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M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1초

자동차 평균통행속도 적용방식에 따른 대기오염 배출량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ir Pollutants Emissions according to Three Averaging Methods of Vehicular Travel Speed)

  • 조규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1-41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be able to estimate the vehicular emissions according to spatial scales-Seoul province, 25 counties and hundreds of grids $(1km{\times}1km)$. First, the emissions at each spatial scale was calculated by using the road network and the travel volume and speed of each link modeled by travel demand model (TDM). Second, the emission at each spatial scale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verage speeds estimated by using three kinds of averaging method. These are called the provincial, volume-delay function (VDF) and zonal method, respectively. Third, three kinds of emissions and those by TDM are compared each other at three spatial scales. In Seoul (provincial scale), three kinds of emissions are less than those by TDM, but the differences of TDM from three speed averaging methods (SAMs) are small. The relative ratios of three SAMs to TDM are $88\~90\%\;in\;CO,\;99\~100\%\;in\;NOx,\;84\~85\%$ in VOCs. At county scale, NOx among three pollutant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DM and three SAMs and the zonal method among three SAMs was proven to b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DM. NOx showed the coefficients $(R^2)$ greater than 0.9 in all three SAMs but CO and VOC showed the coefficients $(R^2)$ greater than 0.9 in only zonal method. Slopes of co..elations of all pollutants showed the values close to '1' in zonal method. In the other two SAMs, slopes of NOx showed the values close to '1', but those of CO and VOC showed the values less than 0.85. At grid scale, correlations between TDM and three SAMs were not high. CO showed $0.68\~0.77\;in\;R^2s\;and\;58\~0.68$ in slopes. NOx showed $0.90\~0.94\;in\;R^2s\;and\;0.86\~0.94$ in slopes. VOC showed $0.56\~0.70\;in\;R^2s\;and\;0.48\~0.57$ in slopes. There are not high correlations between TDM and three SAMs in grid scale.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calculating the average travel speed at each spatial scale and it is thought that the zonal method is more suitable than the VDF or provincial method.

반코마이신의 임상약동학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한 임상적 및 경제적 손익의 평가 (Clinical and Economic Benefit Evaluation of Therapeutic Drug Monitoring Service on Vancomycin)

  • 배성미;안혜림;홍경자;나현오;조혜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2001
  •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economic benefits from therapeutic drug monitoring(TDM) service on vancomycin in a tertiary general hospital. Total 99 pairs of steady state peak and trough concentrations of vancomycin were obtained from 73 patients. To see the clinical benefits, the appropriateness of vancomycin dosing before TDM was evaluated. In 72 pairs of vancomycin blood concentrations obtained prior to TDM consultation, $47.2\%$ of the cases had reached within therapeutic range. Serum vancomycin levels in patients with $40{\leq}CLcr<60$ (ml/min) were higher and than the levels in patients with 40>CLcr and $60{\leq}CLcr$ (ml/min). Dose reduction rate in patients with creatinine clearance $40{\leq}CLcr<60$ (ml/min)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ared groups ($61.5\%$, p=0.0138). Serum vancomycin concentrations were re-obtained from 21 patients who received modified dose through TDM service. Ninety percent (19/21cases) of them were within the target therapeutic range. For the evaluation of economic benefits from TDM consultation, estimated cost savings were calculated in those patients. The total drug saving were 586 vials in 21 patients. The calculated mean cost saving from the drugs was 314,570 won (range: $11,273\sim473,466)$ per patient. The study revealed that TDM service for vancomycin is necessary because empirical dosing is not effective for obtaining therapeutic drug level, especially patients with mild renal insufficiencies. The cost saving from TDM is also beneficial for the patients.

  • PDF

WDM/TDM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요구 트래픽 특성을 고려한 분산 광 경로 설정 기법 (A Distributed Lightpath Establishment Scheme Considering User Traffic Characteristics in WDM/TDM Networks)

  • 임재복;이현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68-75
    • /
    • 2004
  • 본 논문은 WDM/TDM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요구 트래픽 특성에 따른 광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분산된 광 경로 설정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슬롯 기반의 WDM/TDM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요구 트래픽 특성을 고려하여 시간슬롯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대역폭 보장형 시간슬롯 할당(Guaranteed-Bandwidth Time-slot Allocation:GBTA)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트래픽 특성을 ATM 네트워크에서 정의하고 있는 서비스 범주에 적용하여 클래스를 구분하였다. 또한 링크의 이용률을 높이고 블록킹 확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안한 GBTA방식을 적용한 분산형 광 경로 설정 프로토콜을 확장하였다. 분산형 광 경로 설정 프로토콜은 광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보다 최근의 정보를 가지고 자원을 예약하는 후방 예약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GBTA 기반의 광 파장 경로 네트워크의 경로 설정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NS)를 확장한 DOWTns를 이용하여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광학 네트워크-온-칩에서 WDM/TDM 기반 채널 할당 기법 (WDM/TDM-Based Channel Allocation Methodology in Optical Network-on-Chip)

  • 홍유민;이재훈;한태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7호
    • /
    • pp.40-48
    • /
    • 2015
  • 광학 네트워크-온-칩(Optical Network-on-Chip, ONoC) 아키텍처는 향후 폭증하는 칩 내부 커뮤니케이션 병목 현상을 해결 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다. ONoC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파장 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방식을 이용하여 광 신호의 병렬 전송을 지원하고 경로 충돌을 방지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 신호의 간섭 및 감쇄에 의해 하나의 도파관에서 수용할 수 있는 파장 수는 제한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노드 수 증가에 따라 파장이 다른 광 신호 개수를 증가시키는 기존의 파장 분할 방식 연구들은 구현의 한계를 보일 것이라 전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WDM에 시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을 접목시켰다. 또한 채널 최적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TDM 방식의 접목으로 인한 여분채널 및 지연시간 문제를 최소화 하였다.

AMC/TDM/CDM 다중접속방식에서의 Best Effort 순방향 서비스를 위한 Water-filling Based 채널 스케줄러 (The Channel Scheduler based on Water-filling Algorithm for Best Effort Forward Link Traffics in AMC/TDM/CDM System)

  • 마동철;기영민;김동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9-71
    • /
    • 2003
  • 제한된 무선 채널을 여러 사용자들에게 공정성과 수율을 보장하면서 서비스하고자 제안된 무선 자원 관리기법이 채널 스케줄러이다. 비례 공정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TDM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 스케줄러로서, 이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의 시간적인 공정성을 고려한 상황에서 수율을 높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CDM 방식이 결합된 AMC/TDM/CDM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 스케줄러를 제안하였다. CDM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TDM만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처럼 매 시간 슬롯에 한 사용자만을 서비스하는 것이 아니라, 다중 코드 채널을 사용하여 여러 사용자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따라서 매 순간 다중 채널의 사용자들에게 제한된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water-filling 알고리즘을 적용한 water-filling fairness(이하 WF2)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WF2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water-filling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사용자들의 평균 신호 대 간섭 전력비를 고려하여 사용자간의 공정성을 부여한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레일레이 페이딩과 음영 및 경로 손실을 고려한 시스템 레벨 모의 실험을 통해 WF2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의 치료 목적으로 voriconazole을 단독으로 투여받는 폐이식 환자에서 voriconazole 약물혈중농도 모니터링의 유효성 검증 (Validation of Voriconazole Therapeutic Drug Monitoring in Lung Transplant Recipients Receiving Voriconazole alone for Treatment of Invasive Aspergillosis)

  • 손유정;이경아;조주희;김재송;손은선;박무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9-100
    • /
    • 2019
  • Background: Invasive aspergillosis (IA) is associated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particularly among immunocompromised patients, such as lung transplant recipients. Voriconazole, the first-line therapy for IA, shows a non-linear pharmacokinetic profile and has a narrow therapeutic range. Careful and appropriate administration is necessary, primarily because it is used for critically ill patients; however,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rapeutic drug monitoring (TDM) has not been sufficiently verifi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valid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voriconazole TDM in lung transplant recipients receiving only voriconazole for IA treatment. Methods: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lung transplant recipients (${\geq}19$ years of age) administered only voriconazole for > 7 days for treatment of IA from June 1, 2013 to May 31, 2018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Among the 54 patients, 27 each were allocated to TDM and non-TDM group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ICU-hospitalization status. Of the TDM group patients, 81.5% needed adjustment of voriconazole dosage because the levels were out of target range. Comparison of two groups showed that treatment response was higher throughout treatment and switching rates of second-line ag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DM group, but it was insufficient to confirm safety improvements through voriconazole TDM.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the treatment response tended to be higher and the rates of switching to second-line antifungal agents were lower in the TDM group, voriconazole TDM may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on IA in lung transplant patients.

다상회로와 고속DCT를 이용한 12채널의 TDM/FDM변환 (The 12 Channel TDM/FDM Translator with Polyphase Network and Fast DCT)

  • 박종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70-178
    • /
    • 1984
  • 12채널의 TDM/FDM變換時間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14點高速DCT와 多相回路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多相回路는 原試型필터를 各채널의 채널 필터로 變換하여 設計되었고 原試型필터에 대하여 分子의 次數는 168次로 對稱性을 갖도록 하였고 分母의 次數는 6次로 하여 CCITT規定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變換에 필요한 곱셈回數는 $0.12267{\times}10^2$ multiplications/sec channel로써 기존의 결과보다 약 15%~40% 단축하였다. 또한 간단한 檢波시스템을 포함하여 PRIME750컴퓨터에 의한 시뮬레이션過程을 거쳐 理論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 PDF

이동 백홀 망에서 Radio Access Network의 성능 (Performance for Radio Access Network in mobile backhaul network)

  • 박천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97-302
    • /
    • 2012
  • 이동 백홀 망에서 RAN은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동 백홀망에 연결시켜 준다. 이 시스템은 여러 세대의 이동 통신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스, 즉 셀 사이트 영역에서는 TDM, ATM, 그리고 이더넷, 이동 백홀 영역에서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조만간에 TDM 기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모두 IP/Ethernet으로 전환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이더넷 및 TDM 트래픽이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될 것 이다. 따라서 이들 기술들을 이동 백홀 망으로 전송되기 위하여 각각은 캡슐화가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캡슐화, 즉, ATM, MPLS, IP/UDP, 그리고 MEF8에 따른 성능이 측정되었다.

광섬유 하이드로폰 배열의 수중음향 감지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Sound Detection of the Fiber Optic Hydrophone Array)

  • 이종길
    • 센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2-107
    • /
    • 1999
  • 저주파용 광섬유 하이드로폰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2 채널을 가진 TDM 방식 광섬유 하이드로폰 배역을 구성하고 이를 수조에서 음향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150m의 광섬유를 중공 원통형 맨드릴에 감아 광섬유 하이드로폰을 제작하였으며 저주파용임을 감안하여 맨드릴의 고유진동수를 10kHz이상에 위치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하이드로폰은 수중과 음향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기 위하여 폴리우레탄으로 몰딩 하였다. 음향 특성을 보기 위하여 TDM 방식의 불평형 간섭계를 구성하여 수조에서 3kHz의 연속파형을 신호입력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작된 TDM 방식의 광섬유 하이드로폰은 수중에서 3kHz의 음향 신호를 안정적으로 검출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다채널을 가진 광섬유 하이드로폰 배열 개발에 응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