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P

검색결과 2,281건 처리시간 0.041초

유무선 혼합 네트워크에서의 TCP Fairness 향상 기법 (A TCP Fairness Improvement Scheme for Wired and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s)

  • 조성준;김성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4-40
    • /
    • 2006
  • 유무선 혼합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무선 단말기들은 한 접속점 (Access Point, AP)에 접속을 하여 통신을 한다. 이때 AP는 네트워크에서의 병목점이 되어 버퍼오버플로우가 자주 발생하며, TCP 성능 저하의 주된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혼합 네트워크에서 AP의 버퍼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고, TCP fairness를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새 알고리즘은 AP의 버퍼 사용량에 따라 각 송신측의 전송률을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버퍼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고, 향상된 TCP fairness를 보장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했을 때, 버퍼 오버플로우 방지를 통해 처리율 및 TCP fairness가 향상됨을 검증하였다.

  • PDF

상호 연관성을 갖는 연속적인 패킷 손실에 대한 TCP 손실 복구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CP Loss Recovery for Correlated Packet Losses over Wireless Networks)

  • 김범준;김석규;이재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7B호
    • /
    • pp.660-666
    • /
    • 2004
  • 처리율로 대표되는 전반적인 TCP의 성능은 패킷 손실이 발생했을 때 이를 복구하는 과정의 효율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특히, 무선 링크를 통한 전송 과정에서의 비트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비 혼잡 패킷 손실은 TCP의 손실 복구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채널에 존재하는 다중 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에 의해서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패킷 손실(correlated packet Losses)에 대해 TCP 손실 복구 과정의 성능을 모델링을 통해서 분석한다. Markov 프로세스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패킷 손실 확률이 매우 낮더라도 패킷 손실의 연속성이 손실 복구 차원에서의 TCP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빠른 손실 감지를 통한 TCP NewReno의 Fast Recovery 개선 알고리듬 (Enhancements to the fast recovery Algorithm of TCP NewReno using rapid loss detection)

  • 김동민;김범준;김석규;이재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7B호
    • /
    • pp.650-659
    • /
    • 2004
  • 국내 무선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 수용과 시장 성장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구간에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도 늘어날 전망이다. TCP는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함을 가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무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 혼잡 손실에 의해 많은 성능 저하를 겪을 수 있다. 특히 RTO(retransmission timeout)은 TCP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송신단에서 fast recovery과정 중에 발생한 패킷 손실을 빠르게 감지하여 RTO없이 복구함으로써 성능저하를 줄일 수 있는 DAC$^{+}$(Duplicate Acknowledgement Counting)와 EFR(Extended Fast Recovery)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듬을 TCP NewReno와 비교했을 때 정상 상태에서 fast recovery 확률이 높고, 이에 따른 RTO 감소로 인해 response time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TCP 성능 향상 기법 (A TCP Performance Enhancement Scheme in Wireless Mesh Networks)

  • 이혜림;문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39-1145
    • /
    • 2010
  •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무선 인프라 환경에서 고정이나 이동 중에 모든 노드가 통신을 할 수 있는 다중 경로를 가지는 새로운 네트워크이다. 하지만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유선망과 달리 무선 매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로손실, 간섭, 핸드오프 등으로 높은 패킷 손실률을 보이고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 알고리즘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의 패킷손실 원인을 네트워크 내의 혼잡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TCP 혼잡제어 알고리즘(Congestion Control Algorithm)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력을 가지도록 기존의 TCP 혼잡제어 알고리즘의 혼잡 윈도우 값을 노드의 이동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하는 새로운 TCP 혼잡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무선통신 환경에서 TCP의 성능개선을 위한 분할 ACKs 기법 (Split ACKs Mechanism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CP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s)

  • 김길연;진교홍;이정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7권3호
    • /
    • pp.247-255
    • /
    • 2000
  •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의 보급이 날로 증가됨에 따라 무선 접속 인터넷 서비스이 사용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 프로토콜은 에러 발생율이 낮은 유선망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망에서 발생되는 패킷 손실을 망내의 폭주로 인한 것으로 가정하고 폭죽제어 알고리즘을 동작시켜 윈도우 크기를 줄인다. 그러나 무선통신망과 같이 에러 발생율이 높은 환경에서는 패킷 손실이 주로 엘 발생에 기인하는데, 이 경우 기존의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폭주제어 알고리즘이 동작되어 TCP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복합망에서 TCP 프로토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Split ACKs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은 기지국에서 무선링크의 패킷 손실 이후에 수신된 ACK 패킷을 여러 개로 쪼개서 TCP 송신측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여러 개의 ACK 패킷을 수신한 TCP 송신측은 폭죽제어 알고리즘이 동작되어 감소시킨 윈도우 크기를 빠르게 복귀시켜 주기 때문에, 저하된 TCP 프로토콜의 성능을 신속히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안된 기법은 기존 TCP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TCP의 End-to-end Semantics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분석 결과 이 기법은 기존의 TCP 프로토콜에 비해 약 20%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

MIPv6에서 SCTP 기반 이동단말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obile node based on SCTP in MIPv6)

  • 김광현;조정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391-1400
    • /
    • 2008
  • 최근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는 TCP/UDP 이후의 연결 지향적이며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차세대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주목받고 있다. SCTP는 기존의 TCP에 기반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TCP와 다른 특징으로는 멀티스트리밍과 멀티호밍 의 기능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CTP가 TCP와 다른 특징들 중 멀티호밍이라는 특성 을 이용하여 통신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MIPV6 환경에서 SCTP기반 응용서비스에 따른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 SCTP와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패킷 지연시간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성능분석 결과 SCTP가 TCP보다 패킷 전송률과 지연시간에 대해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CP-DAD: 중복 응답 임계값의 동적 조절을 통한 TCP의 패킷 재배치 내성 향상 기법 (TCP-DAD: Dynamically Adjusted Dupthresh Mechanism for Improving the Robustness of TCP against Packet Reordering)

  • 박민우;이제민;김종명;한영주;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78-981
    • /
    • 2007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흐름제어와 오류제어 그리고 혼잡제어 등을 통해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최근 라우터 성능 및 라우팅 알고리즘 등의 발달로 인해 패킷이 비순차적으로 전송되는 패킷 재배치(packet reordering)가 빈번한 발생하여 TCP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패킷 재배치가 TCP 로 하여금 불필요한 재전송(Spurious Retransmission) 및 혼잡제어를 수행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TCP 의 신속 재전송(Fast Retransmission)의 중복 응답 임계값(dupthresh)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재전송 및 혼잡제어의 발생횟수를 효율적으로 줄이는 TCP-DAD(TCP Dynamically Adjusted Dupthresh)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NS-2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TCP-DAD 가 다른 TCP 메커니즘보다 평균적으로 약 34%의 성능 향상을 보임을 증명하였다.

  • PDF

실시간 전송기능을 지원하는 TCP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TCP)

  • 우정만;조성언;김은기;권영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1-69
    • /
    • 2005
  • 인터넷 전송계층 프로토콜에는 TCP와 UDP가 있다. TCP는 연결형 프로토콜로서 에러 제어 및 흐름 제어를 제공하여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은 보장하지만 그에 따른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반면에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서 에러 제어 및 흐름 제어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전송에 있어 지연이 발생되지 않아 실시간 전송은 보장하나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의 인터넷 전송계층 프로토콜에서는 실시간 전송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보장하여야 하는 데이터의 전송에 적당한 프로토콜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Linux) 커널(Kernel)의 TCP의 에러제어 및 흐름제어를 수정하여 실시간 전송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설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실시간 전송기능을 지원하는 TCP 프로토콜은 기존의 TCP에 새로운 옵션을 추가함으로써, 기존 TCP와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수직적 핸드오프에서의 TCP 성능향상을 위한 수신자기반 슬로우스타트 (Receiver-Initiated Slow Start for Improving TCP Performance in Vertical Handoff)

  • 석우진;이민선;이만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8호
    • /
    • pp.597-606
    • /
    • 2013
  • TCP의 성능은 연결된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전송 경로상의 트래픽 혼잡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트래픽이 급작스럽게 증가하여 혼잡이 발생하면, 이는 데이터 전송의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의 장애가 발생하여 전송 패킷의 손실이 발생하면, TCP는 슬로우스타트를 수행하여 전송 속도를 낮추어 전송 경로 상의 트래픽 혼잡을 줄이고자 한다. 이동 단말이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간에 수직적 핸드오프를 하게 될 경우, TCP는 트래픽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이에 대해 슬로우스타트를 수행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직적 핸드오프 시에 수반되는 TCP 슬로우스타트를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TCP 수신자가 슬로우스타트를 강제하는 방법이다. 이는 TCP 송신자에서 트래픽 혼잡을 경험한 후 슬로우스타트를 수행하는 기존의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나다. 향상된 성능에 대해서는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측정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TcpO_2$를 이용한 신경병성 당뇨환자 조기진단 (An early diagnostic method for diabetic neuropathy using $TcpO_2$)

  • 김진태;김성우;남기창;박중훈;김덕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32-234
    • /
    • 2006
  • Diabetic neuropathy is one of the most common diabetic complications. In clinical practices, 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has been used as a standard method for diagnosing diabetic neuropathy. However, it applies maximum of 100mA electric stimulus to nerves causing stress and pain to patients. In this study. as a non-invasive method, $TcpO_2$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TcpO_2$ and $SpO_2$ of normal and diabetic neuropathy subjects. In addition, a new method of diagnosing diabetic neuropathy using $TcpO_2$ is suggested. 50 normal subjects and 50 diabetic patients with neuropathy diagnosed by NCV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were $TcpO_2,\;TcpCo_2$, and $SpO_2$. As a result of the $TcpO_2$ measure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from $TcpO_2$ of hands and feet from normal and patients group (p<0.01). $SpO_2$ measured from index finger of normal and patient group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On the other hand, $SpO_2$ measured from great toes of normal and patient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pO_2$ of finger and $TcpO_2$ of hand was 0.400 (p<0.01) and $SpO_2$ of toe and $TcpO_2$ of foot was 0.471 (p<0.01). Both correlation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the $TcpO_2$ method were found to be 66 % and 92 %, respectively. If suggested $TcpO_2$ method is used periodically.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of diabetic neuropathy is poss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