최대생산을 위한 청보리 수확시기 구명 (Study on High Forage Production in Double Cropping Systems with Barley and Corn at paddy field in Middle Region)

  • 주정일;강영식;성열규;지희정;이희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5-292
    • /
    • 2012
  • 논에서 청보리를 수확한 후 사료용 옥수수를 뒷그루로 재배할 경우 옥수수의 파종 시기는 청보리의 수확시기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에 따라 조사료 생산량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시험은 청보리를 생육단계별로 수확한 후 뒷그루로 사료용 옥수수를 파종하는 작부체계에서 조사료 생산성이 최대가 되는 청보리 수확시기와 사일리지 옥수수 파종시기를 구명코자 2009~2010년 충남농업기술원 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청보리는 출수 후 20일에 수확하는 것이 생초수량이 가장 높았으나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황숙기에 수확(출수 후 25일경)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는 청보리를 출수 25일에 수확한 후 파종하면 건물수량이 적기 파종에 비하여 약 16% 감소하였다. 옥수수 적기 파종에 의한 단작 재배는 청보리 출수 후 25일수확+ 옥수수 파종 작부조합에 비하여 총 생초수량 31%, 총 건물수량 28%, 총 TDN 수량 23% 감소되었다. "청보리+옥수수" 작부조합에서 총 생초수량은 '청보리 출수 후 15일 수확 ${\rightarrow}$ 옥수수 파종'이 가장 높았으나, 총 건물 수량과 TDN 수량은 "청보리 출수 후 25일 수확${\rightarrow}$사일리지 옥수수 파종"이 가장 높았으며, 이 때 청보리 생육단계는 황숙기이었고, 수분함량이 사일리지 제조에 가장 알맞은 시기이었다. 청보리를 황숙기 이후에 수확하면 옥수수의 수량이 급격히 감소되어 조사료의 총 생초수량과 TDN 수량이 크게 감소되므로 청보리를 황숙기 이전에 수확하고 옥수수를 가급적 빨리 파종할 필요가 있다.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2. 사료가치 및 TDN 수량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2. Nutrient value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 김원호;서성;윤세형;김기용;조영무;박태일;고종민;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3-288
    • /
    • 2003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위해 경기 수원(축산연)에서 1999 ∼ 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사료가치 및 TDN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총체보리의 유숙기 때의 ADF 함량은 27.3 ∼ 29.1% 이었고 황숙기의 경우 27.4 ∼ 30.4%이었다. 또한 유숙기와 황숙기 때의 NDF 함량은 50.6 ∼ 55.9% 그리고 53.1 ∼ 60.6. 유숙기와 황숙기의 TBN 함량은 65.4 ∼ 67.4% 그리고 64. 3 ∼ 67.7%이었다. 또한 ha 당 TDN 수량은 유숙기 때 4,120 ∼ 5,528kg, 황숙기 때 5,674 ∼ 6,569kg 이었다. 그리고 소화율은 유숙기 65.8 ∼ 74.6% 이었고 황숙기 때 64.6 ∼ 73.9% 이었다. 본 시험에서 수량 및 사료가치를 고려하여 수원지역에서는 총체용 보리 우량 품종은 알보리이며, 작부체계에 있어서 황숙기 때 수확하는 것이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