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

검색결과 5,711건 처리시간 0.038초

In silico approach to calculate the transcript capacity

  • Lee, Young-Sup;Won, Kyung-Hye;Oh, Jae-Don;Shin, Donghyu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3호
    • /
    • pp.31.1-31.7
    • /
    • 2019
  • We sought the novel concept, transcript capacity (TC) and analyzed TC. Our approach to estimate TC was through an in silico method. TC refers to the capacity that a transcript exerts in a cell as enzyme or protein function after translation. We used th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beta effect and transcription level in RNA-sequencing to estimate TC. The trait was body fat percent and the transcript reads were obtained from the human protein atlas. The assumption was that the GWAS beta effect is the gene's effect and TC wa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gene effect and transcript reads. Further, we surveyed gene ontology (GO) in the highest TC and the lowest TC genes. The most frequent GOs with the highest TC were neuronal-related and cell projection organization related. The most frequent GOs with the lowest TC were wound-healing related and embryo development related. We expect that our analysis contributes to estimating TC in the diverse species and playing a benevolent role to the new bioinformatic analysis.

미만성 간질환에서의 간혈류 동태의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Hemodynamic Change in Diffuse Hepatocellular Diseases)

  • 이성용;정수교;이영일;김종우;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3-59
    • /
    • 1986
  • Radionuclide angiography of the liver and spleen with rapid bolus injection of 5 mCi of $^{99m}Tc-Sn-phytate$ was performed for evaluation of dynamic flow change of the liver in 5 normal subjects and 11 patients with diffuse hepatocellular diseases. And quantification of hepatic arterial index (HAI) was generated from those TACs of the liver and compared with HAI generated from hepatic TAC with injection of $^{99m}Tc-TcO_4^-$ as previously reported method by former investigators, 67 patients with diffuse hepatocellular diseases undergoing hepatic scintigraphy were also evaluated by 2 minutes-hepatosplenic scintiangiography with 5 mCi of $^{99m}Tc-phytate$ and followed injection of 7 mCi of $^{99m}Tc-TcO_4^-$. Those heaptic and splenic TACs we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HAIs of 99m Tc-phytate for evaluation of relative change (%) of count at 30 seconds and 1 minuite after peaks of rapid influx phase to the peaks (100%) in T ACs of $^{99m}Tc-phytate$ and at 1 minuite and 3 minuites after in 5 minuite-TAC of $^{99m}Tc-TcO_4^-$. Correlation between HAIs with $^{99m}Tc-phytate$ and $^{99m}Tc-TcO_4^-$ was highly significant (R=0,984, P=0), and there was most significant and useful correlation (R=0,708, p<0.0001) between HAI and splenic TAC generated by $^{99m}Tc-phytate$.

  • PDF

$^{99m}Tc-MDP$ 제조시 산화방지제 첨가영향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Preparation of $^{99m}Tc-MDP$)

  • 오옥두;박경배;김재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3-139
    • /
    • 1992
  • To improve the quality of $^{99m}Tc-methylenediphonate$ $(^{99m}Tc-MDP)$ for skeletal imaging, different composed $^{99m}Tc-MDP$ complexes were prepared with addition of antioxidants such as ascorbic acid, getisic acid, and p-aminobenzoic acid. To characterize the different $^{99m}Tc-MDP$ preparations, some phys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99m}Tc-MDP$ such as thermal stability, lipophilicity and bindability to serum protein were studied and organ distribution pattern of these complexes also compared. The thermal stabilities of $^{99m}Tc-MDP$ contained antioxidants were dependant mainly on pH, temperature, and elapsed time after the preparation. $^{99m}Tc-MDP$ complex contained gentisic acid as antioxidant was extremely unstable at alkaline condition. The most stable $^{99m}Tc-MDP$ was found in the presence of p-aminobenzoic acid. $^{99m}Tc-MDP$ complexes with antioxidants were very lipophilic but lipophilicity differences in antioxidants were not observed. The bindability of $^{99m}Tc-MDP$ to serum protein was not affect at pH $5.0\sim9.0$ by the different antioxidants. However, protein binding percentage of $^{99m}Tc-MDP$ with ascorbic acid was relatively low (22.7%) at pH 9.0. In biodistribution studies in mice, bone to muscle ratios of $^{99m}Tc-MDP$ preparations containing ascorbic acid, gentisic acid, and p-aminobenzoic acid were 15.3, 24.5, and 30.1, respectively. Im to our results, p-aminobenzoic acid is fond to be the most promising antioxidant.

  • PDF

유한 요소법에 의한 평면형 다중접합 열전변환기의 온도분포 해석 (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for Temperature Profile of a Planar Multijunction Thermal Converter)

  • 황찬순;조현덕;권재우;이정희;이종현;김진섭;박세일;권성원
    • 센서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6-206
    • /
    • 2001
  • 열 영상 촬영에 의한 평면형 크로멜-알루멜 다중접합 열전변환기(TC 1)의 실제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또한 유한 요소법에 의한 3차원 ANSYS 프로그램으로 열전변환기를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열전변환기(TC 1${\sim}$TC 6)의 입력전력에 따른 온도분포를 예측하였다. TC 1의 고온 접합부 온도와 저온 접합부 온도의 차이가 가장 작고 TC 6의 고온 접합부 온도와 저온 접합부 온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TC 1의 전압 감응도는 가장 작은 3.09 mV/mW로 측정되었고 TC 6의 전압 감응도는 가장 큰 4.03 mV/mW으로 측정되었다.

  • PDF

Synthesis and in vitro evaluation of 99mTc-labeled tetraiodothyroacetic acid for tumor angiogenesis imaging

  • Kim, Hyunjung;Koo, Hyun-Jung;Choe, Yearn Seong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
    • /
    • 2020
  • Tetraiodothyroacetic acid (tetrac) is a derivative of thyroid hormone T4 and causes anti-angiogenesis by blocking T4 binding to integrin αvβ3.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99mTc]Tc-Cys-Asp-Gly(CDG)-tetrac and evaluated it in vitro as a tumor angiogenesis imaging ligand. The CDG was conjugated to tetrac as a chelator for technetium-99m labeling. The cold vial containing CDG-tetrac, sodium glucoheptonate, and reducing agent was completed under nitrogen-filled atmospheric glove bag. [99mTc]Tc-CDG-tetrac was synthesized in quantitative yield by heating the cold vial with [99mTc]TcO4- at 100℃ for 30 min. In vitro serum stability of [99mTc]Tc-CDG-tetrac was measured by incubating the radioligand in 50% fetal bovine serum at 37℃ and analyzing the incubation mixture by radio-TLC, which showed high stability over 6 h (≥ 98%). Cell binding study was carried out by incubating [99mTc]Tc-CDG-tetrac with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HUVE) cells at 37℃ for 6 h. The cell binding of the radioligand increased from 100% at 0.5 h to 293.7% at 6 h in a time-dependent manner. For blocking study,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the radioligand in the presence of either tetrac (20 μM) or cRGDyK (20 μM) at 37℃ for 4 h.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ell binding of the radioligand was inhibited by tetrac (19.1%) or cRGDyK (35.6%), indicating specific binding of the radioligand to integrin αvβ3.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99mTc]Tc-CDG-tetrac may be a potential radioligand for tumor angiogenesis imaging.

가자 분말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품질 변화 (Effects of the Amounts of Terminalia chebula Retz Powder on the Quality of White Pan Breads)

  • 김정숙;정세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0-436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white pan breads as affected by various amounts of Terminalia chebula Retz (TC) powder, in which the breads were prepared with 0, 2, 4, and 6% TC powder. The samples and a control bread were compared in terms of bread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pH, baking loss rate, loaf volume index, moisture content, TBARS values, texture, color, and sensory qual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TC powder in the formulation. The pH levels of the bread samples containing TC powder ranged from 5.30 to 5.44, while the control bread had a pH of 5.68. The loaf volume index values of the samples prepared with 2~6% TC powder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7 days storag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bread had decreased by 14.4%, while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breads with added TC powder had decreased by approximately 8~10%. The breads with TC powder had lower TBARS valu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bread. For texture characteristics, hardnes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C powder, and was especially increased in the sample containing 6% TC powder.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however,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C powder. For color, lightness of the bread crust and crumb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C powder,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In terms of sensory quality, the bread containing 2% TC powder was preferred over the control bread, as estimated by appearance, crust color, taste, and overall quality, while the 6% TC bread had the lowest preference sc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2% TC powder to white pan bread had optimal effects for improving shelf-life and enhancing bread quality.

  • PDF

액체/액체 계면에서 테트라사이클린 전이반응의 전기화학적 분석 및 응용 (Electrochemical Analysis and Applications of Tetracycline Transfer Reaction Process at Liquid/liquid Interfaces)

  • 리우샤오원;한혜연;고은서;이혜진
    • 공업화학
    • /
    • 제28권5호
    • /
    • pp.506-512
    • /
    • 2017
  • 편극화된 물/1,2-dichloroethane (1,2-DCE) 계면에서 이온화가 가능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TC) 화학종 전이 반응을 순환전압전류법과 시차펄스전위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물의 pH 변화에 따라 전하 상태가 다른 TC 이온 화학종이 물/1,2-DCE 계면에서 전이하는 전위 값을 측정하여 TC 이온의 상 분배 도표를 얻었다. 이를 통해 각 pH에 따라 수용액 또는 유기 용액 층에서 좀 더 우세한 TC 이온 화학종 형태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상기 계면에서 TC 전이 반응의 형식 전이 전위, 분배 계수 및 Gibbs 에너지 값을 포함한 열역학적 정보를 얻었다. 또한 TC 이온을 정량 분석 가능한 센서로 제작하기 위해 고분자 박막에 단일 마이크로 홀을 만들고 유기성의 polyvinylchloride-2-nitrophenyloctylether (PVC-NPOE) 젤을 도포하여 물/젤 계면을 형성하였다. 물/1,2-DCE 계면에서 TC 이온의 전이 반응과 매우 유사하게 수용액의 pH가 4.0일 때 TC 이온의 농도 변화에 따라 전류 값이 증가하는 것을 순환전압전류법으로 관찰하였다. 시차펄스벗김전위법을 이용하여 상기 물/젤 계면에서 완충 수용액에 존재하는 TC 화학종을 $5{\mu}M$까지 검출할 수 있었으며, $5{\mu}M$에서 $30{\mu}M$까지 정량분석 할 수 있었다.

유방암 환자에서 $^{99m}Tc$-Antimony Trisulfide Colloid, $^{99m}Tc$-Tin Colloid, $^{99m}Tc$-Human Serum Albumin을 이용한 감시림프절 매핑 성적의 비교 (Comparison of the Results for Sentinel Lymph Node Mapping in the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99m}Tc$-Antimony Trisulfide Colloid, $^{99m}Tc$-Tin Colloid, and $^{99m}Tc$-Human Serum Albumin)

  • 장성준;문승환;김석기;김범산;김석원;정기욱;강건욱;이은숙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6호
    • /
    • pp.546-552
    • /
    • 2007
  • 목적: 유방암 환자에게 불필요한 액와림프절 전절제술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시림프절을 절제하여 전이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시림프절 매핑을 위한 방사성교질중 antimony trisulfide colloid (ASC), tin colloid (TC), human serum albumin (HSA) 이상의 3가지 교질에 $^{99m}Tc$을 표지하여 각각에서 림포신티그라피, 감시림프절 매핑의 성적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임상적으로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유방암 환자 총 397명에게 시행한 림포신티그라피와 수술 중 감시림프절 절제 동결절편 검사, 및 수술 후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림포신티그라피 영상 소견을 분석하고, 감시림프절의 발견율(identification rate)과 위음성율(false negative rate), 그리고 음성예측도(negative predictive value)를 구하여 각 군의 자료에 대해 Fisher 직접확률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202명에게는 $^{99m}Tc$ ASC를, 120명에게는 $^{99m}Tc$-TC를, 75명에게는 $^{99m}Tc$-HSA를 사용하였으며 평균 연령, 병기, 원발 종양의 크기 등에서는 각 군별 환자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SE는 59명에게는 유륜부 피내 혹은 피하주사법을 사용했으며 136명에게는 종양주위 주사를, 그리고 7명의 환자에게는 두 가지를 병용하였다. TC와 HSA를 사용한 환자들에게는 모두 피내 혹은 피하주사하였다. 액와림프절 전이는 ASE사용 군에서 33.2%, TC 사용군에서 31.7%, HSA 사용 군에서 22.7%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감시 림프절 발견율(IR) 과 위음성율(FNR) 그리고 음성예측도(NPV) 는 사용한 교질 ASC/TC/HSA 각각에 대해 99.0%, 21.5%, 90.5% / 96.7%, 20.5%, 90.7% / 94.7%, 17.7%, 94.7%로 사용한 교질의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감시림프절 매핑 성적은 방사성교질의 주사방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림포신티그라피의 영상에서 감시림프절이 명확히 구분된 경우는 ASC에서 79.6%, TC 에서 92.5%, HSA에서 88.6%였다. 림프관이 관찰된 비율은 ASC에서 43.6%, TC에서 0.8%, HSA 에서 96.8%이었다. 림포신티그라피에서 관찰된 감시림프절의 개수는 HSA가 가장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ASC, TC 및 HSA등의 방사성교질을 이용한 감시림프절 매핑 성적은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화된 갑상선암 수술 후 초치료에 있어서 Tc-99m Pertechnetate을 이용한 진단 스캔의 유용성: Iodine-131 스캔과의 비교 (The Usefulness of Diagnostic Scan Using Technetium-99m Pertechnetate Scintigraphy prior to the First Ablative Radioiod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 Comparative Study with Iodine-131)

  • 윤석남;박찬희;황경훈;김수지;소의영;김경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5-293
    • /
    • 2000
  • 목적: 손쉽고 빠른 시간 안에 시행 가능한 Tc-99m을 이용할 갑상선 스캔을 시행하여 I-131 진단적 전신영상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화된 유두상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어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한 후 갑상선 잔여조직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방사선 옥소 치료를 위해 의뢰된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Tc-99m을 이용한 영상은 Tc-99m 10 mCi (370 MBq)를 정맥 주사한 후 10분 뒤 pinhole 영상을 목 부위에서 얻었고 가슴과 목을 포함한 평면영상을 얻었다. 진단적 I-131 스캔 영상은 Tc-99m 영상을 얻은 후 곧바로 I-131 2 mCi (74MBq)를 복용 시켰으며 복용 후 2일이 경과된 다음 Tc-99m와 같은 방법으로 영상을 얻었다. 또한 모든 환자에서 치료용량의 방사성 옥소를 투여 후 7일 째 치료적 I-131 스캔을 얻었다. 결과: 1)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의 비교 Tc-99m 평면영상은 19명에서 I-l3l 진단 스캔은 13명에서 시행되었다. 이 중 Tc-99m 평면영상에서 3 환자(16%)는 스캔상 아무런 섭취소견을 보이지 않아 민감도는 84%를 보였다. 그러나 I-131 진단 스캔에서는 모든 환자에서 섭취를 보여 100% 민감도를 보였다. Tc-99m 평면영상에서 보이지 않던 3명의 환자의 I-131 진단 스캔상의 섭취는 2명은 경도의 섭취를 1명은 중등도 섭취를 보였다. 2) Tc-99m pinhole영상과 I-131 pinhole 영상의 비교 Tc-99m pinhole 영상은 20명에서 I-131 pinhole 스캔은 10명에서 시행되었다. Tc-99m pinhole 영상에서 검사를 시행한 20명에서 1명을 제외한 19명에서 양성소견을 보여 민감도는 95%였으며 이들의 목 부위의 섭취 정도는 19명 중 3명에서 경도 섭취를, 7명에서 중등도 섭취를 그리고 9명은 강한 섭취를 보였다. 또한 Tc-99m 평면영상에서 섭취가 없었던 2명의 환자는 Tc-99m pinhole 영상에서 경도의 섭취를 보였으나 1명은 섭취가 없었다. 결론: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Tc-99m 스캔상 갑상선 섭취가 관찰될 경우 I-131 진단적 스캔을 생략하고 방사성옥소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Tc-99m 스캔에서 음성인 경우와 전이된 예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아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99m}Tc$-HMPAO 및 $^{99m}Tc$-ECD 뇌 SPECT: 증례보고 (Brain SPECT Using $^{99m}Tc$-HMPAO and $^{99m}Tc$-ECD in Subacute Cerebral Infarction: Case Report)

  • 안병철;이동수;윤병우;소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0-575
    • /
    • 1996
  • 우리는 혈전 용해요법을 시행한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과잉관류가 발생한 아급성기에 $^{99m}Tc$-HMPAO SPECT와 $^{99m}Tc$-ECD SPECT를 같은 날 실시하여 $^{99m}Tc$-HMPAO SPECT에서는 과잉관류 소견이 보이나, $^{99m}Tc$-ECD SPECT 에서는 결손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환자는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이상에 호전이 없이 증상 발생 42일째 사망하였다. 문헌을 검토하여 종합하고 우리 환자예를 분석한 결과 $^{99m}Tc$-HMPAO SPECT가 뇌혈류를 반영하여 관류회복과 과잉관류상태를 나타내었고, $^{99m}Tc$-ECD SPECT는 뇌세포의 대사 및 생존여부를 반영하여 뇌세포 손상이 넓고 심각함을 나타내었다고 보았다.

  • PDF