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P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초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혼잡 제어 기법 (Congestion Control Scheme for Efficient Multimedia Transmission in Broadband Wireless Networks)

  • 이은재;정광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599-1609
    • /
    • 2014
  •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TCP의 혼잡 제어 알고리즘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폭 및 지연 한계를 보장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혼잡 제어 기법인 COLO TCP(Concave Increase Slow Start Logarithmic Increase Congestion Avoidance TCP)를 제안하였다. COLO TCP는 저속증가 (Slow Start) 구간에서 오목 증가 (Concave Increas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량의 패킷 손실을 방지한다. 혼잡회피 (Congestion Avoidance) 구간에서는 패킷 손실 이후 감소된 혼잡 윈도우를 빠르게 복구하는 로그 증가(Logarithmic Increase)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높은 네트워크 활용도와 패킷 손실률의 감소를 위해 가산 증가(Additive Increase) 알고리즘과 적응 감소 (Adaptive Decrease)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COLO TCP가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중 패킷 손실에서 TCP-ATM 네트워크의 성능개선 방안 (Improving Performance behavior of TCP over ATM Network in multiple losses of packets)

  • 박우출;박상준;이병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10호
    • /
    • pp.18-2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ATM망에서의 UBR 서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에서의 TCP 혼잡 제어 알고리즘에 따른 성능 분석을 하였다. TCP 혼잡 제어 알고리즘에는 Slow Start, Congestion Avoidance, Fast Recovery, Fast Retransmit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TCP Reno, TCP Vanilla을 사용하여 ATM-UBR 서비스 망을 구축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러나 Fast Retransmit, Recovery 알고리즘의 특성에 의하여 다중 패킷 손실이 발생할 때의 ATM-UBR 네트워크에서도 성능 저하 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은 새로운 Fast Retransmit, Recovery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성능을 개선하였다.

  • PDF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지연 축소를 위한 TCP 친화적 하이브리드 혼잡제어 기법 (A TCP-Friendly Congestion Control Scheme using Hybrid Approach for Reduction of Transmission Delay for Real-Time Video Stream)

  • 김형진;조정현;나인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04-309
    • /
    • 2004
  • 최근 인터넷의 발전으로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UDP로 전송할 경우 TCP와 같은 혼잡제어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경로에 TCP 트레픽 궁핍을 일으켜 혼잡붕괴 및 막대한 전송지연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전송지연 축소와 혼잡제어를 위한 새로운 전송기법과 프로토콜에 대한 다각적 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TCP 친화적 혼잡제어 기법은 크게 일반적인 혼잡윈도우 관리기능을 이용하는 윈도우 기반 혼잡제어와 TCP 모델링 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전송율을 직접 조절하는 율 기반 혼잡제어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은 윈도우 기반과 율 기반을 복합적으로 다룬 하이브리드형 TCP-friendly 혼잡제어 기법에서 전송율 개선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NS를 사용하여 제안된 TEAR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TEAR가 TCP보다 적은 율 변동과 공정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

ATM 망에서 효율적인 TCP 폭주 제어 기법 (An Efficient TCP Congestion Control Scheme in ATM Networks)

  • 최지현;김남희;김변곤;전용일;정경택;전병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653-166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TCP에서의 트래픽 혼잡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혼잡제어 윈도우 파라미터인 cwnd와 RTT을 이용한 향상된 TCP 폭주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혼잡의 주된 발생을 피할 수 있도록 하였고, 회복 시간에 의해 발생하는 지연과 스위치 버퍼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평가 결과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버퍼 효율에서는 기존의 기법보다 22.56%의 향상이 있었고, 패킷 드롭율은 약 0.1%로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적은 손실을 보여주었다.

Ad Hoc 망에서 경로단절 사전감지를 통한 TCP 성능향상 (Improving TCP Performance through Pre-detection of Route Failure in Mobile Ad Hoc Networks)

  • 이병열;임재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1B
    • /
    • pp.900-910
    • /
    • 2004
  • Ad hoc망에서는 이동 호스트들의 움직임으로 인해 경로 단절이 발생한다. 전송 경로의 단절은 목적지까지의 패킷을 전송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패킷의 손실과 지연을 가져온다. 따라서 TCP와 같은 전송 프로토콜은 이를 망의 혼잡으로 간주하여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구동한다. 혼잡 제어 알고리즘은 망의 혼잡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경로 단절 시 혼잡 제어 알고리즘이 동작하면 TCP 성능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TCP-P (TCP Pre-freezing) 기법을 제안한다. TCP-P는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경로 단절에 대한 정보를 얻지 않고, MAC 계층에서 직접 경로 단절을 감지한다. 그리고 경로 단절 정보를 소스에게 보내어 TCP를 Pre-Freezing 하고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경로 단절로 인한 패킷 손실을 막고, 경로 재설정 후에도 경로 단절 이전 상태로 전송을 재개할 수 있게 한다. 실험 결과 TCP-P는 ad hoc 망의 경로 단절 환경에서 Proactive하게 반응하며, 패킷 손실 측면에서 다른 TCP 향상 기법들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대역폭과 지연의 곱이 큰 네트워크를 위한 개선된 TCP 혼잡제어 메카니즘 (Enhanced TCP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for Networks with Large Bandwidth Delay Product)

  • 박태준;이재용;김병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3호
    • /
    • pp.126-134
    • /
    • 2006
  • 현재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CP는 대역폭과 지연의 곱이 큰 네트워크에서 특히 초기 시동단계를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연기반 혼잡제어(DCC: Delay-based Congestion Control) 방법을 제안한다. DCC는 선형과 지수 증가구간으로 나누어진다. 선형증가 구간은 기존의 TCP 혼잡회피 기법과 유사하며, 지수증가 구간은 혼잡에 의한 지연이 없는 경우 신속한 대역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일반 TCP에서는 slow-start와 같은 지수증가 구간에서 대역과 지연의 곱으로 결정되는 크기의 버퍼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대역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손실이 발생하여 성능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DCC에서는 RTT(Round Trip Time) 상태와 예측된 버퍼크기를 이용하여 지수증가 구간의 공급초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는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대역과 지연의 곱이 큰 네트워크에서 DCC가 TCP에서 초기 시동시간과 throughput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였다.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TCP-friendly 혼잡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CP-friendly Congestion Control Scheme using Hybrid Approach for Multimedia Streaming in the Internet)

  • 조정현;나인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37-840
    • /
    • 2003
  • 최근 인터넷의 발전으로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해 UDP로 전송할 경우 TCP와 같은 혼잡제어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경로에 TCP 트래픽 궁핍을 일으켜 혼잡붕괴를 초래한다. 이러한 역효과를 피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새로운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TCP 친화적 혼잡제어기법은 크게 일반적인 혼잡윈도우 관리기능을 이용하는 윈도우기반 혼잡제어(window-based congestion control)와 TCP 모델링 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전송율을 직접 조절하는 율기반 혼잡제어(rate-based congestion control)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은 윈도우기반과 율기반을 복합적으로 다룬 하이브리드 TCP-friendly 혼잡제어기법에서 전송을 개선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Performance and Fairness Analyses of a STA/LTA based Internet Congestion Algorithm

  • Chung, Young-Jun;Song, Hwa-Sun;Joo, Sang-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Reliability and Applications
    • /
    • 제3권2호
    • /
    • pp.99-112
    • /
    • 2002
  • Traffic congestion is one of critical factors in Internet applications to guarantee their QoS and provide reliable services. This paper discusses many existing congestion control algorithms and proposes a new ISDA. The algorithm is analyzed in respect of queue length, throughput and fairness. The proposed algorithm is working well with TCP and UDP traffics to offer QoS guarantee and fairness.

  • PDF

광대역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 성능 개선을 위한 ACA-TCP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CA-TCP to Improve Performance of Congestion Control in Broadband Networks)

  • 나상완;박태준;이재용;김병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0호
    • /
    • pp.8-17
    • /
    • 2006
  • 현재 초고속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고, 광대역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축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지금 사용하고 있는 TCP 혼잡 제어 알고리즘은 협대역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여, 광대역 네트워크의 트래픽 전송에 있어서 효율성이 낯은 상태이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광대역 네트워크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한 TCP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TCP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수신측에서 송신측에 보내는 ACK 정보 및 RTT 변화와 특성을 이용하여 가용한 대역폭을 예측함으로써 가용한 혼잡 윈도우 크기를 조정하고 대량의 패킷 손실을 최소화한다. 또한, 혼잡 회피 단계에서의 기존 TCP 알고리즘을 개선함으로써 가용한 대역폭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알고리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ns-2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광대역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 $HSTCP^{[2]}$보다 전송률이 향상되어 가용 대역폭 활용률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공정성과 RTT 공정성도 개선하였음을 보였다.

혼잡 및 무선 구간 손실의 차별적 처리를 통한 WTCP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WTCP by Differentiated Handling of Congestion and Random Loss)

  • 조남진;이성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9호
    • /
    • pp.30-38
    • /
    • 2008
  • 유선망을 가정하여 설계된 기존의 TCP를 무선망이 혼재된 망에서 그대로 사용하면 무선구간의 랜덤 손실도 유선구간의 혼잡 손실과 동일하게 간주하게 된다. 이러한 잘못된 판단과 조치는 대역폭을 낭비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처리량(throughput)을 저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선망 혼잡과 무선구간 손실을 판별할 개선된 방법을 사용하여 망 상황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판단된 각 상황에 대해서 망 처리량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TCP Westwood, TCP Veno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